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집

덤프버전 :

분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C%95%88%ED%9D%AC%EC%A0%9C%EC%83%9D%EA%B0%80%EA%B8%B0%EC%99%80%EC%A7%91.jpg

1. 개요
2. 구조
3. 특징
4. 역사
5. 현재
6. 해외에서
7. 기타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지붕으로 기와를 사용한 . 와가()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기존의 주거 형태였던 초가집이 몇 년이면 지붕 소재가 썩어버려 자주 갈아줘야 하던 것[1]을 반영구적인 기와로 대체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기와집 재료로 찰흙으로 만든 검은색 기와를 사용하였으며 한옥 건축사 전체로 본다면 청자 기와도 사용하는 등 실제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었다.


2. 구조[편집]


파일:external/www.cha.go.kr/name_etc25.gif
  • 대들보
  • 대공
  • 용마루
  • 빼도리
  • 처마
  • 서까래 : 지붕의 뼈대를 이루는 나무
  • 추녀 : 처마의 네 귀퉁이에 있는 큰 서까래
  • 추녀마루
  • 굴도리
  • 보뺄목
  • 들어열개
  • 분합문
  • 합각마루
  • 목기연
  • 합각
  • 소로
  • 머름
  • 초석(주춧돌)
    • 단추형 초석
  • 한벌대
  • 디딤돌
  • 두벌대기단
  • 석계
  • 노둣돌
  • 석함
  • 대청
  • 암기와
  • 수기와
  • 암막새
  • 수막새


3. 특징[편집]


양반 중에서도 특히 신분이 아주 높은 사람이 거주할 경우 푸른 유약을 발라 만든 청기와를 사용해 지붕을 만들기도 하였다. 전통적으로 부유층이나 양반들만이 기와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일반 농민이나 평민이 기와집을 짓는다 해도 특별한 제재하는 법이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당시 기와는 상당한 고가품이었기 때문에 지붕을 기와로 얹으려면 품이 워낙 많이 들어서 농민들이나 평민들이 짓고 살기에는 도저히 무리였다. 기와 굽는 가마 자체가 손꼽히던 시절이었으니... 그래서 당시 기와집은 호화사치주택으로 분류되었다. 물론 양반들이라고 해서 기와집을 막 짓고 살 수 있었던 건 아니고 크기 제한이 있어서 99칸을 넘는 집을 짓고 사는 것은 금지였다. 99칸이 넘는 기와집은 무조건 궁궐이나 관아, 성균관 같은 대형교육시설이라는 얘기다.[2] 물론 99칸이라고 해도 180평에 해당되는 크기이기 때문에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매우 널찍했던 건 마찬가지이며, 또한 품이 상당히 많이 들었기 때문에 세도가나 전국을 휘어잡는 거상급은 되어야 99칸집을 짓고 살 수 있었다. 게다가 기와집이라고 해서 죄다 항상 매우 넓은 것도 아니라서 한양 도성 내부 같은 도심지 기와집의 경우에는 집이 좁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조선시대 기와집은 전근대시대 세계 모든 문명과 같이 남자와 여자가 생활하는 공간이 구분되어 있었다.

한편으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때 개량형 기와집이 등장하기도 했는데, 경성부의 인구가 지방에서 상경해 오는 인부들[3]로 인해 날이 갈수록 증가하게 되자 새로 집을 지을 땅이 부족해져서 땅값이 갈수록 오르게 되면서 궁여지책격으로 기존의 기와집보다 훨씬 좁게 만들면서 2층까지도 만든 개량형 기와집이 등장하게 되었고[4] 현재 서울에 남은 기와집 가운데서 상당수가 이런 개량형 기와집이다.


4. 역사[편집]



4.1. 신라[편집]


신라시기 건물들은 굉장히 화려한 편이었다. 귀족들은 바닥에 타일을 깔기도 했었고 황금으로 기와를 만들어 올린 금입택을 지었다. 또한 경주 월성, 동궁과 월지 유적 발굴 결과 처마 끝부분을 하나씩 하나씩 황금장식을 붙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청기와를 올린 집도 있었고 수키와 끝 수막새 위에 황금장식을 올리기도 했으며 나무 골조 부분을 빨갛게 칠하고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4.2. 고려[편집]


고려청자의 영향으로 청자로 기와를 굽기도 했다. 이 시기에도 황금 기와는 있었고 신라와 별반 다르지 않았다.


4.3. 조선, 대한제국[편집]


유교의 영향으로 기와집들이 많이 검소해 졌다. 검은 기와를 올렸고 '사치스럽지는 않되 초라하지 않다.'라는 정신으로 서까래와 공포를 알록달록하게 칠했다. 이를 상록하단 단청이라고 부른다.


5. 현재[편집]


1970년대 새마을운동 때 낙후의 상징이라며 대대적으로 없앴던 초가집과는 다르게 기와집에 대해서는 별로 터치를 하지 않았지만,[5] 애초에 수량도 많지 않았던 데다가 아무래도 공간의 한계와 소음 문제가 있고, 특수한 경우엔 기와 사이의 틈이 벌어져 물이 새는 경우도 있다 보니 아예 현대식 주택으로 개보수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부동산 투기와 재개발로도 사라지는 경우가 많고, 잘 지어지지는 않다 보니 전통 기와집이나 개량형 기와집은 현재는 도심지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들어졌다. 다만, 청와대처럼 지붕만 기와인 서양식 주택은 꽤나 널려 있는 편이다. 1960~80년대에 흔히 지어졌던 양옥 단독주택들도 집 자체는 서양식 벽돌을 이용해 짓되, 지붕은 기와로 장식하고, 온돌도 깐, 일종의 퓨전식 집이 많았다. 하지만 골목골목 다니다 보면 아주 가끔 개발되지 않고 오래된 기와집들이 자주 보이곤 한다. 경주시에는 일부면을 제외한 지역에서 다량의 원조 검은 기와를 볼 수 있다. 경주가 워낙 역사도시인 만큼 경주IC는 고사하고 주유소에도 기와를 얹어놓은 진풍경을 볼 수 있다.
파일:경주 주유소 클라스.jpg

현대에도 기와집을 새로 짓는 경우가 많고 검정색 기와를 올린 집, 파란색 기와를 올린 집, 빨간색 기와를 올린 집들이 많은데 검정색 기와를 올린 집 중에서 아주 가끔씩 기와집 느낌나도록 흉내만 내려고 하얀 찰흙 위에 기와 얹어놓고 암막새와 수막새로 막아놓지도 않은 집이 있다.


6. 해외에서[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Kanazawa-M-5975.jpg

나가야 같은 일본식 전통 가옥이나 중국의 사합원, 토루 베트남식 전통 가옥도 기와를 얹기 때문에 의미 그대로의 기와+으로 불리기도 한다. 구글에 나라 이름+기와집으로 검색하면 많은 이미지 결과를 찾아볼 수 있다. 기와집 자체가 한자문화권에서 흔한 집이다. 전통적으로 서민들은 초가집에서 살았던 한국, 일본, 베트남과 달리 중국에서는 서민층들도 기와집에 사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화북지역에서 석재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 벽돌과 기와제조업이 성행한 영향이었다. 물론 중국이라고 해서 죄다 기와집을 짓고살았던것은 아니었고, 지역에 따라 토굴에 살거나 수상가옥에서 사는식으로 주거형태가 달랐던 면이 강했다.

굳이 동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유럽권에서도 흔하게 쓰였다. 기와 문서 참고.


7. 기타[편집]


대한민국의 대통령 관저였던 청와대도 기와집이다. 청와대(靑瓦臺)라는 명칭 자체가 푸른 기와를 덮은 집이라는 뜻. 물론 전통양식의 기와집은 아니고 지붕만 전통 양식으로 꾸민 서양식 건물이다.

북한의 지상과제인 지상락원의 기준 중 하나이기도 하다. 김일성이 제시한 지상락원의 기준이 이팝에 고기국 기와집에서 비단옷이기 때문. 물론 현실은 시궁창이기는 하고, 북한의 경제개발기에도 남한과 마찬가지로 도심지에는 아파트를 대량건축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경춘선 김유정역의 신역사가 기와집 형태로 지어졌다. 이외에 전주역, 영월역, 남원역, 구례구역, 곡성역 등 기와 지붕을 얹은 역들이 꽤 있다.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7:12:15에 나무위키 기와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보통 2년마다 지붕갈이를 했다.[2] 다만 조선 이전에는 불교가 국교급 위상이었기 때문에 이 규정 이상으로 규모가 큰 국가 사찰이 있었다. 그리고 난세라면 이 법이 무시되곤 해서 최충헌 같은 자들은 100칸을 훌쩍 넘는 기와집을 보유했다.[3] 물론 이들 인부 대부분은 그냥 초가집이나 움막집에서 살았던 것이 현실이었다. 애초에 기와집을 지을 만한 여력 자체가 없던 계층이었기 때문.[4] 엄밀히 말하면 다시 보편화한 것이다. 조선 전기 때까지만 해도 2층 건물은 보편적이었고, 그 이후에도 덕수궁 석어당창덕궁 경훈각 등의 2층 건물들이 남아 있었고, 사료에서도 2층 건물에 대한 기록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 다만 조선 후기에는 온돌 수요 증가로 목재 자체가 많이 비싸진지라 2층 한옥을 주로 상가 건물이나 궁궐, 절, 일부 관공서를 제외하면 별로 많이 지어지지 않았던 것이었다.[5] 못 살던 시절의 상징인 초가집은 적극적으로 없앴지만 기와집은 논외였다. 오히려 이 시기에 경주 등 전국의 관광지에는 기와집 지붕을 흉내낸 건물을 대거 건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