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통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기타 실전(失傳)
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國朝通紀.


1. 개요[편집]


조선 역대왕들의 사적을 간단히 정리한 편년체의 역사책. 1470년(예종 1)부터 1515년(중종 10)까지 예종, 성종, 연산군, 중종의 4대 사적, 총 46년간의 사실을 수록하고 있다.


2. 내용[편집]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책이다. 총 10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3권 1책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10책 완질본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서 정확한 편찬 시기 및 편찬자, 편찬 동기 등은 알 수 없고, 다만 조선 후기에 정부의 주도로 만들어진 관찬도서인 것으로 추정 중이다. '통기(通紀)'는 주로 기존에 있던 여러 사료들을 편찬하여서 기록한 역사책들을 말하며, '국조(國朝)'는 우리나라의 조정, 또는 그 당시의 조정을 의미하는 말이다.

일반적인 정사 내용을 요약해 놓은 것은 아니고, 대개 왕이나 왕실과 직접 관계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래서 여러 내용에 대한 주요 입장은 국왕 또는 왕실의 입장에서 정리. 따라서 왕명, 왕의 언행, 전교(傳敎) 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도 기타 왕실과 관계된 행사, 의식, 서적편찬 관계의 내용도 기록되어 있다. 네 임금 모두 즉위한 해는 기록하지 않았으나 원년부터 재위년을 표시하여 서술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재위년 위에는 간지를 표시하고, 아래에는 중국연호를 기재하여 찾아보기 쉽게 해 놓았다. 매 책장 뒷면에는 지세관계기록(地稅關係記錄)[1]이 있으나 정확한 연대나 지역은 확인되지 않는다.

원래 우리나라에 전해지고 있던 것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던 3권 1책의 분량이었는데, 이후 확인 결과 일제강점기이토 히로부미가 국조통기 완질본 10책을 일본으로 반출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때문에 해방 이후로도 줄곧 일본에 보관되어 있다가 2010년 11월 한일도서협정에 따라 한국으로 다시 완전 반환되어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연합뉴스 : 이토 히로부미가 국내서 반출한 도서


3.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0:28:19에 나무위키 국조통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각 지방마다의 조세 관계를 기록한 것.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