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휴일/대한민국/역사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1. 개요
2. 최초 제정
3. 1차 개정
4. 2~4차 개정
5. 5~6차 개정
6. 7~8차 개정
7. 9~10차 개정
8. 11~13차 개정
9. 14~18차 개정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은 법정공휴일에 대한 제도가 상당히 많이 바뀌었으며 1949년 관련 규정 제정 이후 총 17번의 개정 사례가 있다. 시대 변화에 따른 공휴일 변천사는 다음과 같으며, 1980년대까지는 조금씩 공휴일이 늘어나다가 1990년부터 2008년 사이에 5일[1]이 줄어들었고, 2013년 한글날이 재지정되고 2014년 설날,추석,어린이날에 한해 대체 휴일 제도가 실시 되었으며, 2022년에 국경일이 추가로 대체 휴일이 시행되면서 실질적인 공휴일 수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이외에도 정부가 임시공휴일을 지정할 수 있다.


2. 최초 제정[편집]


  • 1949년 6월 4일, 헌정 수립 이후 최초로 정해진 규정에 따른 공휴일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3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음력)8월 15일[2]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기독탄신일[3]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3. 1차 개정[편집]


  • 1950년 9월 18일, 유엔 결성일인 국제연합일이 공휴일로 새롭게 추가됐다. 6.25 전쟁 당시 우리에게 큰 도움을 줬던 유엔에 감사하는 의미로 국제연합일을 공휴일로 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1차 개정)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3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음력)8월 15일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국제연합일
10월 24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4. 2~4차 개정[편집]


  • 1956년 4월 19일, 6.25 전쟁이 끝난 뒤 전몰장병 등을 추모하기 위해 제정된 현충일이 공휴일로 새롭게 추가됐다. (2차 개정)
  • 공휴일중복제가 실시되었으며 일요일과 일요일 이외의 공휴일이 중복되는 때에는 그 익일도 공휴일로 한다. 1959년 3월 27일에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일부 개정됐는데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대체 휴일 제도의 흔적이 이 조항에 남아 있다. 그러나 1년여 뒤인 1960년 12월 규정 개정 때 이 조항은 삭제됐다.
  • 1960년 3월 16일, 식목일이 '사방[4]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잠시 바뀌었고 날짜도 3월 15일로 변경됐다. (3차 개정) 이후 식목일 휴일 환원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결국 1년 만에 사방의 날 제도가 사라졌고 다시 4월 5일 식목일이 공휴일로 환원됐다. (4차 개정)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3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현충일
6월 6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음력)8월 15일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국제연합일
10월 24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5. 5~6차 개정[편집]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3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석가탄신일
(음력)4월 8일
어린이날
5월 5일
현충일
6월 6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음력)8월 15일
국군의 날
10월 1일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6. 7~8차 개정[편집]


  • 1985년 1월 21일, 전통적 명절로 전래됐음에도 '음지의 명절'로 탄압됐던 음력 설날이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부활했다. 그러나 음력 1월 1일 당일만 쉬는 반쪽 설날이었다. (7차 개정)
  • 1986년 9월 11일, 대규모 귀성·귀경 인파의 편의를 위해 추석 다음날도 공휴일로 지정됐다. '추석연휴'라는 말이 공식적으로 생긴 것이 이 때부터다. (8차 개정)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3일
민속의 날
(음력)1월 1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석가탄신일
(음력)4월 8일
어린이날
5월 5일
현충일
6월 6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연휴
(음력)8월 15,16일
국군의 날
10월 1일
개천절
10월 3일
한글날
10월 9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7. 9~10차 개정[편집]


  • 1989년 2월 1일,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지내던 음력 설날설날이라는 제 이름을 되찾았고 설날추석 모두 현재처럼 앞뒤 하루씩 붙여 3일 연휴로 지내게 됐으며, 공휴일이 많아지면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명목으로 3일짜리 신정연휴가 2일로 줄어들었다. (9차 개정)
  • 1990년 11월 5일, 10월 공휴일이 너무 많다는 이유로 국군의 날한글날이 공휴일에서 빠졌다. (10차 개정)

법정 공휴일
날짜
신정연휴
1월 1, 2일
설날 연휴
(음력)12월 말일~1월 2일
삼일절
3월 1일
식목일
4월 5일
석가탄신일
(음력)4월 8일
어린이날
5월 5일
현충일
6월 6일
제헌절
7월 17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연휴
(음력)8월 14~16일
개천절
10월 3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8. 11~13차 개정[편집]


  • 1998년 12월 18일, 음력 설날의 문화가 완벽히 정착함과 동시에 새해 첫날의 문화가 쇠퇴한 데다 경제 사정까지 어려워지면서 1월 2일이 공휴일에서 빠졌다. (11차 개정)
  • 2005년 6월 30일, 식목일제헌절이 공휴일에서 제외됐다.[5] (12차 개정)
  • 2006년 9월 6일, 공직선거법의 개정에 따라 공직자의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6]를 치르는 날이 임시공휴일에서 법정공휴일로 법제화됐다. (13차 개정)

법정 공휴일
날짜
새해 첫날
1월 1일
설날 연휴
(음력)12월 말일~1월 2일
삼일절
3월 1일
석가탄신일
(음력)4월 8일
어린이날
5월 5일
현충일
6월 6일
광복절
8월 15일
추석 연휴
(음력)8월 14~16일
개천절
10월 3일
기독탄신일
12월 25일
매주 일요일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라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를 진행하는 날


9. 14~18차 개정[편집]


  • 2012년 12월 28일, 1991년 규정 개정 때 공휴일에서 빠졌던 한글날이 한글 단체 등의 꾸준한 노력에 힘입어 23년 만에 공휴일로 재지정됐다. (14차 개정)
  • 2013년 11월 5일, 대체 휴일 제도가 부활했으며 설날연휴, 추석연휴, 어린이날 중 하루가 공휴일과 겹칠 경우 그 다음 첫 평일은 휴일이 된다.[7] (15차 개정)
  • 2017년 10월 10일, 석가탄신일의 명칭이 부처님오신날로 변경됐다. (16차 개정)
  • 2021년 8월 4일, 대체 휴일 제도가 공휴일인 국경일(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에 확대 적용되었다.[8] (17차 개정)
  • 2023년 5월 4일, 대체 휴일 제도가 부처님오신날성탄절에 확대 적용되었다. (18차 개정, 현행)

법정 공휴일
날짜
대체 휴일 제도 적용 여부[9]
새해 첫날
1월 1일
X
설날 연휴
(음력)12월 말일~1월 2일

삼일절
3월 1일
O
부처님오신날
(음력)4월 8일
O
어린이날
5월 5일
O
현충일
6월 6일
X
광복절
8월 15일
O
추석 연휴
(음력)8월 14~16일

개천절
10월 3일
O
한글날
10월 9일
O
기독탄신일
12월 25일
O
매주 일요일
공직선거법 제34조에 따라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를 진행하는 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14:55:00에 나무위키 공휴일/대한민국/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군의 날(10월 1일, 1991년), 한글날(10월 9일, 1991년), 1월 2일(1999년), 식목일(4월 5일, 2006년), 제헌절(7월 17일, 2008년).[2] 이 당시에는 연휴가 아니라 명절 당일만 쉬었다. 앞뒤로 하루씩 붙여 3일 연휴로 지내는 것은 훗날의 일이다.[3] 달력에는 편하게 성탄절 또는 크리스마스라고 쓰지만 법령에 나온 공식 명칭은 규정 최초 제정 이후부터 현재까지 쭉 '기독탄신일'이다.[4] 砂防. 산사태를 방지한다는 뜻. 쉽게 말해 나무를 심어 토사가 흘러내릴 일을 없애는 일을 뜻한다.[5] 제헌절의 공휴일 제외는 2007년까지 유예되었다.[6] 대통령선거, 국회의원 선거, 지방선거가 이에 해당한다.[7] 단, 어린이날은 부처님오신날 (舊. 석가탄신일))또는 토요일과 겹칠 경우에도 그 다음 첫 평일이 대체 휴일이 된다.[8] 공휴일에 관한 법률 제정 당시에 제헌절이 들어간 법안도 있었지만 그 법안은 행정안전위에서 반영되지 않았다.[9] 동그라미는 토, 일 모두 적용이고 세모는 일요일만 적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