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만화가에 대한 내용은 SIU 문서
SIU번 문단을
SIU#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기화합물 - 탄수화물
[ 펼치기 · 접기 ]
평면구조
알도스, 케토스, 피라노스, 푸라노스
기하구조
아노머, 에피머, 변광회전
단당류(단순당)
일탄당
포름알데하이드
이탄당
글리콜알데하이드
삼탄당
알도스 - 글리세르알데하이드
케토스 - 디히드록시아세톤
사탄당
알도스 - 에리트로스, 트레오스
케토스 - 에리두르로스
오탄당
알도스 - 리보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크실로스), 릭소스
케토스 - 리불로스, 자일룰로스(크실룰로스)
디옥시당 - 디옥시리보스
육탄당
알도스 - 알로스#탄수화물, 알트로스, 글루코스(포도당), 만노스,
굴로스, 아이도스, 갈락토스, 탈로스
케토스 - 프시코스, 프럭토스(과당), 소르보스, 타가토스
디옥시당 - 푸코스, 푸쿨로스, 람노스
칠탄당
케토스 - 만노헵툴로스, 세도헵툴로스
팔탄당
메틸티오린코사마이드
구탄당
알돈산 - 뉴라민산
복당류(복합당)
이당류
수크로스(설탕), 락토스(유당), 말토스(엿당), 트레할로스, 투라노스, 셀로비오스
삼당류
라피노스, 멜레치노스, 말토트리오스
사당류
아카보스, 스타키오스
소당류
올리고당
다당류
글리코겐, 녹말, 셀룰로스(섬유소), 덱스트린
질화당류
글루코사민, 키토산, 키틴
할로겐화당류
수크랄로스, 플루오로디옥시포도당




파일:glucose.png
파일:glucose_chain.png
위는 고리 모양 포도당, 아래는 사슬 모양 포도당. 고리 모양 포도당은 1번 탄소 위치에서 –OH의 위치에 따라 α-, β-포도당으로 나뉜다.

1. 개요
2. 특징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포도당(, grape sugar)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로스(dextrose)란 육탄당(hexose)의 주요한 단당류중 하나로, 단맛이 있고 물에 잘 녹으며 환원성이 있다. 생물 조직 속에서 에너지원으로 소비된다. 분자식은 C6H12O6이다. 이름대로 과일인 포도에 매우 풍부하게(10~15%) 들어있기도 하다. 하지만 포도에 많이 있어서 포도당으로 이름이 붙여진 건 아니다.

1747년 독일 화학자, 발명가 안드레아스 지기스문트 마르그라프(Andreas Sigismund Marggraf, 1709 ~ 1782)가 건포도에서 뽑아낸것에서 유래한다.[1]

'글루코오스'는 '단맛'을 뜻하는 의미의 그리스어 'γλυκύς'에서 유래했으며, 두 가지의 광학 이성질체가 있다. '덱스트로스는 '오른쪽'과 '당'이라는 뜻이며 이것이 포도당이다. 한편, 반대되는 말인 '레불로스(levulose)'는 과당을 가리킨다. 글루코오스, 덱스트로스 둘 다 쓰이는 용어이지만, 일상적으로는 글루코오스 쪽이 압도적으로 널리 쓰인다. 혈액에 들어 있는 당이라 '블러드 슈거(blood sugar)'라고도 한다.

자연에서 발견되는 형태의 포도당은 D-glucose로, 이 형태를 dextrose라 하기도 한다. 인체에서 사용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포도당 정주에 사용하는 5% dextrose saline(5%포도당생리식염액)이나 5% dextrose in water(D5W) 등 후술할 의학적인 사용에서는 dextrose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2. 특징[편집]


생명체의 주 에너지 발생원으로 피에 녹아 있으면 혈당()이라고 한다. 피에 포도당이 너무 많이 있으면 고혈당, 너무 적게 있으면 저혈당이 된다.[2] 인체의 항상성 유지로 혈당이 높아지면 인슐린이, 낮아지면 글루카곤(및 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조절한다.[3] 이 항상성이 무너지는 질병이 바로 당뇨병이다. 또한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헤모글로빈을 당화시켜 당화혈색소수치를 높이는 원인이 되는 것이 바로 이 포도당이다.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미토콘드리아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원료이고, 는 다른 부위와 달리 포도당 및 케톤만을 사용한다. 그래서 정신적으로 피로할 때 포도당을 섭취하면 정신력이 돌아오는 신기한 일도 일어난다.[4] 우리 몸에서 꼭 필요로 하는 성분이기 때문에 부족하면 지방을 동원해서라도 만들어내려고 한다. 이걸 이용한 게 황제 다이어트다. 단식 등으로 탄수화물의 공급이 끊기면 뇌는 지방을 분해하여 나온 케톤체를 포도당 대신 쓰는데, 케톤은 포도당과 달리 지방을 분해해서 생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공급이 어렵고 그에 따라 초기에는 어질어질하거나 짜증스러운 느낌이 들 수 있다. 하지만 기아 상태에 놓이거나 LCHF 다이어트 등으로 케톤을 에너지로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지속되면 인체는 그에 적응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몇 달 내내 굶어서 지방마저 거의 고갈되면 신체는 스스로를 파괴해 아미노산을 분해한다. 즉, 다이어트하다가 병원신세 질 수도 있다.[5]

당뇨병 환자의 경우 관리가 되지 않아 포도당이 죄다 오줌으로 빠져나가 버리는 막장상황이 오면 위에 서술했듯 뇌는 지방을 분해하고 케톤체가 혈중에 너무 많아져 산독증을 일으키는 이른바 당뇨병성 케톤산혈증에 걸리게 된다. 급성 합병증 중에서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인데, 이 상태에서도 치료 없이 두면 짤없이 사망한다. 2형 당뇨병 환자는 어지간히 관리 안 하지 않는 이상 여기까지 오지도 않지만, 1형 당뇨병이라면 인슐린 투여량을 잘못 조절하기만 해도 쉽게 올 수 있다. 이 합병증의 설명에도 체내에 절대적으로 인슐린이 부족할 경우에 걸린다고 서술되어 있다.

다만 포도당을 뇌로 수송하는 수송체가 없는 초 희귀병 '포도당 수송자 1 결핍증'으로 인해 탄수화물을 먹을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포도당이 케톤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케토니아 등 케톤을 주기적으로 섭취해야 한다.

D형과 L형이 있는데, 우리 몸은 D형 포도당만 분해할 수 있다. 그래서 세포 안으로 포도당을 들여오는 수송단백질도 L형 포도당은 옮기지 않는다. 때문에 L형 포도당을 당뇨병 환자를 위한 저칼로리 감미료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지나치게 높은 제조가로 인해 실제로 상용화되지 못했으며[6], 대신 비슷한 물건이라고 할 수 있는 타가토스가 저칼로리 감미료로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는 중이다. 최근 한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감미료 알룰로스도 이와 유사한 물질이다.

자기 자신 혹은 다른 당이나 당알코올 등과 글리코시드 결합해서 설탕, 엿당, 녹말 등을 구성하기도 한다. 감미료로서의 포도당의 당도는 설탕의 약 75%정도이며, 보통 2당류(설탕, 엿당, 젖당)가 클라이막스고 몸집이 커질수록 단맛이 약해진다. 당연히 몸집이 가장 큰 녹말은 단맛이 없다. 녹말을 입에 넣고 단맛이 느껴진다면 그건 여러분의 에서 나온 아밀레이스로 인해 입안에서 소화되어 단맛이 나는 작은 당류로 변하기 때문이다.

청록색인 베네딕트 용액과 반응해서 황적색으로 변화시킨다.[7] 상온에서는 잘 반응하지 않기에 반드시 가열해야 반응한다. 가열하지 않고도 반응하는 지시약으로는 질산은암모늄이 있지만, 비싸다.

식염수, 아미노산과 함께 수액으로 많이 쓰인다. 소화기관 내시경이나 개복수술 등을 앞둘 때를 비롯한 소화기가 비어 있어야 하는 상황이나, 중태에 빠져서 자기가 스스로 식사할 수 없을 때 주식을 대체하는 용도로 쓰인다.[8]

원예시장에서 꽃꽃이가 오래가게 하거나 햇빛을 잘 못 본 식물의 활력제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식물이 광합성으로 합성해내는 것이 바로 포도당이며, 식물의 에너지원도 포도당이기 때문이다.

아폴로포도당 캔디의 주원료이기도 하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3:58:52에 나무위키 포도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근거 https://en.wikipedia.org/wiki/Glucose#History[2] 정상인의 혈당은 공복 시 70~100 ㎎/dL, 식사 2시간 후 70~140 ㎎/dL다. 1 dL = 100 mL이므로 혈액 1 L당 1 g인 셈.[3] 참고로 21세기에서는 당뇨병의 무시무시한 합병증이 강조되어 고혈당이 더 위험한 것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은데, 우리 신체는 고혈당보다 저혈당을 훨씬 더 위험한 상황으로 간주한다. 고혈당의 경우 당장 죽지는 않으나 저혈당의 경우는 몇십 분~몇 시간 내의 지속만으로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인체 내부에서 혈당을 올리는 기전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혈당을 내리는 기전은 인슐린 뿐이다.[4] Gailliot, M. T., Baumeister, R. F., DeWall, C. N., Maner, J. K., Plant, E. A., Tice, D. M., ... & Schmeichel, B. J. (2007). Self-control relies on glucose as a limited energy source: willpower is more than a metaph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2), 325[5] 재난 상황에서 발생한 기아 상태의 경우, 이 지경까지 되도록 구호조치가 없다면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신체는 온갖 조직들을 분해하다가 결국은 심장 근육까지 분해하게 되는데, 당연하지만 심장 근육이 손상되면 사망한다.[6] 1 g당 무려 10만원정도에 가격이 형성된다.[7] 사실 이건 알데하이드 작용기를 가진 모든 알도스에 적용되는 사항이다. 베네딕트 용액에는 2가 구리 양이온이 존재한다. 알데하이드는 다른 화합물들을 환원시키는데, 알데하이드 작용기가 구리 2가 이온을 1가 이온으로 환원시키면서 산화물을 형성한다. 이 산화물이 황적색을 띠기 때문에 푸른색이 황적색으로 변한다.[8] 이 포도당을 수액으로 맞고나면 신기하게도 밥을 먹은거같이 배부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