김학철(군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학철 문서
김학철번 문단을
김학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학철
金學喆


출생
1941년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면 연축리[1]

사망
1974년 11월 20일(향년 33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직업
군인
학력
대전고등학교(졸업 / 39회)
해군사관학교(졸업)


1. 개요



1. 개요[편집]


충청남도 대덕군 회덕면 연축리(현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출신으로 해군사관학교 18기 수료 후 대한민국 해병대 장교로 임관하였다. 1967년과 1971년 두 차례에 걸쳐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베트남 은성무공훈장을 받았다.

1974년 7월부터 국제 연합군 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 한국연락장교단에 근무하였으며, 같은 해 11월 15일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비무장지대 내에서 조선인민군이 뚫은 남침땅굴이 처음 발견되자 유엔군 사령부 공동 조사 위원회의 일원으로 땅굴 조사에 참여하게 되었다.

땅굴이 발견된 지 5일이 지난 11월 20일, 한국군 2명 및 미군 6명과 함께 조사를 위해 발견된 땅굴 안으로 들어가 조사를 진행하던 도중 오후 1시 20분경 군사분계선 남방 300m 지점에서 조사단이 조선인민군이 설치한 부비트랩을 건드려 폭발하면서 미 해군 로버트 맥퀸 벨린저(Robert MacQueen Ballinger, 1933년 7월 28일 ~ 1974년 11월 20일) 중령과 함께 그 자리에서 숨졌고, 함께 참여한 한국군 1명과 미군 5명이 중상을 입었다.

사후 소령에서 중령으로 특진이 추서되었고, 국립서울현충원 장교묘역에 안장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1:55:19에 나무위키 김학철(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