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덤프버전 : (♥ 0)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國民大學校 韓國學硏究所
KOOKMIN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STUDIES
파일:국민대-한국학연구소 로고.png
국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분류대학부설 연구소
설립연도1974년
연구소장 김영미
소재지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북악관 918호
웹 사이트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홈페이지


1. 개요
2. 소장
3. 발간자료
3.1. 정기간행물
3.1.1. 한국학논총
3.2. 단행본
4. 연혁


1. 개요[편집]


제1조 본 연구소는 국민대학교 부설 한국학연구소(이하 "본 연구소" 라 한다)라 칭한다.

제2조 본 연구소는 한국문화 전반에 걸친 문제를 연구하며 민족문화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조 본 연구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사업을 한다.

1. 한국문화에 관한 연구
2. 연구발표회, 공개강좌 및 학술토론회의 개최
3. 연구론문집 및 연구자료의 간행
4. 연구자료의 모집 및 정리
5. 기타 본 연구소 목적에 수반하는 사항

국민대학교 규정집 한국학연구소 규정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한국역사문화 연구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974년 4월에 설립되었다. 주요사업으로 연구소 학술지를 매년 간행하고, 한국사 분야 연구자료를 수집․정리하고 있으며, 한국사 관련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그 외 정기 연구세미나, 학술회의, 공개강좌 등을 개최하고 그 연구성과를 학술연구총서, 자료총서 등으로 간행하고 있다.

2. 소장[편집]


김영미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교수

3. 발간자료[편집]



3.1. 정기간행물[편집]



3.1.1. 한국학논총[편집]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총
파일:한국학논총.jpg파일:한국학논총 구판.jpg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등재 여부등재
창간1978년 02월
발간주기연 2회
발간월2월, 8월

3.2. 단행본[편집]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단행본
발간연월발간자료명ISBN번호발간부수
1997-12조선시대 양로연의례와 어연의례 연구(궁중문화 재현행사 고증연구 총서 2)-1,000 부
2001-11경기북부 구전자료집 189-7878-558-11,000 부
2001-11경기북부 구전자료집 289-7878-558-11,000 부
2002-07경기북부지역의 神堂과 祭場89-7812-031-81,000 부
2003-02日本 九州地域 現地調査 資料集-1,000 부
2003-02전라도지역 역사와 문화유적-1,000 부
2003-05귀환생존자 구술자료집1(전남 함평군편)-1,000 부
2003-05귀환생존자 구술자료집2(전남 장성군편)-1,000 부
2003-05미귀환생존자 구술자료집(중국 연변 화룡시 숭선향`용성향편)·귀환생존자 연구-1,000 부
2003-07북간도지역 항일운동유적지 탐방자료집-1,000 부
2003-08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1―안동문화권89-90848-01-62,000 부
2004-03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2―경주문화권89-90848-02-42,000 부
2004-05귀환생존자 증언집 4 (제주도·나주시·보성군·광양시)-1,000 부
2004-05귀환생존자 증언집 5 (안동시·군위군·영주시·예천시·의성군·청송군) / (양주시)-1,000 부
2004-05귀환생존자 증언집 6 (광주시·부산시·예천·의성군 편)-1,000 부
2004-05귀환자료총서 1―일본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189-90848-05-91,000 부
2004-05귀환자료총서 2―일본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289-90848-06-71,000 부
2004-05귀환자료총서 3―중국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389-90848-07-51,000 부
2004-05귀환자료총서 4―일본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489-90848-08-31,000 부
2004-05귀환자료총서 5―일본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589-90848-09-11,000 부
2004-06北海道 歷史와 韓國人-1,000 부
2004-08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3―지리산문화권89-90848-11-33,000 부
2004-10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集姓村과 士族89-7812-039-31,000 부
2005-03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4―금강문화권89-90848-12-13,000 부
2005-09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5―태백문화권89-90848-15-63,000 부
2006-01귀환자료총서 10―대만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1089-90848-19-91,000 부
2006-01귀환자료총서 6―중국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689-90848-15-61,000 부
2006-01귀환자료총서 7―중국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789-90848-16-41,000 부
2006-01귀환자료총서 8―중국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889-90848-17-21,000 부
2006-01귀환자료총서 9―대만지역 한인 귀환과 정책 989-90848-18-01,000 부
2006-01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송전리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주유소) 부지조성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100 부
2006-02사료로 본 경주문화권89-7812-151-91,000 부
2006-02사료로 본 안동문화권89-7812-150-01,000 부
2006-02사료로 본 영산강문화권89-7812-101-21,000 부
2006-04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를 찾아서 6―영산강문화권
들녘과 바닷길로 어우러진 2천년
89-90848-26-13,000 부
2006-10사군강산삼선수석 기야 이방운-100 부
2006-12동두천시 문화유적 분포지도-100 부
2007-02사료로 본 낙동강문화권89-7812-162-01,000 부
2007-02사료로 본 탐라문화권89-7812-161-31,000 부
2007-08사료로 본 지리산문화권-1,000 부
2009-02사료로 본 태백문화권89-7812-280-1-939001,000 부
2009-08사료로 본 금강문화권978-89-7812-285-61,000 부

4. 연혁[편집]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혁
연월내용
1974-04연구소 설립
1978-02한국학 논총 발간
1981-10고병익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2-10김재원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3-10천관우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4-10이기백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5-11전해종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6-11김원용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7-11유홍렬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88-10왈러반(네덜란드대) 초청 학술강연회
1993-06안휘준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3-10유홍준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3-11한국도로공사의 의뢰로 '서해안 고속도로(안산~안중간) 문화유적 지표조사' 연구 과제 수행(국민대 박물관 공동)
1995-03김두진 교수 한국학연구소장 취임 학술강연회
1995-05이내옥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5-06박창욱(중국연변대)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5-06연구소 활성화 특강
1995-09박종기 교수 학술강연회
1995-10연구비 다변화를 위한 특강
1995-12연구소 활성화 방안을 위한 좌담회
1996-03연구소 연구 진흥방안을 위한 특강
1997-01'조선시대 양로연의례와 어연의례의 연구' 문화재관리국 주관 궁중문화재현행사 고증 연구과제 선정, 수행(1997년 12월까지)
1997-05최홍빈(중국연변대)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7-08조동걸 선생 초청 학술강연회
1997-12'경기 북부지역의 향토사 자료와 그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대학부설연구소지원 연구과제 선정, 수행(2000년 11월까지)
1998-11나자르 하디디ㆍ압둘리라 파딜(이라크 바그다드대 학장) 초청 학술강연회
1999-08'경기 북부 지역 신당·제장의 분포와 성격' 학술회의 개최
1999-10'해공의 건학이념과 국민대학교 설립의 역사적 의의' 학술회의 개최
1999-12'한국 금석문 자료 총정리와 전산화를 위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두뇌한국(bk)21 추가핵심과제 연구과제 선졍, 수행(2002년 11월까지)
2000-05'경기 북부 지역 집성촌과 사족의 변천' 학술회의 개최
2000-10'경기 북부 지역 중세 군현치소와 특수촌락 현장조사' 학술회의 개최
2001-03박종기 교수 8대소장으로 취임
2001-05'경기 북부 지역의 구전 민속자료 현황' 학술회의 개최
2002-08'해방 후 해외한인의 귀환문제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육성지원 연구과제 선정, 수행(2005년 7월까지)
2003-03지두환 교수 9대 소장으로 취임
2003-05'해방 후 해외 한인의 귀환문제 연구' 학술회의 개최
2003-08'종묘연구'라는 제목으로 아산사회재단과 협력연구
2003-11'조선왕조 궁중 통과의례 원형의 디지털 복원'이라는 제목으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연구 과제 선정, 수행(2004년 8월까지)
2003-11'해방 후 중국 지역 한인의 귀환문제 연구'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4-03'해방 후 해외 한인의 귀환과 정착' 학술회의 개최
2004-05'전남지역 한인의 강제연행과 귀환' 학술회의 개최
2004-06'국외 한국독립운동 사료수집'이라는 제목으로 국가보훈처 연구과제 선정, 수행(2004년 11월까지)
2004-12'한국 고대의 노인과 부곡'이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과 협력연구
2005-05'해방 후 해외 한인의 귀환과 해당국의 정책' 학술회의 개최
2005-09'조선시대 서원 관련문헌의 수집, 정리와 기초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원 연구과제 선정, 수행(2010년 8월까지)
2005-09'해방 후 해외한인의 미귀환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육성지원 연구과제 선정, 수행(2008년 8월까지)
2005-09'한국사상의 관직`관인 DB구축과 관료제 운영시스템 연구'라는 제목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육성지원 연구 과제 선정, 수행(2008년 8월까지)
2005-11'조선시대 유학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5-12성진유업(주)의 의뢰로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송전리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주유소)부지 조성사업 문화유적 지표조사' 연구 과제 수행(2006년 1월까지)
2005-12'해외 한인의 귀환문제와 전후처리'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5-12동두천시청의 의뢰로 '동두천시 문화유적 분포지도 제작' 연구 과제 수행(2006년 12월까지)
2005-12'서울 왕실 문화 통합 콘텐츠'라는 제목으로 서울특별시 서울산업통상진흥원 지원 연구과제 선정, 수행(2007년 08월까지)
2006-06'해방 후 돌아오지 못한 해외 한인들' 학술회의 개최
2006-11'한ㆍ중ㆍ일 서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7-04'한국사상 관인ㆍ관직 DB의 구축과 활용 방안' 학술회의 개최
2007-06'해방 전후 동아시아 정세와 해외한인의 미귀환'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7-10'동아서원과 유학' 국제학술회의 개최
2008-05'한국사상 관인·관직 DB의 활용과 관료제 연구' 학술회의 개최
2008-08'해방 후 해외 한인의 희생과 미귀환' 학술회의 개최
2008-08'한국사상 관인·관직 DB의 활용과 관료제 연구2' 학술회의 개최
2008-09'현대의 한국고대사학자' 학술회의 개최
2008-11'한국의 독립운동과 초·중등 교과서의 서술' 학술회의 개최
2009-03한국중세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
2009-03익산 미륵사지 출토 유물에 대한 종합적 검토
2009-08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속의 서원
2010-01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토론회
2010-03승정원일기 번역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2010-05제38회 韓國古典硏究 심포지엄 『晝永編』의 종합적 검토
2010-05통일신라와 고려왕조의 연속과 단절 학술회의 개최
2011-05제39회 韓國古典硏究 심포지엄 개최 - 『桂苑筆耕集』의 종합적 검토
2011-05광주학생운동에서의 서울학생운동의 역할과 위상 학술회의 개최
2013-03(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37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3-11국민대학교 국사학과 40주년 기념 학술회의
2014-09만주학회 추계 국제학술회의 개최 – 관전기(觀戰期) 동아시아와 만주
2014-11한국목간학회 제20회 정기학술대회 개최 - 新문자자료 연구 영역의 확대
2015-09한국섬역사연구소 15년도 1차 콜로키움 개최 - 연구과제의 소개와 방향 안내
2015-11한국섬역사연구소 15년도 2차 콜로키움 개최 - 뱃길과 포구로 살펴보는 영산강 해양문화
2016-05한국섬역사연구소 16년도 1차 콜로키움 개최 - 섬주민의 삶과 문화
2016-06한국섬역사연구소 16년도 2차 콜로키움 개최 - 고문서를 통해 본 섬사람들의 경제생활
2016-09한국섬역사연구소 16년도 3차 콜로키움 개최 - 작은 섬 재원도 포구의 한'중 흑산도 해로상 해양사적 위상에 대한 시론
2016-12한국섬역사연구소 16년도 4차 콜로키움 개최 - 한국중세 조운사 연구현황과 전망
2017-06한국섬역사연구소 2017년 도서(섬) 학술대회 개최 - 고ㆍ중세시기 도서(섬) 정책과 인식의 변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1:54:50에 나무위키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