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준비사격

덤프버전 :

1. 설명
2. 존재 의의
3. 기타



1. 설명[편집]


상대의 진지참호, 기지를 대상으로 공세를 펼치기 전[1] 혹은 공세가 시작되어 적진 바로 앞까지 도달할 때까지 제압포격 차원에서 퍼붓는 포격, 폭격 등을 이르는 포병 용어.

참고로 경우에 따라선 포격과 폭격이 병행되기도 하는데, 저격능선 전투에서 그랬다. 게다가 해당 단어가 길기에 현장에선 '공준사' 등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다만 일반 보병들도 작전을 다루거나 참호전, 고지전 과정에서 포격, 폭격이 끝나자마자 적진을 향해 달려나가거나 반대로 이것이 시작되면 참호 각지에 흩어져 웅크리거나 혹은 유개호나 갱도로 피난해 있다 적들을 맞이하다 보니 비단 포병들만 쓰는 용어는 아니다.

또한 요충지 내 병력들의 피해와 피로를 누적시키고 소수만 남겨놓을 의도로 이것만 며칠 ~ 수주 동안 불규칙하게 실시하기도 한다.[2] 전술상으로는 요란사격으로 별칭하지만, 작정하고 쏘는 것 외에도 공준사 후 이런저런 이유로 돌격하지 않을 때에도 여기에 분류되기도 한다.

상륙작전시에는 함포 등 해군 전투함의 화력자산이 동원되어 해병대의 상륙을 돕는다. 그런 형태가 가장 많이 보인 전쟁이 태평양 전쟁. 미 해군, 일본 해군 양측 모두 상륙작전시에 구축함 함포부터 로켓만 실은 군함, 순양함, 전함, 항공폭격까지 죄다 동원하여 지상공격을 하였고, 방어측은 이를 피하기 위해 바위요새 등에 짱박혀서 해안포로 응사하는 등의 대응을 하였다.

2. 존재 의의[편집]


파일:attachment/5-1.jpg

공격하는 입장에서 상대의 진지와 참호, 지뢰, 철조망, 인계철선 등을 뭉개고, 그 안의 인원들도 겸사겸사 살상시킨 상태로 유리하게 싸우기 위함이다. 만약 이걸 하지 않고 돌격했다간 빈집털이가 아닌 한 이걸 하지 않았을 때보다 피해가 많아질 것이다. 물론 이런저런 이유[3]로 이것 없이 돌격해 상대를 발라버린 경우도 있는데, 사창리 전투에서 중공군이 이랬다.

반대로 공격준비파괴사격이라고, 공격 측의 공세가 임박하거나 시작되었을 때 방어 측에서 퍼붓는 포격, 폭격도 있다.


3. 기타[편집]


파일:lmd_comb`gongjoonsa.png

  • 람다 워즈 콤바인 진영에서 헤드크랩 로켓 공준사가 가능한데, 이는 로켓 발사대 사거리가 RTS 게임 치곤 상당히 넓기 때문. 다만 게임 밸런스를 위해 시야가 밝혀진 곳만 날릴 수 있고, 충격 데미지 역시 50 정도로 적다. 또한 여기에서 나온 헤드크랩도 체력이 약하기에 상대가 물량을 많이 모아놓거나 진지 구축을 잘 해놓을수록 효과는 떨어진다. 그래서 방어가 허술한 후방에 날리거나 혹은 정면 대결시 콤바인 솔저 등을 먼저 보내 방어에 구멍을 낸 뒤 혹은 교전중일 때 한꺼번에 날려 피해를 가중시키는 용도로 자주 쓰인다.

  • 유진 시스템즈RTT 게임 워게임 시리즈, 스틸 디비전 시리즈, WARNO에서는 포격당한 적이 잠시 사기가 낮아지며 공격불가 상태가 되거나 명중률이 크게 감소하므로 보병과 전차의 돌격 직전에 다연장 로켓이나 포병으로 포탄을 퍼부은 직후 돌격한다. 포격만으로 적을 초토화시키던 전작들에 비해 WARNO에서는 포병의 살상력과 숫자가 많이 너프되어 거의 공격준비사격용으로 주로 쓰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3 04:14:24에 나무위키 공격준비사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건 상황이나 여건에 따라 공세 며칠 전에 퍼붓기도 하고, 몇시간 전에 퍼븟기도 한다.[2] 실제로 백석산 전투 당시 채명신 5연대장이 이를 수차례 해 상대의 진을 빼놓은 상태에서 양갈래 고지를 기습 접수했다.[3] 예컨대 기습, 화력지원이 없음, 상대가 오합지졸이라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