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자리

덤프버전 :


현대 88개 별자리 목록
국제천문연맹 공인


[ 펼치기 · 접기 ]

고래
고물
공기펌프
공작
궁수
그물
극락조
기린
까마귀
나침반
날치
남십자
남쪽물고기
남쪽삼각형
남쪽왕관
도마뱀
독수리
돌고래
두루미
마차부
망원경
머리털
목동
물고기
물뱀
물병
바다뱀
방패
백조
뱀주인
봉황
북쪽왕관
비둘기
사냥개
사자
살쾡이
삼각형
세페우스
센타우루스
시계
쌍둥이
안드로메다
에리다누스
염소
오리온
외뿔소
용골
육분의
이리
인디언
작은개
작은곰
작은사자
작은여우
전갈
제단
조각가
조각칼
조랑말
직각자
처녀
천칭
카멜레온
카시오페이아
컴퍼스
큰개
큰곰
큰부리새
테이블산
토끼
파리
팔분의
페가수스
페르세우스
현미경
헤라클레스
화가
화로
화살
황새치
황소
[국제천문연맹의 공인을 받지 못한 별자리]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황도 12궁 / 밑줄 :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공인되지 않은 별자리의 경우 공식적인 한국어 명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알파벳 순서를 따른다.




고물자리
Puppis / Pup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pup.gif

학명
Puppis
약자
Pup
주요 별 수
9
가장 밝은 별
Naos (ζ Pup, 2.25 등급)
가장 가까운 별
HD 69830 (41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외뿔소자리, 큰개자리, 비둘기자리, 화가자리, 용골자리, 돛자리, 나침반자리, 바다뱀자리
관측 가능 여부
O

1. 개요
2. 상세
2.1. 항성
2.2. 딥 스카이 천체



1. 개요[편집]


Puppis / Pup

고물자리남반구별자리 중 하나이다. 원래 아르고자리의 일부였으나[1] 아르고자리가 4개의 별자리로 분리되면서 하나의 독립된 별자리가 되었다. 나머지 3개의 별자리는 나침반자리, 돛자리, 용골자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남쪽 하늘에 낮게 걸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 상세[편집]


문서 상단의 성도에서 고물자리 오른쪽 위가 시리우스로 유명한 큰개자리이다. 그러니까 큰개자리의 왼쪽 아래에 있는 별자리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별자리 이름의 '고물'이란 선박의 끝부분을 의미하는 말이다. 고철 같은 게 아니다반대로 배의 앞부분은 '이물'이라 한다.

아르고자리에서 갈라져 나온 네 별자리 중에서는 크기 자체만 놓고 보자면 가장 크지만, 분리되는 과정에서 용골자리가 알파성(카노푸스)과 베타성 등 주요 별들을 혼자서 죄다 주워가버리는 바람에 정작 자기 별자리에는 크게 눈에 띄는 별이 없는 별자리이기도 하다. 바이어 명명법 체계조차도 돛자리와 함께 별자리 분리과정에서 기존 아르고자리 체계를 유지했기 때문에 알파~엡실론성이 없이 제타성부터 시작한다.

그래도 그나마 밝은 별인 제타성 나오스[2]가 2.21등성이기는 하다. 나오스는 몇 안되는 맨눈으로 보이는 분광형 O형의 항성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뜨겁고 무거우며 에너지 방출률이 높은 것으로 유명해 수많은 천문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된 바 있다.

대신 이 별자리는 은하수가 가로질러 가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주변에 산개성단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물자리 이중성단이 유명하다. 또한 2007년에는 이 별자리에서 초신성이 발견되기도 했으며, 이 별자리 부근에서 유독 많은 행성계가 발견되었다.


2.1. 항성[편집]


3개로 분리된 아르고자리의 별 중 바이어에 의해 명명된 9개의 별[3]이 이 별자리에 포함되었다.
이 별자리에는 2등성이 1개 존재하고, 3등성은 6개, 4등성은 16개가 존재한다.

  • ζ Pup(Naos, 나오스): O형의 청색 초거성으로, 겉보기 등급 2.21로 가장 밝으며, 오리온자리 ζ 별인 알니탁(Alnitak)에 이어 2번째로 밝은 O형 항성[4]이다. 질량의 태양의 56배에 이르며 태양보다 무려 813,000배나 밝다.[5]
  • π Pup(Ahadi, 아하디): 겉보기 등급은 2.73으로 두 번째로 밝으며, K형[6]의 초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810광년이다.
  • ρ Pup(Tureis, 투레이스): 겉보기 등급은 2.78이다. 현재 이 별과의 거리는 63광년이지만, 394,000년 전에는 11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 τ Pup: 겉보기 등급은 2.90이지만 적위가 -50°로 매우 낮아 한국에서는 보기 무척 어렵다. 동반성과 2.9년을 주기로 도는 분광 쌍성이기도 하다. 이 별은 K형의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74광년이다.
  • ν Pup: 겉보기 등급 3.17의 B형 주계열성이다.
  • σ Pup: 겉보기 등급은 3.25이고, 동반성과 150일을 주기로 공전하는 분광 쌍성이다. K형의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194광년이다.
  • ξ Pup(Azmidi, 아즈미디): 겉보기 등급은 3.34이다. G형의 황색 초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200광년이다.
  • c Pup(HD 63032): 3.61등급의 분광쌍성계로, 주성은 초거성~밝은 거성(II~Ib)단계의 K2.5형 별이고, 동반성은 B9형 주계열성이다. NGC 2451 산개성단에서 가장 밝은 별이기도 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110광년이다.
  • HD 64440: 3.71등급의 분광쌍성계이다. 주성은 K1형의 밝은 거성(II)이며, 동반성은 A0.5형 항성이다. 주기는 7년 미만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약 350광년이다.
  • k Pup: 4.5등급과 4.62등급의 별이 9.9" 떨어져 있는 합산 밝기 3.8의 쌍성계다. 각각 B6형 준거성과 B5형 주계열성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약 350광년이다.
  • 3 Pup: 3.93등급의 항성이고, 분광형은 A2.7형의 초거성(Ib)으로, 매우 희귀하게 A형 초거성임에도 먼지 원반으로 둘러싸여져 있다.[7] 지구와의 거리는 약 1,700광년이다.
  • P Pup(HD 63922): 4.11등급의 삼중성으로, 분광형은 B0형의 거성이다. 0.3" 떨어진 곳에 7.19등급의 동반성이 있으며, 59" 떨어진 곳에도 8.79등급의 두 번째 동반성이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600광년이다.
  • 11 Pup: 4.2등급의 항성이고, F7~8형의 초거성(II)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520광년이다.
  • HD 64760: 4.24등급의 항성이고, B0.5형의 초거성(Ib)이다. 미세하게 맥동하면서 밝기가 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660광년이다.
  • 16 Pup: 4.40등급의 항성이고[8], B5형의 주계열성~준거성(IV~V)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470광년이다.
  • V Pup: 4.1~4.59등급 사이의 밝기를 보이는 쌍성계로, B3형 준거성과 B1형 주계열성이 1.45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블랙홀 동반성을 가질 가능성이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960광년이다.
  • HD 69142: 4.44등급의 분광쌍성계로, 주성과 동반성은 2.55년을 주기로 서로를 돌고 있다. K1형의 거성~초거성(II~III)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약 300광년이다.
  • NS Pup: 4.4~4.5등급 사이의 밝기를 보이는 불규칙 변광성이다. K4.5형의 초거성(Ib)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1,000광년이다.
  • HD 70060: 4.45등급의 항성이고, A8형 주계열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93.4광년이다.
  • HD 60532: 4.46등급의 F6형 항성으로[9], 2008년 2개의 행성이 발견되었다. 모두 목성형 행성으로 추정된다. 지구와의 거리는 85.5광년이다.
  • ο Pup: 4.48등급의 분광쌍성계로, 28.9일을 주기로 주성과 동반성이 공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1형의 준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400광년이다.
  • QW Pup: 4.47~4.50등급 사이의 밝기를 보이는 황새치자리 감마형 변광성이다. F3형 주계열성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69.5광년이다.
  • HD 41742/41700: 겉보기 등급 5.97의 밝기를 갖는 4중성계로, 이중 세 별은[10]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하다.
  • R Pup: NGC 2439 근처에 있는[11] 변광성으로, 6.5~6.71등급까지 변한다. 이 별까지의 거리는 무려 19,000광년으로 매우 멀며, 별의 유형 또한 매우 희귀한 G형 황색극대거성으로 분류된다.
  • 이 밖에도 다양한 변광성이 이 별자리에 존재한다.


2.2. 딥 스카이 천체[편집]


고물자리는 겨울철 남쪽 은하수에 속해 많은 산개성단성운들이 많이 분포하며, 겨울철에서는 흔치 않게 구상성단도 존재한다. 별자리의 북쪽 끝 부분의 은하수와 비교적 떨어진 곳에는 몇몇 은하들도 볼 수 있다.
  • M 46: 수백 개의 젊고 밝은 파란색 별들로 이루어진 산개 성단으로, 이 성단을 이루는 별들은 대체로 밝기가 엇비슷하다.
  • M 47: M 46의 서쪽에 바로 붙어 있으며, 50여 개의 젊은 푸른색 별들을 볼 수 있는 산개 성단이다. 이중에는 오렌지색 별도 몇 개 포함되어 있다.
  • M 93: M 46이나 M47보다 10°가량 남쪽에 있는 산개 성단으로, 고물자리 ξ 별에서 북서쪽으로 1.5° 정도 가면 볼 수 있다.
  • NGC 2525: 고물자리의 북쪽 끝 외뿔소자리와의 경계 부근에 위치한 겉보기 등급 11.6의 막대나선 은하로[12], 지구와의 거리는 약 7100만 광년이다.
  • NGC 2298: 겨울철 별자리에서는 흔치 않은 구상 성단으로, 9.3등급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만 4900광년 정도이다.
  • NGC 2438: M 46 안에 보이는 행성상 성운으로, 자세한 것은 M 46문서 참고
  • NGC 2439: 겉보기 등급 6.9의 산개 성단이다.
  • NGC 2440: 겉보기 등급 9.4의 행성상 성운으로, 백색왜성 HD 62166에 의해 생성되었다.
  • NGC 2451: 겉보기 등급 9.5의 산개 성단으로, 사실 이 성단은 매우 드물게도 두 산개 성단이 겹쳐진 형태이다.
  • NGC 2467: 겉보기 등급 7.1의 방출 성운으로, 별이 생성되는 전리수소영역이기도 하다. 이 성운에는 거대하고 젊은 별 HD 64315가 존재한다.
  • NGC 2477: 겉보기 등급 5.8의 밝고 큰 산개 성단으로, 콜드웰 71번이기도 하다.
  • NGC 2509: 겉보기 등급 9.3의 산개 성단이다.
  • NGC 2527: 겉보기 등급 6.5의 산개 성단으로, 비교적 크게 보인다.
  • NGC 2438: M 46안에서 볼 수 있는 행성상성운으로,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NGC 2539: 겉보기 등급 6.5의 산개 성단이다.
  • NGC 2546: 겉보기 등급 6.3의 밝고 큰 산개 성단이다.
  • 고물자리 파이 성단: 겉보기등급 2.1의 밝은 산개성단으로 고물자리 파이를 중심으로 하는 산개성단이다.
  • 호리병박 성운(Calabash Nebula): 9.47등급의 원시행성상성운(protoplanetary nebula (PPN)[13])으로, 중심별인 QX Pup에서 나온 여러 물질들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가스 흐름은 약 800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1,000년 정도 후면 완전한 행성상성운으로 진화할 것이다.[14] 지구와의 거리는 약 4,200광년이다.
  • Puppis A: 초신성 잔해로, 지구로부터 6500~7000광년 떨어져 있고, 지름은 약 100광년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7:48:53에 나무위키 고물자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르고호 원정 참조.[2] Naos; 그리스어로 '배'라는 뜻.[3] ζ(제타), ν(뉴), ξ(크사이), ο(오미크론), π(파이), ρ(로), σ(시그마), τ(타우), χ(카이) 별[4] 분광형은 O4If(n)p 이다.[5] 거리와 밝기에 비해 어둡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이 별은 O형의 매우 뜨거운 초거성이어서, 복사의 대부분이 자외선이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원래 밝기보다 어둡게 보이기 때문이다.[6] 분광형은 K3 Ib형[7] 그래서 수소방출선이 나타나며, 초거성 중에서도 A형 별이면서 수소방출선이 나타나는 Ae형 별이라는 드문 케이스에 속한다.[8] 분광쌍성계로 의심된다.[9] 주계열성~거성 단계이다.[10] HD 41742와 HD 41700 사이의 거리는 3' 정도, HD 41742 A와 B 별 사이 거리는 약 6"이다.[11] 지구와 NGC 2439와의 거리는 12,570 광년으로 6000광년 가까이 가까워 같은 성단 안에 있는 별은 아닌 듯 하다.[12] 허블 분류상으로는 SB(s)c형.[13] 점근거성에서 행성상성운으로 진화하는 짧은 단계에서 나타나는 성운이다. 두 개의 극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14] 이 성운이 4,200광년 정도 떨어진 것을 생각하면 이미 행성상성운이 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