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야인시대 합성물의 용어에 대한 내용은 곶(야인시대 합성물) 문서
곶(야인시대 합성물)번 문단을
곶(야인시대 합성물)#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자 곶(串)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串#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대표적인 곶들
2.1. 대한민국
2.2. 북한
2.3. 해외



1. 개요[편집]


언어별 명칭
한국어

제주어
코지
한자
(곶),[1][2] ()
영어
Cape
프랑스어
cap()
포르투갈어
Cabo[3]
핀란드어
Niemi [4]
러시아어
Мыс
아이누어
esausi, esasi, sirpa 등 다수[5]
일본어
(みさき, (さき
베트남어
mũi đất

또는 ()은 육지의 일부분이 하천이나 바다로 쑥 튀어나온 지형을 가리킨다.

육지가 침강하거나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이전의 산줄기였던 곳이 바다에 잠겨 생성되거나 근처의 지형이 바다에 의해 깎여 나가서 상대적으로 풍화에 강한 남은 부분만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고 만에서 침식된 모래의 퇴적암()으로 생기는 사취(砂嘴)가 바다에 돌출해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6] 따라서 근처에 을 끼고 있는 경우가 많은 편.

쑥 튀어나온 지형이다 보니 파도의 힘이 집중되어 침식작용이 활발하다. 해식 절벽이나 해식동굴, 파식애 등도 곶에서 많이 볼수 있다.

곶도 반도의 일종이지만 반도에 비해서 작고 주로 뿔처럼 튀어 나온 뾰족한 모양을 뜻한다.

한자로는 '()'이라 하나 '꿸 관()'자를 빌려 '땅이름 곶'이라고도 쓰는데, 이것은 한국어에 얼마 남아있지 않은 훈독, 즉 한자를 고유어로 읽는 방식이다. 소가야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진, 옛 가야를 구성하던 여러 나라 중 하나인 고자국도 어원이 곶으로 추정되고 있다.


2. 대표적인 곶들[편집]



2.1. 대한민국[편집]




2.2. 북한[편집]




2.3. 해외[편집]



[1] 이 한자를 '물로 쑥 튀어나온 지형'이란 뜻으로 쓰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다른 한자 사용국에서는 岬(곶 갑)를 사용한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사이에서도 종성이 'ㄷ'(t)로 끝나는 유일한 한자이기도 하다. 원래 串의 중국에서 전래된 음훈은 '꿰뚫을 관'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뜻과 더불어 한자 모양 때문에 '곶이(꼬치)'라고 불리던 게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굳어진 것이다. 즉 '곶'이 훈독이라는 이야기다. 양꼬치집의 간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글자이기도 한데 이 경우에는 꿰뚫는다는 본래의 뜻이 그대로 드러난다.[2] 이 한자를 고구려어로도 '곶'이라고 읽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치' '구치' 와 같은 말로 표기되어 있으며 '입' 이라는 뜻이다. 일본어의 "쿠치(입)"와 관계있는듯.[3] 카보베르데(Cabo Verde)라는 나라 이름에 들어가 있다.[4] 성으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는 축구선수 안티 니에미. 여담으로 niemi 뒤에 접사 -nen이 붙은 니에미넨(Nieminen)이라는 성이 핀란드에서 4번째로 흔한 성이다.[5] 홋카이도에 이 단어를 음차한 동네 이름이 다수 존재(에사시초 등)하며, 지역에 따라 완전히 다른 단어를 쓰기도 한다.[6] 근데 만의 침식과 곶의 퇴적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거기서 거기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4:58:34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