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령총 유리잔

덤프버전 :

파일:금령총 유리잔1.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1924년 금령총에서 발굴된 삼국시대 신라유리잔 2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편집]


파일:금령총 유리잔2.jpg

일제강점기인 1924년에 일본인 우메하라(梅原末治) 등이 금령총을 발굴·조사하던 중 발견한 신라시대 유리잔으로,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소형방제경(小形髣製鏡), 주형토기(舟形土器), 그림이 그려진 백화수피제(白樺樹皮製), 금동제신발, 은제허리띠, 띠드리개, 금동장안장틀(金銅裝鞍橋), 발걸이(鐙子), 금동장고리자루칼, 금은장소도(金銀裝小刀), 금동제합(金銅製盒), 쇠솥, 각종 그림이 그려진 칠기(漆器), 유리잔 등 약 만여점의 고신라시대 유물들과 함께 출토되었다.

제작 연대는 같이 출토된 다른 유물들과 마찬가지로 대략 6세기 초엽(서기 500년대 초)으로 추정된다.

파일:금령총 유리잔3.jpg

신라시대의 이국적인 유리그릇은 천마총, 황남대총만이 아니라 금관총, 서봉총, 금령총 등에서도 나왔다. 모두 많은 껴묻거리(부장품)를 묻은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 형식의 신라시대 왕릉급 무덤들이며, 현재 이들 고분에서 나와 복원된 유리용기만도 20여점이 넘는다. 이러한 유리그릇들의 상당수는 서아시아지중해 주변에서 온 것으로 분석된다. 로마 제국기에 성행한 ‘로만글라스’의 후기 모델(4~5세기 말)이거나 로만글라스를 장식적 측면에서 업그레이드한 서아시아 사산조 페르시아(3~7세기)의 ‘사산글라스’다.

파일:금령총 유리잔4.jpg

금령총 유리잔을 비롯한 이러한 유리 작품들은 학술적으로 신라지중해, 서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문물교류를 실증하는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1,500여년 전 신라인들이 사용하던 유리잔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3.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6:19:27에 나무위키 금령총 유리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