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청

덤프버전 :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청
慶尙南道廳 | Gyeongsangnam-do Provincial Hall
파일:경상남도청.jpg






본청

서부청사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봉림동) (본청)
경상남도 진주시 월아산로 2026 (초전동) (서부)[1]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광역시도
경상남도
직원 수
1,450명[2]
예산
12조 1,007억 원 (2023년)
도지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완수 (초선)[3]
부지사
최만림 (행정)
김병규 (경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연혁
2.1. 근대
2.2. 현대
2.3. 서부 청사
3. 조직
3.1. 휘하 시/군청
3.2. 산하기관
3.2.1. 지방공기업
3.2.2. 지방출연기관
3.2.3. 지방출자기관
4. 역대 도지사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본청
5.2. 서부청사
6. 여담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경상남도청_(3x2).jpg


파일:경상남도 서부청사_3x2.jpg

경상남도청
경상남도 서부청사
경상남도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

경상남도청 본청 바로 맞은 편에는 경상남도의회가 자리잡고 있다.


2. 연혁[편집]



2.1. 근대[편집]


파일:external/www.gnnews.co.kr/img_224241_2.jpg

1896년 경상도으로 나누면서 이후 1925년 3월까지 진주에 최초의 경상남도청이 설치되었다. 도청 건물이 있던 곳은 현 진주시 남성동 73-10-11번지. 지금의 진주성 안쪽으로, 이곳에 최초의 경상남도관찰부청사가 설치되었으며 당시 건물의 명칭은 선화당이였다.

파일:external/cms.donga.ac.kr/im_20140422.gif

도청이 진주군에 있던 시절 동래부는 흔한 경남의 소도시였지만, 부산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점점 큰 도시가 된 데다 항구를 끼고 있어 대륙 진출에 용이한 이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총독부는 진주를 포함한 경남 서부 주민들의 민란을 방불케하는 격렬한 반대[4]찍어누르고, 당시 자혜병원 건물로 짓고 있던 본 청사를 돌연 도청 청사로 용도변경하는 꼼수를 쓴 끝에 1925년 4월 1일 부산부도청을 이전하였다. 중후한 서양식 벽돌건물로 6.25 전쟁 때는 북한군에 점령당한 서울중앙청 대신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기능하기도 했다. 이 건물은 경남도청이 옮겨간 이후 한동안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검찰청으로 사용되다가 (부산고등법원은 사진의 왼쪽에 보이는 회색 건물에 있었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산지법과 부산지검의 거제동 이전 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당시의 부산은 이미 1963년부터 내무부 직할의 부산시였으며, 1981년에 정식으로 '부산직할시'의 명칭을 얻었을 때도 이미 경상남도 행정에서 분리된 지 20년 가까이 된 시점이었다. 이에 진주군은 다시금 도청을 품고자 경남도청의 진주환원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으나, 일제강점기부터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경남의 새로운 대도시로 떠오른 경쟁자가 있었으니, 바로 1900년대 초부터 부산와 함께 부(府)로 승격되었던 마산이었다. 일제시기 진주의 도청 부산이전 반대운동으로 증명된 진주시민과, 전국 최고 전투민족이던 마산시민간의 도청 이전을 두고 벌이는 각축전은 살벌했는데, 같은 경상남도 소속 도시임에도 영호남 지역갈등을 연상케하는 진주 출신 국회의원 회사 물건 쓰지 말기[5]운동이나 마산에서 만든 술 마시지 말기 등의 병림픽 사소한 분야까지 파고들게 되었다.


그렇게 진주와 마산이 이렇게 서로의 자존심까지 내려두고 격렬히 싸웠고, 승자는 이 싸움과는 전혀 상관없던 창원시되었다. 다만 예나 지금이나 마산과 창원의 관계를 볼 때 사실상 마산이 이긴 거라고 봐도 무방한 상황이다.[6]

2.2. 현대[편집]


위에서 언급한 진주와 마산간의 치열한 도청 유치전은 1983년 신흥 공업도시인 창원시에 도청이 유치되며 종결되었다. 창원공업단지 건설을 위해 마산시 창원출장소에서 출발한 것이 옛 창원시의 기원이므로 사실상 진주의 처참한 패배라 할 수 있는데, 창원은 훗날 계획 인구인 30만을 넘어 50만을 초과한 대도시로 성장하면서 모태라 할 수 있는 마산과 이웃의 진해까지 합병하여 100만 규모의 대도시로 발전하였다.


2.3. 서부 청사[편집]


파일:경남서청사 조감도.jpg
파일:경남도청 서청사.jpg
2015년 12월 17일진주의료원 건물에 경상남도 서부청사가 개청하였다. 진주에서는 1925년 이후 90년 만의 도청의 귀환이라고 하며 환영하고 있다. 그런데 출장소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지 않은 탓에 서부청사를 출장소로 보아야 할지 단순한 도청의 별관으로 봐야 할지 논란이 있다. 결국 경상남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의 제12조와 경상남도 청사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조례의 제3조를 개정하여 서부청사를 도청의 별관으로 처리하였다. 일례로 도청 조직도에서도 서부지역본부는 본청의 소속으로 되어있다. 도의 제2청사를 출장소가 아닌 본청으로 하는 사례는 경기도에 이어 두번째이다.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 문서도 참고.


2.4. 도청 진주 환원 요구[편집]


2022년부터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창원시에 100만 대도시 특례가 부여되면서, 진주 정치권과 일부 시민단체에서 진주로의 도청 환원을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특례시는 광역시 승격과 같은 별개의 지방자치단체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광역시 승격으로 발생하는 비효율을 배제하면서 고도의 자치권을 부여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되는 제도이므로 이들의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7] 또한 경상남도 인구와 도의회 의석의 1/3을 차지하고 있는 창원시의 위상을 고려하면 도청사 이전은 현실성이 없으며, 설사 창원시가 광역시 승격으로 분리되어 나간다고 하더라도 혁신도시를 이미 차지한 진주시가 도청신도시까지 가져가도록 다른 지자체가 방관하고 있을 가능성은 전무하다. 창원시의회에서는 물론 가당치도 않은 소리라 반발하면서 서부청사 창원 복구를 주장하는 등 반격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이 단체를 주도하고 있는 인사가 지난 지방선거에서 단체장에 출마하여 낙선한 것을 들어 ‘선거용’ 포석일 수도 있다는 정치적 해석도 제기하고 있다. 기사


3. 조직[편집]


해당 홈페이지로.


3.1. 휘하 시/군청[편집]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12><tablewidth=100%><tablebgcolor=#fff,#000><bgcolor=#00ac6d> [[시(행정구역)|{{{#fff '''자치시'''}}}]] ||
||<-3><width=20%><bgcolor=#d0121b> [[거제시|[[파일:거제시 CI_White.svg|height=25]][br]{{{#fff 거제시}}}]] ||<-3><width=20%><bgcolor=#0033a0> [[김해시|[[파일:김해시 CI_White.svg|height=25]][br]{{{#fff 김해시}}}]] ||<-3><width=20%><bgcolor=#e60012> [[밀양시|[[파일:밀양시 CI_White.svg|height=25]][br]{{{#fff 밀양시}}}]] ||<-3><width=20%><bgcolor=#008eaa> [[사천시|[[파일:사천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사천시}}}]] ||
||<-3><bgcolor=#fff,#000> [[거제시청|{{{#d0121b 거제시청}}}]] ||<-3> [[김해시청|{{{#0033a0 김해시청}}}]] ||<-3> [[밀양시청|{{{#e60012 밀양시청}}}]] ||<-3> [[사천시청|{{{#008eaa 사천시청}}}]] ||
||<-3><width=20%><bgcolor=#d22229> [[양산시|[[파일:양산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양산시}}}]] ||<-3><width=20%><bgcolor=#214395> [[진주시|[[파일:진주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진주시}}}]] ||<-3><width=20%><bgcolor=#f39002> [[창원시|[[파일:창원시 CI_White.svg|height=25]][br]{{{#fff 창원시 ,,도청,,}}}]] ||<-3><width=20%><bgcolor=#ce0000> [[통영시|[[파일:통영시 CI_White.svg|height=25]][br]{{{#fff 통영시}}}]] ||
||<-3><bgcolor=#fff,#000> [[양산시청|{{{#d22229 양산시청}}}]] ||<-3> [[진주시청|{{{#214395 진주시청}}}]] ||<-3> [[창원시청|{{{#f39002 창원시청}}}]] ||<-3> [[통영시청|{{{#ce0000 통영시청}}}]] ||
||<-12><bgcolor=#faa81a> [[군(행정구역)|{{{#fff '''자치군'''}}}]] ||
||<-3><width=20%><bgcolor=#e02526> [[거창군|[[파일:거창군 CI_White.svg|height=25]][br]{{{#fff 거창군}}}]] ||<-3><width=20%><bgcolor=#009b63> [[고성군(경남남도)|[[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height=25]][br]{{{#fff 고성군}}}]] ||<-3><width=20%><bgcolor=#4fc2f1> [[남해군|[[파일:남해군 CI_White.svg|height=25]][br]{{{#fff 남해군}}}]] ||<-3><width=20%><bgcolor=#008a7c> [[산청군|[[파일:산청군 CI_White.svg|height=25]][br]{{{#fff 산청군}}}]] ||
||<-3><bgcolor=#fff,#000> [[거창군청|{{{#e02526 거창군청}}}]] ||<-3> [[고성군청(경상남도)|{{{#009b63 고성군청}}}]] ||<-3> [[남해군청|{{{#4fc2f1 남해군청}}}]] ||<-3> [[산청군청|{{{#008a7c 산청군청}}}]] ||
||<-3><width=20%><bgcolor=#00908d> [[의령군|[[파일:의령군 CI_White.svg|height=25]][br]{{{#fff 의령군}}}]] ||<-3><width=20%><bgcolor=#00a651> [[창녕군|[[파일:창녕군 CI_White.svg|height=25]][br]{{{#fff 창녕군}}}]] ||<-3><width=20%><bgcolor=#0b318f> [[하동군|[[파일:하동군 CI_White.svg|height=25]][br]{{{#fff 하동군}}}]] ||<-3><width=20%><bgcolor=#000> [[함안군|[[파일:함안군 CI_흑색배경용.svg|height=25]][br]{{{#fff 함안군}}}]] ||
||<-3><bgcolor=#fff,#000> [[의령군청|{{{#00908d 의령군청}}}]] ||<-3> [[창녕군청|{{{#00a651 창녕군청}}}]] ||<-3> [[하동군청|{{{#0b318f 하동군청}}}]] ||<-3> [[함안군청|{{{#000,#fff 함안군청}}}]] ||
||<-6><width=20%><bgcolor=#00946b> [[함양군|[[파일:함양군 CI_White.svg|height=25]][br]{{{#fff 함양군}}}]] ||<-6><width=20%><bgcolor=#d22730> [[합천군|[[파일:합천군 CI_White.svg|height=25]][br]{{{#fff 합천군}}}]] ||
||<-6><bgcolor=#fff,#000> [[함양군청|{{{#00946b 함양군청}}}]] ||<-6> [[합천군청|{{{#d22730 합천군청}}}]] ||





3.2. 산하기관[편집]






3.2.1. 지방공기업[편집]




3.2.2. 지방출연기관[편집]


  • 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 경남신용보증재단
  • 경남연구원
  • 경남테크노파크
  • 경남로봇랜드재단
  • 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
  • 경남문화예술진흥원
  • 경상남도마산의료원
  • 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 경상남도장학회
  • 경상남도사회서비스원
  • 경상남도관광재단
  •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
  • 경상남도투자경제진흥원: 구 경상남도경제진흥원
  • 경상남도평생교육진흥원


3.2.3. 지방출자기관[편집]


  • (주)경남무역


4. 역대 도지사[편집]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병규
제2대
김철수
제3대
문시환
제4대
양성봉
제5대
이상룡
제6대
김규진
제7대
신도성
제8대
이기주
제9대
정종철
제10대
이기주
제11대
최갑중
제12대
양찬우
제13대
이계순
제14대
이기수
제15대
김효영
제16대
정해식
제17대
강영수
제18대
조병규
제19대
김성주
제20대
최종호
제21대
이규효
제22대
김주호
제23대
조익래
제24대
최일홍
제25대
김원석
제26대
윤한도
제27대
김혁규
제28대
안명필
제29-31대
김혁규
제32-33대
김태호
제34대
김두관
제35-36대
홍준표
제37대
김경수
권한대행
하병필
제38대
미정
파일:Bravo Gyeongnam.gif
경상남도지사 권한대행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편집]



5.1. 본청[편집]



5.1.1. 버스[편집]


경남도청/경남도의회/병무청/도립미술관(108905·108906·108915·108916·119128·119129)
창원시 시내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급행좌석버스

직행좌석버스

김해시 시내버스
일반좌석버스

[1] 홍준표 지사 시절 진주의료원을 폐원하고 그 부지에 설치하였다.[2] 국가직 공무원 제외[3] 민선 8[4] 시위나 반대성토대회는 양반이고, 아예 시청 건물에 대한 테러와 지사관사까지 포위하여 반대의 뜻을 밝힌 무리도 있었다고 한다. 비슷하게 공주도 충청남도청 이전 당시 조선인 일본인 구분할 거 없이 격렬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결국 야반도주하다시피 대전으로 이전했다.[5] 해당 인물은 구태회.[6] 당장 마산시와 옛 창원시는 지리적으로 바로 붙어 있으며, 통합 이전에도 양 도시간에는 시내버스를 공동 운행할 정도로 시내버스 노선 체계를 함께 공유했고, 택시 요금 할증도 받지 않았고, 전화요금도 시내요금으로 취급하는 등 사실상 한 도시였다. 그렇기 때문에 통합을 할 수 있었던 것.[7] 특례시 제도의 모델이라 할 수 있는 일본의 정령지정도시들의 사례를 보면 정령지정도시 지정 이후에도 기존의 광역자치단체 청사가 이전한 사례가 없다. 광역시 승격과 함께 도청신도시를 만들어 행정중심지와 생활권 중심지를 분리시켜 왔던 한국의 지방행정제도는 매우 비효율적인 것으로 지금도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5.1.2. 철도[편집]




5.2. 서부청사[편집]


경상남도청서부청사(39020)
경남서부보훈지청 방면
진주시 시내버스
통학노선

경상대권역

진양호권역

이현동권역

도심순환




6. 여담[편집]


도청 내부에는 정원이 있으며 또 경상남도 모양의 호수가 있다. 그리고 도청 외부에는 정문 앞에 공원이 있는데 봄에 방문하면 벚꽃이 핀 나무들이 줄줄이 있어서 경치 감상을 할 때 장관을 연출하기도 한다. 실제로도 경남도민들뿐 아니라 외지인들도 많이 방문하며 특히 봄 때가 되면 제대로 즐기고 갈 정도다.

지금의 경상남도청 자리는 풍수지리상으로 창원에서 손꼽히는 길지라고 한다. 그래서 새로 차를 사면 도청 앞 사거리에서 목욕재계를 드리는 사람들이 종종 보인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2:37:57에 나무위키 경상남도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