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리사의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기타


1. 개요[편집]


고사성어





이로울
생각할
옳을

이익을 보면 올바름을 생각하라는 뜻으로 《논어》에서 유래한다.

원문은 「견리사의 견위수명 구요불망평생지언,見利思義 見危授命 久要不忘平生之言,」으로서 「나에게 이익되는 것을 접하면 옳은지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치며 오래 전 약속도 평생토록 잊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2. 상세[편집]


자로,子路,가 완성된 사람,成人,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했다.

“장무중,臧武仲,의 지혜와 맹공작,孟公綽,의 탐욕하지 않음과 변장자,卞莊子,의 용기와 염구,冉求,의 재예,才藝,에 예악,禮樂,으로 문채,文彩,를 낸다면 또한 완성된 사람이라 할 수 있다.”

다시 공자가 말했다.

“지금의 완성된 사람은 어찌 굳이 그러할 것이 있겠는가? 이,利,를 보고 의,義,를 생각하며, 위태로움을 보고 목숨을 바치며, 오랜 약속에 평소의 말을 잊지 않는다면 또한 완성된 사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子路問成人子曰若臧武仲之知公綽之不欲卞莊子之勇冉求之藝文之以禮樂亦可以爲成人矣曰今之成人者何必然見利思義見危授命久要不忘平生之言亦可以爲成人矣

논어집해,論語集解, 헌문,憲問,편#


자로가 성인에 대해 묻자 공자는 그에 이르기 위한 덕목으로 노나라의 대부 장무중과 맹공작, 변장자와 제자 염구의 장점을 예로 들었다.[1][2] 그러나 공자는 장무중의 독선과 맹공작의 한계, 변장자의 과잉,過剩,과 염구의 박약,薄弱,을 언급한 바 있다.[3][4][5][6]

이는 높은 명성과 능력을 갖추어도 성인이 되기가 어려우며, 앞서 거론한 네 사람의 장점뿐만 아니라 이를 아우르는 예악을 터득해야 비로소 이르를 수 있음을 가리킨다.


3. 기타[편집]


  • 논어에서 성인,成人,의 정의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는 대목으로서, 聖人보다는 君子에 가깝다.

  • 논어 계씨,季氏,편에는 「군자는 아홉 가지 생각하는 것이 있으니, 볼 때에는 밝게 보기를 생각하며, 들을 때에는 밝게 듣기를 생각하며, 얼굴빛은 온화하기를 생각하며, 용모는 공손하기를 생각하며, 말은 충실하기를 생각하며, 일에는 진중,敬,하기를 생각하며, 의심이 있으면 묻기를 생각하며, 화가 나면 근심과 걱정을 생각하며, 이득을 보면 의,義,를 생각한다」라는 구절이 있다.[7]

  • 논어 자장,子張 ,편에는 「사대부,士,가 위난,危難,을 보면 목숨을 바치며, 이득을 보면 도의,道義,를 생각하며, 제사에는 공경을 생각하며, 상사,喪思,에는 슬픔을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할 수 있다」라는 구절이 있다.[8]

  • 장자 응제왕,應帝王,편에는 「하늘에서 받은 것을 극진히 하되 이익을 보지 말아야 할 것이니 오직 마음을 비울 따름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북송시대 학자 여해경,呂惠卿,은 「항상 자연을 따라서 삶을 인위적으로 연장시키지 않는다」라고 풀이했으며, 청나라 학자 선영,宣穎,은 「얻는 데에 뜻을 두지 않는다」라는 뜻으로 해석했다.[9]

  • 안중근 의사가 만주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뒤 뤼순감옥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옥중에서 휘호,揮毫,한 유묵,遺墨, 가운데 《見利思義見危授命》이 전해지고 있다. 해당 유묵은 197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10]

  • 박기서의 정의봉,正義棒,을 감쌌던 화선지에 '見利思義 見危授命 박기서'가 적혀 있었다.[11]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7:16:54에 나무위키 견리사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논어집해 권7 마융注 「馬融曰鲁大夫臧孫紇也... 魯大夫孟公綽也... 周生烈曰卞邑大夫也」[2] 논어집해 권2 마융注 「馬融曰... 冉有弟子冉求」[3] 춘추좌전주소 권35 「仲尼曰知之難也有臧武仲之知... 夏書曰念兹在兹注逸書也」[4] 논어주소 권14 「子曰孟公綽為趙魏老則優不可以為滕薛大夫」[5] 한시외전 권10 「君子聞之曰三北已塞責又滅世斷宗士節小具矣而扵孝未終也」[6] 논어주소 권6 「冉求曰非不說子之道力不足也子曰力不足者中道而廢今女畫」[7] 논어주소 권16 「孔子曰君子有九思視思明聴思聰色思溫貌思恭言思忠事思敬疑思問忿思難見得思義」[8] 논어주소 권19 「子張曰士見危致命注孔曰致命不愛其身見得思義祭思敬喪思哀其可已矣」[9] 장자 제7편 응제왕 「盡其所受乎天 而無見得 亦虛而已」[1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안중근의사 유묵 - 견리사의견위수명」[11] 조선일보 1996.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