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청

덤프버전 :


시설

[ 펼치기 · 접기 ]
교통 시설
도로
분류
자동차전용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등급
고속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시설물
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기타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철도
분류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형태
지하철 · 고가철도
시설물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항만
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공항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계류장
기타
운하, 갑문
공간 시설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공지
유통·공급 시설
유통·생산
공장 · 물류 터미널
공급
수도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전기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방송·통신
방송국 · 기지국
시장
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유류
주유소
공공·문화 체육 시설
공공기관
중앙관청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교육
유치원 · 학교 · 학원
문화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체육
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 코트
복지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방재 시설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 · 빗물펌프장 · 저류지
보건 위생 시설
의료
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장례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납골당
기타
도축장
환경 기초 시설
하수도
하수 처리장 · 정화조
폐기물처리
매립지 · 소각장
기타
폐차장





1. 개요
2. 상세
2.1. 명칭
2.2. 직제
2.3. 교통
3. 외국의 구청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區廳 / Gu[1] Office

대한민국이나 중국, 일본한자 문화권의 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을 관할하기 위한 지방관청이다. 구청을 이끄는 사람은 구의 장이지만 구장이라고 부르지는 않고[2] 구청장이라고 한다.


2. 상세[편집]



2.1. 명칭[편집]


대한민국에서는 구청(區廳)이라고 부르고, 중국에서는 구정부(區政府),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구공소(區公所)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구역소(区役所)라고 한다.


2.2. 직제[편집]


일반구자치구의 차이가 있다. 자치구의 경우 자치구청장은 주민 선거에 의한 선출직 공무원이며(기초자치단체장-시장, 군수와 동급), 1~3급(인구 50만 이상은 1급, 10만 이상은 2급, 이하는 3급.) 공무원 대우를 받으며, 행정자치부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한 자치구의 조례를 통해 직제를 개편할 수 있다. 즉, 이나 를 몇개씩 두고 이 조직의 역할은 무엇이라는 것을 자치구가 알아서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구는 자치구역(지방자치단체)이 아닌 단순 행정상 구역이기 때문에, 일반구를 두고 있는 특정시조례에 구속된다. 일반구의 구청장은 4급 지방공무원이며, 특정시의 조례를 통해 이 없이 바로 5급 공무원을 앉히는 로 쪼개지고 업무를 본다. 단, 100만 이상 시의 40만 이상 구의 구청장은 3급으로 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2.3. 교통[편집]


구청은 상위기관인 시청에 비해 위치의 선정이 자유롭다. 시청은 정치적 압력으로 전혀 원하지 않는 곳[3]에 들어갈 수도 있다. 그러나, 구청은 이런 정치적 압력의 구속을 덜 받기 때문에 입지가 비교적 자유롭다. 그래서 예산이 허용하는 한, 주거지구나 상업지구와 연계되어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청의 이름을 딴 구청역은 강남구청역, 강동구청역, 강서구청역, 금천구청역[4], 남동구청역, 마포구청역, 양천구청역, 영등포구청역, 부평구청역, 북구청역, 수성구청역, 동구청역, 중구청역, 수지구청역[5], 서구청역으로 15개이다. 부역명으로 구청의 이름을 사용하는 역 또는 구청에 인접한 역까지 합치면 이 숫자는 더 늘어난다. 그리고 대한민국 각지에 철도망이 더욱 확충되면서 이 수는 더 늘어날 예정이다.


3. 외국의 구청[편집]



파일:attachment/p131365230467.jpg

중화민국 신베이시 신뎬구청


파일:external/c39f085c8577c3df6b538fe88b024095a8bc59a84d7f6c2982eea36da434c408.jpg

프랑스 파리시 제9구청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9:02:42에 나무위키 구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치구의 경우 District도 사용 가능하다.[2]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구장'(區長, qūzhǎng; 취장, 区長, くちょう; 쿠쵸)이라고 부른다. 특이하게 일본식 한자음으로는 '구장'과 구청(区庁, くちょう; 쿠쵸)의 발음이 같다.[3]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시흥시사천시. 지역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정확하게 중간지점에 시청이 들어가서 주변에 아무 것도 없다. 시청이 입지한 후 주변 지역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긴 하지만 금융위기로 부동산 경기가 어렵다.[4] 참고로 원래 해당 역명은 시흥역이었으나, 2008년에 지금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5] 자치구가 아닌 일반구로서는 최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