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현(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시현 문서
김시현번 문단을
김시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제4대 대통령 선거 후보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2·5대 국회의원
김시현
金始顯 | Kim Si-hyun


파일:21034.jpg

출생
1883년 6월 6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풍산현 감애리
(現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 감애마을)[1]
사망
1966년 1월 3일 (향년 82세)
본관
신 안동 김씨

구화(九和), 윤화(潤和)

하구(何求), 학우(鶴右)
배우자
권애라
학력
메이지대학 (법학 / 학사)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2, 5
경력
의열단 단원
임정위원
혁명 단체 대표자 대회 조선 대표
동양공과대학장
고려동지회 회장
전보통신사 회장
제2대 국회의원
제5대 민의원

1. 개요
2. 생애
3. 그 외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mu.jpg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367220075.jpg
황옥경부폭탄사건 당시 황옥과 재판을 받는 모습.
말년의 모습.
대한민국독립운동가, 정치인. 본관은 신 안동(新 安東), 자는 구화(九和), 윤화(潤和), 호는 하구(何求) 또는 학우(鶴右).


2. 생애[편집]


1883년 6월 6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풍산현 감애리(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 감애마을)에서 아버지 김태동(金台東, 1863. 12. 23 ~ 1941. 8. 4)과 어머니 경주 이씨(1862 ~ ?)[2]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큰아버지 김택동(金澤東, 1860. 8. 26 ~ 1916. 2. 6)에 입양되었다. 일본 메이지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3.1 운동만주에서 의열단에 속하면서 독립 운동을 했다. 김원봉과 동지로 활동하였다. 1920년 김규식, 여운형 등과 함께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혁명 단체 대표자 대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였다. 1923년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기 위해 국내에 폭탄을 반입하려다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체포되어 대구 형무소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이후로도 독립 운동으로 인하여 일제에 의해 몇 차례 투옥되었다. 상하이 고려공산당, 조선공산당의 정치인이었다.

중국 베이징 시에서 투옥 중이던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광복 이후 귀국하여 고려동지회 회장, 전보통신사 회장을 역임하다. 그리고 민주국민당에 입당하여 고문으로 있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안동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2년 발췌 개헌이승만 대통령독재 정치에 반발하여 유시태와 함께 이승만 암살을 시도했으나, 유시태가 겨눈 권총이 불발하는 바람에 미수에 그치며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참조. 이후 1960년 4.19 혁명 이후 석방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부인 또한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권애라 지사다. 유관순 열사 등과 함께 서대문 8호 감방에 수감됐었으며, 그 당시 불렀다는 '8호 감방의 노래'의 작사자로 추정된다. 1920년대 애국 강연으로 유명했고, 1922년에는 김규식 등과 함께 러시아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대회에 한국여성대표로 참석한 적도 있다. 취조하는 형사의 뺨을 때렸다는 소리가 있을 정도로 강직했다고 한다.


3. 그 외[편집]




4. 둘러보기[편집]




[1] 안동 김씨 승의랑공파(承議郞公派) 집성촌이다.[2] 이종원(李鍾遠)의 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시현 문서의 r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시현 문서의 r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3:28:54에 나무위키 김시현(독립운동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