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순(북한)

최근 편집일시 :


초대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장
김용순
金勇淳 | Kim Yong Sun


파일:허담.jpg

출생
1934년 7월 5일
평안도 평원군(현 평안남도 평원군)
사망
2003년 10월 26일 (69세)
평양시
국적
[[북한|

북한
display: none; display: 북한"
행정구
]]

학력
파일:Kim Il Sung University emblem.png 김일성종합대학 외교학 및 국제관계학과(학사)
전직
조선로동당 대남비서
정당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파일:/image/028/2003/10/28/00300000012003102711.jpg
방남 당시 김용순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김용순북한의 전 정치인이다. 조선로동당 대남비서, 조선아시아태평양위원장,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등을 지냈다.


2. 생애[편집]


1934년 7월 5일 평안남도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젊어서 6.25 전쟁에 참전했으며 1954년 김일성종합대학 외교학 및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했다. 1970년 이집트 대사로 부임하였다. 1980년대부터 조선로동당 대남담당 비서였으며 1994년부터는 대외적으로 조선아시아태평양위원회 위원장 직함으로 활동하면서 대남 대화에 나섰다. 대남비서직 수행 당시 외무성 제1부상 강석주와 라이벌 관계였다고 한다.
1980년 10월, 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면서 1984년 3월에는 김일(북한)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국제비서에 임명하며 하지만 이때 잠시 공식석상에서 사라지는데 북한 엘리트들이 다 그러하듯이[1] 이 무렵에 혁명화를 다녀온 것으로 김정일이 북한 외교관들이 사교장에 나가서 춤도 잘추지 못해 외교가 안된다고 질책하자 김용순이 주도하여 국제부에서 댄스 강습을 시키게 되었다.
하지만 이것이 너무 과하여 신소가 들어왔으며 조직지도부와 선전선동부의 공격을 받은 후에 사상검토대회가 열려 덕천탄광탄부로 쫓겨났다고 하면서 그런데 김용순은 나는 지도자 동지께서 시키는 대로 일처리를 할 뿐이데 왜 이러냐고 항의했다고 하는데 사실 김정일이 김용순을 조진 이유는 김용순이 자신이 김정일의 측근이며 김경희와도 친하다는 이유로 우쭐대면서 지나치게 세도를 부렸기 때문이었다. 1년 반 동안 탄광에서 구른 김용순은 나중에 용서를 받으면서 국제부 부부장으로 복귀하게 되었으며 나중에 강석주 역시 같은 죄목으로 혁명화를 다녀오게 된다.[2]
1988년 조선로동당 국제부장에 임명되었으며, 허담이 사망한 후 1992년부터 최고인민회의 외교위원장을 맡았고 1991년 5월, 허담 장의위원, 1991년 6월, 허정숙 장의의원, 1992년 3월, 현무광 장의위원을 지냈으며 1992년 4월 1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김일성훈장을 수훈받았다. 1992년 12월, 조선로동당 6기 20중전회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승진하였다.
1992년 9월, 서철 장의위원, 1993년 1월, 리계백 장의위원을 지내면서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 9기 5차 회의에서 최태복에게 외교위원장 자리를 물려주고 통일정책위원장으로 옮기게 되었다.
그런데 뭔가 사고를 발생하게 만든지 1993년 12월에 정치국 후보위원 해임이 확인되었으며 1994년에는 국제부장 자리를 현준극에게 이임하면서 1994년 7월, 김일성 장의위원, 1995년 2월, 오진우 장의위원, 1996년 9월, 려연구 장의위원, 1997년 2월, 최광 장의위원을 지내게 되었다.
1998년 10월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일행과 금강산 종합개발 서면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00년 9월에는 북한대표단 단장으로 제주도를 방문하여 한라산에 등정하기도 하였다.
2000 남북정상회담에 참가하였으며 6.15 남북공동선언의 합의서 서명식 등에 참여하면서 미국으로 망명한 고용희의 동생 고용숙에 따르면 1990년대부터 고용희의 측근이 된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다가 2003년 6월 16일 발생한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으며 병원에 실려가 4달간 치료를 받으며 6월 16일은 고용희의 생일인데 고용희 생일잔치에 참석하다가 귀가하는 길에 교통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0월 26일 오전 5시에 끝내 사망하면서 김용순을 총애하던 김정일은 그의 죽음에 매우 애석하면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연명으로 부고를 발표하였다.
김용순 동지는 당의 대외적권위를 증가시키고 우리 혁명의 국제적 련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적극 노력하였으며 력사적인 6.15북남공동선언의 기치 아래에서 조국통일의 전환적국면을 열어나가는데 온갖 정열을 바치였다. (...) 김용순동지는 우리 당의 주체사상으로 튼튼히 무장하고 생명의 마지막 순간까지 당의 선군령도를 충실하게 받들었으며 조국통일위업을 성취하기 위하여 모든 것을 다 바쳤다. 오랜 기간 높은 충성심과 실력으로 우리 당을 받들어온 김용순 동지를 잃은것은 우리 혁명의 큰 손실로 된다고 후히 평가하였다.
이후에 대남정책을 총괄하던 김용순의 역할은 김양건 통일전선부장에게 넘어가면서 하지만 똑같이 김양건 통일전선부장도 12년 뒤인 2015년 교통사고로 사망하게 되었다.
2005년 조국통일상이 추서되었으며 2016년 5월, 7차 당대회 개회사에서 김정은은 '조선로동당의 강화 발전과 사회주의 위업의 승리를 위해서 헌신적으로 투쟁한 충직한 혁명 동지'의 한 사람으로 허담, 연형묵, 김중린, 허정숙, 김국태, 김양건, 전병호, 박송봉, 리찬선, 리제강, 리용철, 강량욱, 리종옥, 김락희, 안달수와 함께 김용순을 언급하게 되었다.

3. 기타[편집]


1930년대에 태어난 사람치고는 기골이 매우 장대하여, 키가 180cm 정도 되었다.[3] 하지만 큰 덩치에 맞지 않게 술자리에서 김정일의 총애를 얻기 딱 좋은 각종 애교와 재롱에 능했다고 한다. 김현식의 증언이기도 하지만, 김정일은 이런 식으로 잘 놀 줄 아는 측근들을 좋아했고, 놀줄 모르면 짜증내면서 내치곤 했다.

20212년 현재 유엔의 북한대표부 수석대사를 지내고 있는 김성 유엔대사가 김용순의 아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용순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용순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1 22:04:07에 나무위키 김용순(북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농담이 아니고 혁명화를 안 간 북한 고위층은 찾기 힘들다. 누군가가 권력이 너무 커지는가 싶으면 바로 견제를 위해 혁명화를 보내버리기 때문이다. 높은 자리를 지키고만 있어도 혁명화 갈 확률은 계속 적립되는 셈이다. 한때 절대권력에 매우 가까웠던 존재인 장성택도 젊은 시절에는 혁명화 몇 번 갔다온 적 있다.[2] 사실 김용순이 1년 이상 구른 것은 사실상 요양수준에 지나지 않으며 사실 최고로 화상까지 입어가며 천리마제강연합기업소에서 혁명화한 장성택에 비하면 양반 수준이다.물론 그래도 2차 혁명화에서는 요양으로 끝나기는 하였지만[3] 영양 상태가 좋은 남한의 2000년대생 기준으로 보면 190에서 2m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