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복/대만군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군복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기타 정치인
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역사 ]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공자 · 쿵더청)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2차) · 국민혁명(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반장전쟁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사회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문화 ]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요리
요리 전반(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변검) · 잡극(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四靈 · 오룡#다섯 마리의 용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중국어 교과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기타 ]


1. 개요
2.3. 의장복
2.4. 군악복
2.5. 생도복
2.6. 전투복
3.1. 정복
3.1.1. 동정복
3.1.2. 하정복
3.2. 근무복
3.2.1. 동근무복
3.2.2. 하근무복
3.3. 의장복
3.3.1. 동계 의장복
3.3.2. 하계 의장복
3.4. 군악복
3.5. 작업복
3.7. 생도복
4. 해군 육전대
4.1. 정복
4.2. 근무복
4.3. 의장복
4.4. 군악복
4.5. 전투복
5.1. 정복
5.2. 근무복
5.3. 비행복
5.4. 의장복
5.5. 군악복
6. 헌병
6.1. 정복
6.2. 근무복
6.3. 흑복


1. 개요[편집]


동중국해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 인민해방군과 대치하는 대만군의 군복을 다룬다. 냉전기 자유진영의 국가답게 전반적으로 미군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 때문에 대한민국 국군과도 상당히 비슷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2007년 이후론 적군도 비슷한 것을 입게 되었다

크게 군상복(軍常服), 군편복(軍便服), 야전복(野戰服)으로 구분되는데, 야전복은 우리군의 전투복이고, 군편복은 근무복 겸 약식정복, 군상복은 정복과 같으나, 이 중 군상복의 경우 2014년 구 예복이 폐지 된 현재로썬 타국군의 예복에 해당하는 각 군 최상급 군복이다. 상복을 착용하는 경우는 대만 법률에선 다음과 같이 정한다.#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3 條<개정 民國 103年 01月 29日>
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3조<개정 2014년 1월 29일>
現役軍人穿著軍常服之時機如下
현역 군인이 군상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一、晉謁總統或友邦元首。
1. 총통이나 우방국 국가원수를 예방 할 때.
二、參加本國或外國大典或宴、酒會。
2. 본국 혹은 외국의 큰 행사·연회·만찬에 참석 할 때.
三、正式訪問或回訪友邦文武官員。
3. 우방국 문무 공무원을 정식방문 혹은 답방 할 때.
四、參加重要典禮或出席其他正式場合。
4.중요행사 혹은 공식석상에 설 때.
五、平時辦公或外出。
5.평상시 근무시 혹은 외출 시.


다음으로 우리네 근무복격인 군편복의 법조항은 다음과 같다.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4 條
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4조
現役軍人穿著軍便服之時機如下
현역 군인이 군편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一、參加軍人各種典禮。
1. 각종 군 관련 행사에 참석 할 시.
二、平時辦公或外出。
2.평상시 근무시 혹은 외출 시.


마지막으로 우리네 전투복격인 야전복의 법조항은 다음과 같다.

陸海空軍服制條例 第 5 條
육해공군 복제 조례 제5조
現役軍人穿著野戰服之時機如下
현역 군인이 야전복을 입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一、戰鬥。
1. 전투
二、各種演習或訓練。
2.각종 연습 및 훈련시.
三、營內、外操作。
3.영내 및 외부작업
四、平時辦公或外出。
4. 평상시 근무 혹은 외출시.


역시 여느 나라와 마찬가지로 민간인이 군인을 참칭하고자 군복을 입는 경우는 금지되며, 예비역의 경우 국방부장이 정하는 경우 착용이 허가된다.


2. 육군[편집]



2.1. 정복[편집]


육군 정복의 경우 참모총장부터 이등병까지 동·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착용한다. 역시 위 법 조항에 따라 정복의 역할 뿐 아니라 예복의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에서 2017년 복제개편 이후 정·예복이 통합된 대한민국 육군과 같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육군1.png
파일:대만육군2.png
군상복


2.2. 근무복[편집]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육군3.png
파일:대만육군4.png
갑식 군편복
파일:대만육군5.png
파일:대만육군6.png
을식 군편복
파일:대만육군7.png
파일:대만육군8.png
병식 군편복


2.3. 의장복[편집]




2.4. 군악복[편집]




2.5. 생도복[편집]




2.6. 전투복[편집]


파일:대만육군 구형.jpg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는 우드랜드 패턴 전투복이 지급되었다. 미군이나 한국군 우드랜드에 비해 색상이 밝은 편이었다.

파일:ROCarmy2.jpg
2010년대부터 디지털 위장무늬 전투복이 지급된다. 대한민국 국군의 특전픽셀 위장무늬에서 명암구분을 좀더 진하게 한 느낌이 든다.


위장 효과 테스트 영상

3. 해군[편집]



3.1. 정복[편집]



3.1.1. 동정복[편집]


해군의 표준 영국 해군의 영향을 받아 우리 해군, 미 해군해상자위대와 마찬가지로 견장은 달리지 않으며, 수장으로 계급을 가늠한다. 한편, 중사 이하 남군의 동정복은 말그대로 검은색 세일러복이며 굳이 남군에 강조를 친 이유는 여군 수병의 경우엔 간부와 같은 동정복을 착용하기 때문이다. 수병 동정복의 깃이 정복과 같이 검은색인 우리 해군과는 다르게 영국의 영향을 받아 파란색이며, 깃에 줄 말고는 별다른 장식이 안그려진 우리 해군과는 다르게 대만 국기에도 그려진 청천백일이 그려져 있다. 또한 수병들이 A형 정모를 쓴다는 것 또한 아 해군과의 큰 차이다.
CPO 이상 남군용
중사 이하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군1.png
파일:대만해군3.png
파일:대만해군2.png
동계 군상복


3.1.2. 하정복[편집]


1987년 이후 카키색 정복을 폐지한 대한민국 해군과는 다르게 여전히 카키색 정복을 착용한다.[1] 또 약식정복으로 병식상복이 있는데 이것의 형상은 대한민국 해군의 하약정복과 같으며, 역시 우리 해군과 같이 수병은 흑단화, CPO이상 남군 및 여군은 백단화를 착용한다.
CPO 이상 남군용
중사 이하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군4.png
파일:대만해군6.png
파일:대만해군5.png
하계 갑식 군상복
CPO 이상 남군 및 여군에 한하여 87년 카키 정복을 폐지하기 이전의 아 해군과 같이 해군의 전통적인 백색정복은 하예복으로 대하며, 중사 이하 남녀 장병들에겐 아래의 을식 군상복이 지급되지 않기에 하정복이다.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7.png
파일:대만해군8.png
하계 을식 군상복
CPO 이상에게만 지급되었던 미군의 드레스 카키의 예와 같이 하계 을식 군상복의 경우 남녀를 통틀어 중사 이하에겐 지급되지 않는다.
CPO 이상 남군용
중사 이하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군9.png
파일:대만해군11.png
파일:대만해군10.png
하계 병식 군상복


3.2. 근무복[편집]



3.2.1. 동근무복[편집]


동·하 근무복에는 카라 계급장만 부착되는 아 해군과 다르게 하계 정복처럼 견장이 부착된다.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12.png
파일:대만해군13.png
동계 갑식 군편복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14.png
파일:대만해군15.png
동계 을식 군편복
육군과는 다르게 게리슨모를 착용하진 않는다.
중사 이하 남군
중사 이하 여군
파일:대만해군16.png
파일:대만해군17.png
동계 군편복
수병 근무복의 경우 대한민국 해군 출신들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옷인데, 해군 전역자 및 현역들이 샘당이란 애칭으로 부르는 샘브레이당가리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모자까지 빵모 한국 해군에선 군악대의장대를 제외하곤 쓸 일이 없는 A형 정모가 아니라 대다수 해군 출신에게 익숙할 B형 정모인지라 확인사살. 역시 우리 해군과 마찬가지로 작업복을 겸한다.


3.2.2. 하근무복[편집]


하계 근무복에 긴팔 근무복이 있는 것을 제외하면 대한민국 해군과 완전히 같으나, 여기서도 한국 해군과의 차이점은 우리는 동 하 샘브레이가 모두 긴팔이며, 혹서기(6~8월) 시 하 샘브레이의 소매를 걷어 올리나, 대만 해군의 경우 하계용이 아예 반팔 샘브레이라는 것이다. 다만, 우리 해군도 역시 80년대까진 반팔 샘브레이가 존재했다.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18.png
파일:대만해군19.png
하계 갑식 군편복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20.png
파일:대만해군21.png
하계 을식 군편복

CPO 이상 남군용
CPO 이상 여군용
파일:대만해군22.png
파일:대만해군23.png
하계 병식 군편복
을식부터 게리슨모를 착용하는 육군과는 다르게 병식까지 내려와야 게리슨 모를 쓴다.
중사 이하 남군
중사 이하 여군
파일:대만해군24.png
파일:대만해군25.png
하계 군편복


3.3. 의장복[편집]



3.3.1. 동계 의장복[편집]




3.3.2. 하계 의장복[편집]


파일:800px-Three_ROCN_Honor_Guards_Talking_at_Hsinchu_AFB_Parking_Lots_20120602.jpg
2012년 부대개방행사에서 해군 의장대


3.4. 군악복[편집]


파일:800px-ROCN_Band_Marching_in_Keelung_Naval_Pier_after_Practice_20140327b.jpg
2014년 3월 군항 개방 행사에서 해군 군악대

우리 해군과 비슷하게 군악복이 일반 수병의 정복과 크게 다르지 않은 형태로 대만 해군의 경우 일반 정복에 견식줄이 추가 된 형태이다. 와중에 사진 속 수병들 피곤해 보인다


3.5. 작업복[편집]




3.6. UDT[편집]




3.7. 생도복[편집]




4. 해군 육전대[편집]


육군 정복과 마찬가지로 사령관부터 이병까지 같은 옷을 입는다.


4.1. 정복[편집]


갑식 하상복의 경우 모표 등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면 해군과 같으나, 중사 이하 사병 또한 세일러복이 아닌 간부와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입는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3.png
파일:대만해병4.png
하계 갑식 군상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1.png
파일:대만해병2.png
동상복 겸 하계 을식 군상복
하계 을식 군상복의 경우 동정복을 겸하며, 특이하게도 같은 군종 소속 장병임에도 남군은 흑록색 정모를, 여군은 백색 정모를 쓴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5.png
파일:대만해병6.png
하계 병식 군상복
병식의 경우 갑식과 마찬가지로 중사 이하 남군도 간부들과 같은 디자인의 옷을 입으나, 남군 중사 이상은 백단화에 백양말, 남군 하사 이하는 흑단화에 흑색양말을 신는 차이가 있다. 여군의 경우 신분에 따로 적용되는 차이점이 없다.


4.2. 근무복[편집]


역시 자잘한 차이를 제외하면 해군과 같다. 한국 해병대와 마찬가지로 미국 해병대의 영향을 받았기에 넥타이의 색상이 근무복과 비슷하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7.png
파일:대만해병8.png
갑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9.png
파일:대만해병10.png
을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해병11.png
파일:대만해병12.png
병식 군편복


4.3. 의장복[편집]




4.4. 군악복[편집]




4.5. 전투복[편집]


파일:대만해병 구형.jpg}}}
육군과는 달리 타이거 스트라이프 위장복을 입으며, 팔각모를 쓴다. 방탄모 자체에 위장용 무늬가 새겨져 있어서 위장포를 따로 씌우지 않는다.

파일:대만해병 신형.jpg}}}
2010년대에 육군이 디지털 무늬를 채용한 것에 맞추어, 육전대도 디지털 무늬를 적용한 타이거 스트라이프 위장복을 지급하기 시작했다.

}}}
위장 효과 테스트 영상

5. 공군[편집]



5.1. 정복[편집]


공군 정복의 경우 참모총장부터 이등병까지 동·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정복을 착용한다. 역시 위 법 조항에 따라 정복의 역할 뿐 아니라 예복의 기능도 수행한다는 점에서 2017년 복제개편 이후 정·예복이 통합된 대한민국 공군과 같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공군1.png
파일:대만공군2.png
군상복


5.2. 근무복[편집]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공군3.png
파일:대만공군4.png
갑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공군5.png
파일:대만공군6.png
을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공군7.png
파일:대만공군8.png
병식 군편복


5.3. 비행복[편집]




5.4. 의장복[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Escorts_in_the_Sun_Yat-sen_Memorial_Hall.jpg
중정기념당대만 공군 의장대[2]
동 하 구분 없이 사계절 같은 디자인의 의장복을 입는다. 대한민국 국군 의장대와 확연히 구분되는 점은 피켈하우베에서 피켈만 뺀 것 같은 금속재 하이바.


5.5. 군악복[편집]




6. 헌병[편집]



6.1. 정복[편집]


갑식의 경우 색깔 차이를 제외하면 육군과 제식이 같으나 육군에는 없는 약식정복이 존재한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헌병1.png
파일:대만헌병3.png
갑식 군상복

남군용
파일:대만헌병2.png
을식 군상복


6.2. 근무복[편집]


대만에선 군편복이라 칭하며, 갑·을·병식의 3종류로 구분한다. 갑식은 정모에 긴팔 셔츠에 넥타이, 을식은 게리슨모에 넥타이를 매지 않은 긴팔 셔츠, 병식은 을식에서 반팔 셔츠다. 이 중 갑식 군편복은 약식정복을 겸하며, 군상복과 같이 전 장병이 같은 옷을 입는다.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헌병4.png
파일:대만헌병5.png
갑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헌병6.png
파일:대만헌병7.png
을식 군편복

남군용
여군용
파일:대만헌병8.png
파일:대만헌병9.png
병식 군편복


6.3. 흑복[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2:05:55에 나무위키 군복/대만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7년 폐지 이전엔 대한민국 해군 또한 카키색 정복이 하정복, 현재의 하정복인 백색 정복은 하복이였다.[2] 대열 양 끝에 서 있는 녹색 옷은 대만 육군 의장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