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역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공산주의


1. 개요
2. 공산주의의 원류
4.1. 볼셰비키 혁명
4.2. 레닌주의 하의 소련
4.3. 스탈린주의로의 변화
4.4. 스탈린 체제
5. 공산주의 운동의 전파
5.1. 유럽의 공산주의 운동
5.2. 아시아의 공산주의 운동
5.3. 아프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4. 아메리카의 공산주의 운동
5.5. 제2차 세계대전과 반파시즘
6. 전후 유럽의 공산주의
6.1. 동유럽의 공산화
6.2. 소련의 변화경직
6.3. 변화의 시도
6.4. 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
7. 전후 비(非)유럽 지역의공산주의
8. 공산국가의 개혁개방
9. 소련의 붕괴
10. 미국의 패권
11. 신냉전의 시작
12. 현재의 공산주의
1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본 문서에서는 공산주의의 역사를 중립적 관점으로 작성하였다. 다만 공산주의가 사회주의의 급진적 분파라는 점을 감안할 때 몇몇 부분은 사회주의/역사 문서와도 겹칠 수도 있다.[1]

2. 공산주의의 원류[편집]


관련 문서 참고.

3. 과학적 사회주의[편집]



3.1. 카를 마르크스프리드리히 엥겔스[편집]



3.2. 인터내셔널과 초기 공산주의 운동[편집]



3.3. 사회민주주의와의 갈등[편집]


제1 차 인터내셔널은 그렇게 아나키스트와 마르크스주의자와의 갈등과 아나키스트의 강제추방 그리고 파리 코뮌의 패배와 함께 종말되었다. 그런 와중에서 영, 독일의 사회민주주의자들이 다시 마르크스주의자와 결집해 인터내셔널을 세우니 그 것이 제2 차 인터내셔널이였다. 허나 제2 차 인터내셔널은 제1차 세계대전과 함께 민족주의국제주의와의 갈등 그리고 수정주의와의 큰 갈등 끝에 결국 전쟁에 반대하던 마르크스주의자와 민족주의에 합세해 마르크스주의와의 결별을 선택하였고 그런 불화 속에서 결국 제2 차 인터내셔널 역시 종말되었다.

4. 러시아 혁명소련[편집]



4.1. 볼셰비키 혁명[편집]



4.2. 레닌주의 하의 소련[편집]



4.3. 스탈린주의로의 변화[편집]



4.4. 스탈린 체제[편집]


파일:Great_Purge_Resolution_of_Central_Committee.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ekulakisation_in_the_USSR_V_3.jpg
파일:external/img.hani.co.kr/118032744454_20070529.jpg
대숙청 당시 숙청대상자 목록
라스쿨라치바니예 당시의 집단농장
우크라이나 대기근 당시의 아이들

5. 공산주의 운동의 전파[편집]



5.1. 유럽의 공산주의 운동[편집]



5.2. 아시아의 공산주의 운동[편집]



5.3. 아프리카의 공산주의 운동[편집]



5.4. 아메리카의 공산주의 운동[편집]



5.5. 제2차 세계대전과 반파시즘[편집]



6. 전후 유럽의 공산주의[편집]



6.1. 동유럽의 공산화[편집]



6.2. 소련의 변화경직[편집]




6.3. 변화의 시도[편집]



6.4. 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편집]




7. 전후 비(非)유럽 지역의공산주의[편집]



7.1. 아시아[편집]



파일:마오쩌둥.png
파일:attachment/대약진_운동.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parrow_Capaign.png
파일:attachment/chi_munhwa.jpg
중공 시기의 마오쩌둥
대약진 운동 포스터
제사해 운동 포스터
문화대혁명의 광기

파일:external/www.thefamouspeople.com/ho-chi-minh-12.jpg
파일:external/i.telegraph.co.uk/April-30-1975-tank_1626541i.jpg
베트남 전쟁 당시 노년의 호치민
사이공 대통령궁에 진입하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소련제 T-54B 전차

7.2. 아프리카[편집]



7.3. 아메리카[편집]


파일:attachment/cuba_R.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3px-CheHigh.jpg
피델 카스트로와 혁명군 병사들
체 게바라

8. 공산국가의 개혁개방[편집]



덩샤오핑 은 중국의 경제 체제를 마오주의 기반의 농업 중심 체제에서 자본주의를 일부 수용해서 중국 특색 사회주의로 전환하였다. 이 체제가 공산주의를 일부 수정한 체제인지, 국가자본주의인지 혹은 그냥 자본주의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란이 있다. 해당 문서 참고.

9. 소련의 붕괴[편집]



10. 미국의 패권[편집]



10.1. 네팔 마오주의 혁명[편집]


파일:external/sjcnorthpoint.com/_1705748315_GyanendraBirBikramShahDev.jpg
네팔의 마지막 국왕 갸넨드라

네팔 문서 참고.

네팔에서 왕정 시절 왕정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했고, 이로 인해 마오주의 반군이 조직되었다. 반군의 활동으로 왕정이 입헌 군주정으로 전환된 이후에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이 집권하기도 했고, 이후 마오주의 반군에 의해 국토가 80% 이상 장악되었다. 그러나 무장 투쟁을 포기하고 다당제 선거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입헌 군주제에서 공화정으로 전환된다. 이후 프라찬다가 네팔의 초대 총리로 집권하지만, 다당제노선에 대한 집착으로 강경 마오주의자들과 충돌해 사임하게 되고, 이후 네팔 회의가 집권하기도 했으나,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과 마오주의 공산당이 합당해 네팔 공산당을 결성해서 다시 공산당이 집권하게 되었다. 하지만 2021년 네팔 공산당이 다시 마오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로 분당하면서 마오주의 공산당이 여당 자리는 유지하였으나 총리 자리는 사회민주주의성향의 연립여당인 네팔 회의당에게 넘어갔다.

10.2. 인도낙살라이트[편집]



인도의 중부,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카스트 제도의 완전 철폐를 요구하며 마오주의세력이 활동중이다.
차루 마줌다르가 사망한 이후 세력이 약해졌으나, 2000년대 이후 다시 세력이 강해지고 있다. 다만 지금은 다시 약해지고 있다. 해당 문서 참고.

10.3. 빛나는 길[편집]


파일:fakjpeg.jpg
빛나는 길 반군

페루에서 안데스 산맥을 중심으로 마오주의 게릴라 활동이 펼쳐졌다. 심각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세력은 더욱 강해졌다.
지금은 대부분 소탕되었지만 여전히 완전히 토벌되지 아니하고 활동중이지만 세력은 약하다. 하지만 최근 페루가 마르크스-레닌주의 성향 정권이 들어서면서 어느정도 성과를 거두었다고도 볼 수 있다.

11. 신냉전의 시작[편집]



11.1. 티그라이 전쟁[편집]



에티오피아티그라이지역에서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과 에티오피아 정부군 간의 분쟁이 발생하였다.
티그라이 전쟁 문서 참고.

12. 현재의 공산주의[편집]


사회주의 국가/목록 문서와 공산당 문서 참고.

1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8:39:03에 나무위키 공산주의/역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단, 사회주의/역사 문서에서는 공산주의뿐만 아니라 사회민주주의 등의 타 분파들도 전체적으로 어우르는 관점을 취했기에 그 문서로만 공산주의의 역사를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부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