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관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등장인물
3. 줄거리
3.1. 1막
3.2. 2막
3.3. 3막
3.4. 4막
3.5. 5막


1. 개요[편집]


러시아어: Ревизор

러시아의 작가 니콜라이 고골이 쓴 희곡. 1836년 4월 19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드로스 황실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희곡을 쓰기로 마음먹고 아이디어 구상에 열을 올리던 고골에게 러시아적인 에피소드가 없냐는 문의를 받은 동료작가 푸시킨이 지방에서 검찰관으로 오해받았던 자신의 실화를 들려주었고 이를 바탕으로 창작된 풍자극이다.

1836년 초연 이후 러시아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지만 고위층을 희화화하는 내용으로 인해 결국 공연 금지를 당했다. 하지만 그 인기를 여전하여 지금도 러시아 현지에서 드물지 않게 공연되고 있다.


2. 등장인물[편집]


  • 안톤 안토노비치 스크보니즈크 드무하노프스키 : 군수. 노회한 관리로, 뇌물을 받고 현지사를 상대로 사기를 치는 등 부패한 인물. 마을의 유지들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로부터 검찰관이 파견되었다는 소식을 전해준다.
  • 안나 안드레예브나 : 군수의 아내. 언제나 바른 소리를 하는 딸 에게 니가 언제 그런 소리를 했냐, 내가 말했잖아 라고 딴지를 거는 영 좋지 않은 엄마.
  • 마리아 안토노브냐 : 군수의 딸. 그나마 바른 소리를 하는 처자.
  • 루카 루키치 흘로포프 : 마을의 교육감.
  • 아르테미 필립포비치 제믈랸니카 : 자선병원장. 병원 환자들에게 투자해야 할 돈을 자기가 먹는지 환자들에게는 양배추 스프만 먹이고 약을 주지 않는다.
  • 암모스 표토로비치 랴프킨 타프킨 : 마을의 재판소장.
  • 이반 쿠즈마치 쉬페킨 : 우체국장. 우체국에 오는 편지들을 뜯어 읽어보고 현금이 나오면 자기가 먹는다.
  • 표토르 이바노비치 보브친스키 : 도브친스키와 쌍둥이 지주. 흘레스타코프를 검찰관으로 착각하고 마을 유지들에게 알려 준다.
  • 표토르 이바노비치 도브친스키 : 보브친스키와 쌍둥이 지주.
  •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흘레스타코프 : 하급 관리. 도박을 하다 돈이 다 떨어져 무전취식을 하다 경찰에 신고당할 위기에 처한다. 허풍이 겁나 심해서 왕이 대신 계산 할 거 라는둥, 원로원이 나만 보면 벌벌 떤다는 등 당연히 먹히지 않는 허풍을 떨다가 두들겨 맞는게 일상인데 마을 관리 들이 바보들 밖에 없어서 인생을 펼 뻔하나.... 마을을 떠나기전에 하는 말을 보면 또 도박에 다 날려먹을듯.[1]
  • 오시프 : 흘레스타코프의 하인. 그나마 정상인[2].


3. 줄거리[편집]



3.1. 1막[편집]


군수는 마을의 유지들을 불러모으고 검찰관이 파견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군수는 마을의 유지들에게 주의를 주는데[3] 마을의 지주 보브친스키, 도브친스키가 달려와서 검찰관이 마을에 있는 여관에 묵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준다.[4] 군수는 경찰관들을 동원해서 길거리를 청소하고 공무원들을 입단속한 후 검찰관이 있다는 여관으로 향한다.


3.2. 2막[편집]


새로운 등장인물 흘레스타코프의 하인 오시프의 독백으로 막이 오른다. 흘레스타코프는 14등관의 하급 공무원으로[5] 여행 중 도박으로 노잣돈을 전부 날려버렸고, 이에 땡전 한 푼 없이 고발하겠다며 이를 벼르고 있는 여관 주인의 눈칫밥을 먹어가며 대책 없이 여관에 머무르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가 없던 자리에서 방구석 침대에 누운 오시프는 겨우 14등관 주제에 허풍만은 1등관이라고 홀로 흘레스타코프에 대하여 원망을 퍼부으며 이를 갈고 있었다. 흘레스타코프는 여관 주인의 하인에게 빌어 마지막 식사를 얻어먹지만 너무 형편 없어서[6] 온갖 불평을 하며 더 좋은 음식을 내놓으라고 하지만 하인이 그냥 가져가려고 하자 하인에게 온갖 욕을 하며 먹는다.

이때 군수가 찾아오고, 흘레스타코프는 자신이 돈을 낼 것이라고 변명하며 역으로 여관의 서비스가 안 좋다며 군수한테 화를 낸다.[7] 겁먹은 군수는 벌벌 떨며 흘레스타코프에게 400루블을 빌려줬다.[8] 흘레스타코프는 계속 여관에 대한 불평을 늘어놓고, 군수는 흘레스타코프의 비위를 맞춰 주며 군수의 집에 묵게 한다. 군수는 마을의 시설에 대해 시찰하자고 흘레스타코프를 꼬드기고 도브친스키에게 제믈랸니카와 안나 안드레예브나에게 쪽지를 주어 전달하게 한다.[9][10]


3.3. 3막[편집]


도브친스키는 안나 안드레예나에게 군수의 편지를 전달한다. 편지를 전달받은 안나 안드레예브나는 흘레스타코프를 맞을 준비를 한다. 얼마 후 군수와 흘레스타코프를 비롯한 마을의 유지들이 들어온다. 군수는 흘레스타코프에게 은근슬쩍 자신이 청렴하고 진정으로 마을의 발전을 위해 봉사하는 인물이라고 포장한다.[11] 식사가 시작되고, 취한 흘레스타코프는 자신에 대한 온갖 허풍[12]을 쏟아내고, 거기에 속아넘어간 군수와 유지들은 벌벌 떨며 흘레스타코프를 두려워한다. 군수는 경찰관들을 시켜 낯선 사람을 집 안으로 들여보내지 말라고 명령한다.


3.4. 4막[편집]


아침이 되자 판사, 자선병원장, 우체국장, 교육감, 쌍둥이 지주 등 지역 유지들이 몰려와 시장 집에 있는 흘레스타코프에게 뇌물을 바치려고 한다. 그러나 흘레스타코프는 역으로 돈을 조금 꿔달라고 하는데 그들은 모두 주면서 아부를 떤다.[13] 흘레스타코프는 모든 사람들이 간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에 있는 친구인 기자 트랴파치킨에게 이 일들을 편지로 전하게 된다.

편지를 쓰는 도중에 하인인 오시프가 흘레스타코프 자신을 위해 이곳을 떠나라고 조언하자 흘레스타코프는 하인을 시켜 편지를 우체국장에게 보낸다. 그러던 중 집밖에서 장사꾼과 자물쇠공의 아내, 하사의 아내가 그에게 하소연한다. 그 내용은 시장이 자신들에게 갑질을 했다는 것. 처음에는 돈을 받아가며 들어주었으나 다른 사람들의 청원이 계속되자 오시프를 시켜 되돌려보냈다.


3.5. 5막[편집]


군수 일가는 흘레스타코프의 결혼 생각에 들뜬다. 군수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사갈 망상에 빠지고 자기가 벌써 뭐라도 된줄 아는양 갑질을 당해 청원한 장사꾼들을 협박하는데, 여기서 장사꾼들도 공금을 횡령하는 등 질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라는게 드러난다.

그 후 흘레스타코프가 친구인 기자 트랴파치킨에게 보낸 편지를 뜯어본 우체국장 슈페킨이 흘레스타코프가 검찰관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내고 군수 일가는 멘붕에 빠진다. 더불어, 편지에는 이들 군수와 상인들에 대한 온갖 비웃음과 정체를 털어놓고 욕까지 썼다. 이들은 많은 돈까지 빌려줬기에 더 멘붕하면서 서로가 사람 잘 못 보게 했느니 서로를 따져든다.

그러는 와중에 한 병사가 군수의 집을 찾아와 수도에서 온 검찰관이 왔으니 모두 출두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데 다들 충공깽으로 굳어진 듯이 멈춰버리고 극이 끝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5:55:38에 나무위키 검찰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러시아 문학 평론에서는 종종 이 등장인물의 이름을 딴 "흘레스타코프 기질"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하찮고 구질구질하고 모욕적인 속성"을 의미한다. 타 언어로 번역하기 힘든 러시아 특유의 단어 "пошлость"(삶의 범속성, 세속적이고 헛된 욕망의 만족을 추구하는 것, 낡고 진부한 삶을 이어가며 그 이상의 꿈도 없는 삶)와도 잘 어울린다.[2] 군수와 유지들이 잘해주는 걸 보고 좋아라하는 흘레스타코프와 달리 제정신이 아니거나 우릴 다른 이로 보는 거라며 아니라고 이야기하던지 아니면 빨리 마을을 나가야 한다고 권유한다.[3] 이때 우체국장은 검찰관이 파견된 이유를 터키전쟁을 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4] 두 사람은 배가 고파 여관에 들러 식사를 하게 되었는데, 어느 청년이 심각한 표정으로 자신들이 먹는 걸 자꾸 힐끔힐끔 들여다보는걸 눈치채게 된다. 여관 직원에게 물어본 결과 이 사람이 "도대체 밥값을 계산할 생각도 하지 않고 머무르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온 관리"라는 말을 들었다. 이에 두 사람은 이 청년이 감찰관이라고 짐작하게 되어 군수에게 황급히 말을 전하게 된다.[5] 표트르 대제의 개혁 이후 러시아의 관료 체계는 14등급 관등제에 기반하여 운영되었다. 14등급이면 최말단으로 현대 한국의 '지방직 9급 공무원'에 준하는 어감이다.[6] 수프와 구운 고기. 수프는 맹물을 탄 것 마냥 맛도 없고 이상한 냄새가 나며 구운 고기는 딱딱한 데다가 소스도 주지 않았다.[7] 여담으로 1막에서 두 지주를 계속해서 힐끔힐끔 쳐다본 이유는 배가 고파서였다(...)[8] 흘레스타코프 본인은 원래 200루블을 빌려달라고 했지만 시장이 내색하지 않고 슬쩍 200루블을 더 얹어줬다.[9] 이 쪽지는 원래 계산서였기에, 나중에 안나가 읽다가 생뚱맞은 음식 이름이 튀어나와 당황해하는 촌극이 연출된다. 대사를 보면 "여보, 급히 전하오. 내 상황은 매우 심각했지만 천만 다행으로 소금에 절인 오이 두 통, 어란 반 그릇, 1루블 25코페이카, 하느님이 보우하사 모든 게 잘 마무리될 것 같소... 아니 이게 무슨 말이에요?" 같은 식으로 나온다.[10] "어란 반 그릇"은 지금으로 따지면 "짜장면 반 그릇" 같은 뉘앙스라고 보면 된다. 아무리 배가 고프고 돈이 없어도 식당에 들어가서 짜장면 반 그릇만 시켜먹는 경우는 찾기 매우 힘든데, 흘레스타코프는 배가 매우 고파서 철면피까지 깔며 돈이 덜 드는 어란 반 그릇을 주문한 것이다. 톨스토이의 표현을 빌리자면 "입과 배의 노예"에 걸맞는 인물. "소금에 절인 오이 두 통"은 그 정도까지는 아니지만, 그마저도 음식점에서 가장 싸게 주문할 수 있는 메뉴 중 하나다. 입가심용이나 간단한 안주 정도로만 먹는 반찬 정도.[11] 와중에 흘레스타코프가 마을에 카드놀이를 할 수 있는 클럽이 있냐고 하자 군수는 그런 것은 없다면서 자신은 카드를 보기만 해도 혐오감이 치솟는다고 말하는데 그걸 들은 교육감은 어제 나한테 100루블 따놓고는 뭔 소리냐며 속으로 깠다.[12] 군인들이 자신을 육군 총사령관으로 착각했다, 근무하던 부처의 관리들이 부처의 장관을 맡아달라고 간청했다. 미모의 여배우들, 푸시킨을 비롯한 유명 작가들과도 친분이 있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제일 가는 저택에서 산다, 궁정에도 출입하고 추밀원(러시아 제국 최고 법률 심의 위원회)도 자신을 무서워한다 등등. 그나마도 제대로 아는 게 없어 "700루블짜리 수박"(당시 운송 과정 및 비용의 문제로 극의 배경이 되는 시골과 달리 도시에서는 수박의 가격이 백 배 이상 높았다.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아무렇게나 내뱉은 것)이니 "파리에서 공수해 오는 수프"(수프의 이름, 하다못해 트러플 같은 식재료도 제대로 알지 못해 그럴싸하게 부풀리기만 한 말), "4층의 내 방"(아파트가 없던 당시 특성상 층수가 높을수록 방세가 쌌다. 본인도 무심결에 실제 자신의 방 층수를 말한 뒤 황급히 말을 잘못했다며 2층에 자신의 방이 있다며 둘러댄다) 같이 참으로 빈곤한 상상력에 기반한 허풍을 쏟아내는 것이 애처로울 지경.[13] 판사에게 300루블,우체국장에게 300루블, 교육감에게 300루블, 자선병원장에게 400루블, 보브친스키와 이바노비치에게 65루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