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용(후삼국시대)

덤프버전 :



자칭
평양성주장군(平壤城主將軍)
이름
검용(黔用)
생몰연도
? ~ ?
1. 개요
2. 상세
3. 정체


1. 개요[편집]


신라 말기와 후삼국시대군웅이자, 호족. 한자음를 다르게 읽어서 유금필을 유검필로도 읽는 것처럼 금용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남북국시대 신라 진성여왕 대에 전국에서 호족도적떼가 들고 일어나 난세가 시작될 즈음에(발해 기준으론 건황왕대) 검용은 평양성주장군(平壤城主將軍)의 직위에 있었거나 그걸 자칭하고 있었다.

궁예가 한참 사방으로 땅을 넓힐 때 평양과 인접한 패서왕륭, 박지윤, 황보제공, 유천궁 등의 유력 호족들에게 항복을 싹 받아내고 905년에는 패서 13진(鎭)을 만드는 등 태봉의 기반을 다지자 바로 인접하게 된 검용도 궁예에게 항복해왔다. 같은 시기 인근 증성(甑城, 지금의 남포시 강서군)의 적의적(赤衣賊), 황의적(黃衣賊), 명귀(明貴) 등이 항복하고 염주 지역에서 대항하던 유긍순을 무너뜨리면서 궁예는 대동강 이북까지 세력을 뻗치게 된다.

3. 정체[편집]


검용이 신라에 복속하던 변방의 호족인지, 발해에 복속하던 변방의 호족인지, 아니면 어느 쪽도 아닌 원래부터 독립적이던(심하게는 아예 말갈계) 호족인지는 기록이 부족해 알기 어렵다. 이전까지는 남북국시대 지도에서 발해의 중심지가 평양에서 매우 먼 상경용천부였더라도, 발해가 평안도 일대는 물론 평양성을 접수한 것으로 표시해 왔다. 하지만 신라 또한 발해가 점거하지 못한 부분을 꾸준히 접수하면서 북쪽으로 영토를 넓히고 있었기 때문에 평양 일대는 오히려 신라의 영향권이었다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1]

따라서 원래는 검용이 발해계 호족이었다는 견해가 많았지만 갈수록 신라계 호족이었다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참고로 발해계 호족이었다 해도 886년 지금의 함경도에 있던 말갈 소국인 보로국이 발해 중앙정부를 무시하고 멋대로 헌강왕 대의 신라와 통교하려 했던 기록을 보면, 발해 역시 신라와 마찬가지로 변방에서부터 통제력이 점차 무너져가고 있었다는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또한 궁예가 이전 894년 10월 명주에서 군대를 14대(隊)로 편성하고, 금대(金大)·검모(黔毛)·흔장(昕長)·귀평(貴平) 등을 군대 사상(부장部長)으로 삼을 때 검모(黔毛)라는 이름이 비슷한 자가 있던 것+말갈계였을 경우 이에 대한 기록이 남았을 가능성이 높은 걸로 봐서는[2] 말갈계보단 한국계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다만, 발해나 신라나 같은 한국계로서 같은 체계의 한자식 인명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3] 이것만 가지고 발해계인지 신라계인지 구분 짓는 건 불가능하다. 당장 박어박승, 김신처럼 아예 신라계 발해인들로 추정되는 이들 또한 있었다.

마찬가지로 이때부터 다시 역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는 고구려계나 백제계 호족들 또한 인명체계는 대동소이하다. 어차피 발해계든 신라계든 삼국시대부터 유사한 문화를 향유하고 있던 한국계인 건 매한가지였고 무엇보다도 검용의 세력은 위치상 바로 옆에 있던 왕건을 위시한 고구려계 패서호족들과 문화적으로 크게 다를 것이라 추정되긴 힘들기 때문에 발해계나 신라계라는 딱 떨어지는 구분보다는 난세에 등장한 변방의 독립적인 한국계 호족 중 하나로 보는 편이 합리적일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1:15:55에 나무위키 검용(후삼국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이러한 과정에서 발해와 신라가 직접적으로 충돌한 적은 적어도 기록상으론 전혀 없다. 유일하게 충돌할 뻔한 적은 당나라가 신라에 발해를 협공하자고 요청할 때였는데 신라의 소극적인 태도와 험한 기후로 인해 이루어지지 않았다.[2] 예를들어 무슨무슨 추장이라는 식으로 기록이 남는 경우가 많았다.[3] 고유식을 음차한 경우라도 형태가 크게 다르진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