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후한의 황제에 대한 내용은 광무제 문서
광무제번 문단을
광무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쿠라 대전'의 '광무'에 대한 내용은 영자갑주 문서
영자갑주번 문단을
영자갑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상세
3. 주요 사건
4. 연보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


1. 개요[편집]


대한제국 고종 34 ~ 44년 시기의 연호.

1897년 8월 17일, 고종은 칭제건원을 하며 스스로 황제에 올랐다. 국호대조선국에서 황제의 국가라는 뜻의 제국을 붙여 대한제국(大韓帝國)이라 고치고, 동아시아에서는 원칙적으로 황제만이 쓸 수 있던 연호를 독자적으로 정했는데, 이를 건원(建元, 연호를 세우다.)이라 한다. 연호를 정한다는 건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대내외에 황제국이 되었음을 선포하는 일이기도 하다. 다만, 이미 1894년갑오개혁을 단행하며 청나라와의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건원이라고 하기는 힘들다.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일이 일본에게 책이 잡혀 고종이 강제로 퇴위를 당하고 순종1907년 7월 19일에 대한제국 제2대 황제로 등극하게 되었다. 그리고 보름 뒤인 8월 3일에는 연호를 융희(隆熙)로 바꾸었다. 이로써 광무 연호는 10년에서 약 보름 모자란 9년 11개월 17일 동안 사용되었다.


2. 상세[편집]


고종의 명으로 의정부에서 새 연호를 논의하여 의정 심순택이 후보로 '광무(光武)'와 '경덕(慶德)' 2가지를 올렸고, 고종이 이 중에 광무를 고름으로써 새 연호를 정하게 되었다(1897년 8월 14일).

흔히 조선이 대한제국이 되면서 쓰인 연호로 알기 쉬우나, 대한제국 선포일은 같은 해 10월 12일이므로 정확히는 조선과 대한제국에 걸쳐 쓰인 연호이다. 고종이 이 연호를 마음에 들어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는데, 묘하게도 칭제건원 후 고종은 무력(군사력) 증강에 자기 나름대로 예산을 쏟으며 이런저런 노력을 했다. 이러한 정책은 그가 꿈꿔온 황권 강화의 일환이었다. '광무'는 후한의 중흥 군주 광무제(光武帝)[1]의 시호이기도 했다.


3. 주요 사건[편집]


  • 광무 원년(1897년, 고종 34년)
  • 광무 2년(1898년, 고종 35년)
    • 1월 27일: 대한제국에서 전차, 전기, 전화 사업을 담당할 한성전기회사가 미국과 합작으로 설립되었다.
    • 2월 13일: 경운궁 태극전(太極殿)을 중화전(中和殿)으로 개칭하였다.
    • 5월 29일: 명동성당(당시 명칭은 종현성당)이 착공 6년 만에 준공되었다.
    • 6월 30일: 보부상단체 황국협회가 설립되었다. 1883년 설립된 기존의 혜상공국은 이에 흡수되었다.
    • 8월 10일: 민족 신문인 제국신문(帝國新聞)이 이승만이종일(李鍾一), 유영석에 의해 창간되었다.
    • 9월 5일: 남궁억장지연 등이 황성신문(皇城新聞)을 창간하였다.
    • 10월 2일: 미국인 감리회 선교사 조세핀 캠벨 여사가 서울에 캐롤라이나 학당[2]을 설립했다.
    • 10월 29일: 독립협회가 주관하고 박정양 등 개혁적 관료들이 참관한 최대의 만민 공동회인 관민공동회가 개최되었다. 헌의 6조가 발표되었다.
    • 11월 2일: 중추원 신 관제가 반포되었다. 고종이 지명한 25명, 민선의원 역할을 하는 독립협회 회원 25명이 선출되어 입헌군주제식 의회 정치가 시도되었다.
    • 11월 5일: 만민 공동회가 만들어졌다.
    • 12월 28일: 독립협회가 해산되었다.
  • 광무 3년(1899년, 고종 36년)
    • 1월 15일: 중부지방에서 추정 규모 6.4의 지진이 일어났다.
    • 9월 18일: 노량진역제물포역[3] 사이에 경인선 철도 33.2㎞가 개통되었다.
  • 광무 4년(1900년, 고종 37년)
  • 광무 5년(1901년, 고종 38년)
  • 광무 6년(1902년, 고종 39년)
    • 12월 22일: 인천 제물포에서 하와이 사탕수수 계약 노동자를 실은 선박이 첫 출항하였다. 공식적인 최초의 미국이민 시작이자[4] 미국 이민 역사의 첫 이정표가 되었다.
  • 광무 8년(1904년, 고종 41년)
    • 2월 8일: 일본군 연합함대가 뤼순항에서 러시아 함대를 공격하면서 러일전쟁이 발발했다. 같은 날 제물포 해전이 벌어졌다.
    • 2월 10일: 일본 제국이 정식으로 러시아 제국에 선전포고했다.
    • 2월 12일: 러시아 제국과 단교했다.
    • 2월 23일: 일본군이 대한제국에 한일의정서를 강제조인시켰다.
    • 4월 9일: 부산에서 첫 기상 관측이 시작되었다.
    • 4월 10일: 인천에서 첫 기상 관측이 시작되었다.
    • 4월 14일: 경운궁에서 화재 사건이 발생하였다. 원인은 함녕전 온돌기구 교체 공사 중 바람을 타고 불이 궐내로 번지게 되었다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고종을 시해하려는 일본 제국의 자작극과 1년 후 을사조약이 오게 될 것이라는 예감이 있다는 추측도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1년 후 바로 이 장소에서...
    • 4월 28일: 목포에서 첫 기상 관측이 시작되었다.[5]
    • 8월 20일: 매국노 송병준을 필두로 친일반민족행위자 집단 일진회가 세워졌다. 후에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의 성과로 해체된다.
  • 광무 9년(1905년, 고종 42년)
  • 광무 10년(1906년, 고종 43년)
    • 2월 1일: 일본 제국한성부한국통감부를 설치했다.
    • 2월 11일: 한반도 첫 야구경기가 열리다. 황성 YMCA 야구단덕어학교가 맞붙었고 덕어학교가 승리를 거두었다.
    • 4월: 1905년 해산된 헌정 연구회를 이어받은 자강운동, 계몽운동 단체인 대한자강회(大韓自強會)가 설립되었다.
    • 4월 21일: 고종후궁순헌황귀비 엄씨에 의해 진명여학교가 설립되었다.
    • 5월 22일: 고종후궁순헌황귀비 엄씨에 의해 명신여학교[6]가 설립되었다.
    • 7월 13일: 토지가옥증명규칙 시행
    • 7월 22일: 이인직만세보혈의 누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 9월 5일: 충숙공 이용익에 의해 보성중학교[7]가 설립되었다.
    • 10월 15일: 대구광역시 최초의 근대적 학교 계성학교가 설립되었다.
  • 광무 11년(1907년, 고종 44년)
    • 1월 1일: 평양에서 첫 기상관측이 시작되었다.
    • 1월 2일: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이 일어났다. 1903년 원산에서 시작된 부흥의 불길은 평양, 개성, 서울, 목포 등지로 확산되었고 1907년 1월에는 '평양 대(大) 부흥'으로 발전했다. 대부흥은 갑작스럽게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 수많은 샛강이 모여 큰 강을 이루고 큰 강물이 모여 대하(大河)를 이루듯 평양에서의 부흥은 그동안 간헐적으로 전개되어 왔던 성령의 특별한 역사가 결집된 것이었다.
    • 1월 31일: 대구에서 첫 기상관측이 시작되었다.[8]
    • 2월 10일: 경북대학교병원의 전신인 대구동인의원이 개원 하였다.
    • 2월 21일: 대구에서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다.
    • 5월 22일: 이토 히로부미의 압력에 의해 이완용 내각이 성립되었다
    • 6월 24일: 헤이그 특사가 파견되었다.
    • 7월 14일: 헤이그 특사로 파견된 이준열사가 순국하였다.
    • 7월 20일: 고종이 강제 퇴위되고 순종이 황제에 즉위하였다.
    • 8월 1일: 대한제국군이 강제 해산되었다.


4. 연보[편집]


연도 대조표
광무(光武)
육십갑자
서력기원
비고
당해 8월 17일부터
원년
정유(丁酉)
1897년
고종 34년
고종, 광무 연호 개원 및
대한제국 선포
2년
무술(戊戌)
1898년
고종 35년
3년
기해(己亥)
1899년
고종 36년
4년
경자(庚子)
1900년
고종 37년
5년
신축(辛丑)
1901년
고종 38년
6년
임인(壬寅)
1902년
고종 39년
7년
계묘(癸卯)
1903년
고종 40년
8년
갑진(甲辰)
1904년
고종 41년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9년
을사(乙巳)
1905년
고종 42년
을사조약
10년
병오(丙午)
1906년
고종 43년
11년
당해 8월 2일까지. 이후 융희 원년
정미(丁未)
1907년
고종 44년
헤이그 특사사건,
고종 퇴위, 순종 즉위


5.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22:30:19에 나무위키 광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한서》에 따르면 한 왕조를 부흥시켰다는 뜻에서 광(光), 환란을 평정하였다는 뜻에서 무(武)의 문자를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2] 오늘날 배화유치원, 배화여자중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대학교의 전신[3] 현재 존재하는 제물포역과는 이름만 같은 역이며, 현재 인천역이 해당 역을 계승하고 있다.[4] 대한제국 궁내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행한 여권을 소지한 이민을 말한다.[5] 다만 연속성이 보장되는 관측은 1906년 1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6] 지금의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중학교 [7] 지금의 서울 보성고등학교보성중학교 [8] 다만 처음에는 띄엄띄엄 관측하는 정도로 시작되었으며, 본격적인 관측일은 1909년 1월 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