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키핑

덤프버전 :

분류

1. 뉴스의 보도 제한
1.1. 필요성
1.2. 게이트키핑의 요인
1.3. 폐해
2. 대화상대의 자격을 빌미로 주장을 무시하는 행위
3. 힙스터 심리에서 오는 뉴비 배척 행위



1. 뉴스의 보도 제한[편집]


오늘날 우리가 신문으로부터 얻는 대부분의 뉴스란 신문사가 여러 가지의 내외적 통제에 따라 지면에 게재키로 결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 기버(Gieber)


뉴스 생산 시스템 가운데 존재하는 필요악.

게이트키핑이라 하면 '어떤 사안에 대해 언론이 보도를 거부하고 은폐하는 행위'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본래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정의는 '뉴스 생산 과정 가운데, 기자/편집자 등 언론 조직 내 뉴스 결정권자가 어떤 뉴스를 보도할지 취사선택하는 과정'이다.

뉴스는 지면이나 방송을 통해 수용자에게 전달되기까지 수많은 '관문'을 거치게 되는데, 이 관문을 하나씩 거치면서 어떤 정보는 통과되고, 어떤 정보는 걸러진다. 해당 언론사의 최고 뉴스결정권자[1]까지도 이것이 보도가치가 있고 보도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그 정보가 '뉴스'가 되어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것.


1.1. 필요성[편집]


인간의 사회에는 수많은 정보가 범람하지만, 그 모든 정보가 반드시 모든 구성원에게 필요한 정보라는 보장은 없다. 어쩔 수 없이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해야 하는데, 언론은 이 과정에서 수용자가 사회를 인식하게 하는 창(Frame) 역할을 한다. 즉 개별 수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취사선택하여 제공하는 것이 언론의 역할인 셈.

70년대의 탐사저널리즘과 최근의 데이터 저널리즘은 필요하다면 직접 정보를 '생산'해내기도 한다. 탐사저널리즘은 리서치 등을 기자의 취재 목적 하에 주도적으로 진행하여 이를 기반으로 보도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저널리즘은 이미 공개되어있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통계를 내거나 이미 수치화된 통계자료를 배열하고 해석하여 새로운 의미정보를 보도하는 경향이다.

1.2. 게이트키핑의 요인[편집]


이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2차대전 중 커트 레윈이라는 학자가 "식품이 생산되어 식탁에 오르기까지 수많은 관문이 있고, 각 관문의 게이트키퍼들이 선택한 식품만이 식탁에 오른다"는 식의 연구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게이트키핑의 과정과 요인을 설명하는 모델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화이트 모델. 화이트는 미국 중서부의 외신부장들이 들어오는 외신의 90%를 보도하지 않으며, 그 취사선택이 매우 주관적으로 이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그러니까 데스크 꼴리는대로 보도한다는 거다 미디어조직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기자-국장-편집자 등 여러 개인의 손을 거치며 정보가 걸러진다. 이 과정에서 게이트키퍼는 자신의 계급적 배경, 성장배경, 교육배경, 가치관, 세계관, 그리고 해당 미디어조직의 가치, 규범, 전통 등의 영향을 받는다.

미디어조직 밖에서도 게이트키핑이 이뤄진다. 기자에게 어떤 사실을 제보할 때 이미 정보가 꽤 가공되어 있는 상태로 제보된다는 것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보도자료'. 이럴 경우 미디어 종사자 뿐만 아니라 PR 종사자나 해당 뉴스에 이해관계를 갖는 이해집단도 게이트키퍼에 포함된다.

덧붙이자면 바로 이런 이유로 기자실이 없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기자가 기자실에서 공보담당이 주는 정보에만 의존하기 시작하면 이미 게이트키핑으로 떡칠된 제한된 정보밖에 취재할 수 없게 된다. 폭로성 보도의 경우 일단 취재에 착수했다는 사실을 폭로당하는 당사자가 눈치채는 그 순간 뉴스에 개입하려 드는 경우도 많다.


1.3. 폐해[편집]


두말할 것도 없이, 정작 수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게 된다는 점. 처음에 인용한 기버의 말도 바로 이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스튜어드 후드(1972)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매스미디어의 게이트키퍼 대다수가 중산층 의식을 갖고 있어 갈등보다 합의에 의한 정치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TV 종사자들은 팀워크가 중시되다보니 이런 성향이 '관성'이 되어 잘 깨지지도 않는다는 것.

이 연구를 대한민국 상황에 적용해본다면 대부분의 중앙 일간지나 방송기자들은 수도권 거주 고학력자 중산층 화이트칼라며, 이들의 시선에서 중요해 보이거나 이들의 시야 안에 들어오는 정보만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

게다가 위에 언급했듯이, 이 게이트키핑은 언론이 정보를 은폐하고 자신들에게 유리한 보도만 행하게 만드는 아주 중요한 이유이다. 특히 권언유착, 경언유착 등으로 언론이 부패하면 이 게이트키핑은 그 문제점을 더욱 드러내게 된다. 설사 언론이 부패하지 않았다고 해도, 본격적인 보도까지 몇 단계에 걸친 게이트키핑으로 인해 객관적 의미의 객관적 보도는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2. 대화상대의 자격을 빌미로 주장을 무시하는 행위[편집]


논리적 오류중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의 역전된 형태. 간단히 말해서 "그만두자, 너같은 놈이 뭘 알겠냐?"정신승리를 시전하는 행위. 게이트키핑 서브레딧. 세상은 넓고 키배는 많다는 걸 알수 있게 해준다.

물론 속칭 좆문가뇌피셜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 사실이며, 토론이나 대화에서 언급되는 논리나 증거가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려면 어느 정도의 전문성과 사실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게 문제가 되는 것은 무관한 분야에서 엉뚱한 권위를 들먹이거나, 자기 멋대로 권위를 부여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무시할 때 발생한다.

이 분야의 최고참은 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이 없다라 할 수 있으며, "90년대생만 아는 XX" 타령 또한 게이트키핑 소재로 남용되고 있다.


3. 힙스터 심리에서 오는 뉴비 배척 행위[편집]


자신이 좋아하고 향유하는 것을 특별한 힙스터들만의 전유물로 여겨 그것이 유명해지기를 바라지 않는 심리 때문에 새로 유입되는 사람들을 말 그대로 문전박대하는 행위도 영미권에선 게이트키핑이라고 불린다. 음악, 애니메이션, 게임 등등 한 분야에서 한정되지 않고 넓게 나타난다.

자세한 내용은 마이너부심 참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12:09:43에 나무위키 게이트키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문사에서는 주로 편집국장, 방송사에서는 주로 보도국장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