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 딜레마

덤프버전 :

1. 정의
1.1. 딜레마 (양도논법)
2. 상세
2.1. 발생 원인
3. 예문
4. 관련 문서


1. 정의[편집]


어떠한 문제 상황에 제3의 선택지가 존재함에도 이를 묵살하고, 단 2개의 선택지만 있는 것처럼 상황을 조장하여 상대에게 양자택일의 대답을 강요하는 행위.

1.1. 딜레마 (양도논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딜레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딜레마'란 어떤 일을 하든 같은 상황이 나는 상황, 혹은 어느 선택지를 고르든 상대측에게 말려버리는 상황이 되는 상황을 이르는 말이다. 불분명한 흑백구도, 선악구도, 강약구도, 피아구도를 위시하여 딜레마를 유발시키면 거짓 딜레마가 된다. 선택지가 3가지이면 '트릴로마', 4가지면 '쿼드로마'라고 한다.

2. 상세[편집]



2.1. 발생 원인[편집]


따지는 대상을 주로 2개로 주고, 대립된 특성 2가지를 논하기 때문에 '쿼드로마'라는 가능성을 간과해서 발생한다. 경우의 수만 파악할 줄 알면 일대일 대응이 아니라 [math(2×2=4)]인즉 '쿼드로마'로 나오게 된다.


[math(x)]
[math(\neg x)]
[math(\mathbf{A})]
X
O
[math(\mathbf{\neg A})]
O
X

[math(\left(x, \neg x\right))], [math(\left( \mathbf {A}, \mathbf{\neg A}\right))]처럼 대립쌍이 명확한 경우에는 거짓 딜레마가 발생하지 않는다.


[math(x)]
[math(y)]
[math(\mathbf{A})]
O
?
[math(\mathbf{B})]
?
?

그러나 위 쿼드로마 표에서 [math(\mathbf{\neg A}=\mathbf{B})]가 합당인지, [math(\neg x=y)]가 합당한지를 명확히 밝힐 수 없으면 거짓 딜레마가 된다. 이런 거짓 딜레마에는 고의적인 목적도 분명히 있겠으나, 그게 아닌 경우에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딜레마를 내놓는 쪽)의 무지함에서 비롯되었을 확률이 크다.

  • 예시. '갑'이 A당의 말을 부정하였다.

A당 지지
반A당 지지
A당 의견 수긍
X
X
A당 의견 반대
O? X?
O? X?
→ 이 사실로 미루어 알 수 있는 건 X표가 된 칸이다. 그러나 'O? X?'에 대한 여부는 정확히 확답할 수가 없는 논의이다.

어느 선택지를 고르든 똑같은 답이 나오는 '단순양도논법'과 선택지에 따라서 답이 달라지기는 하는데 그게 전부 다 상대방한테 패배하는 답이 되는 '복합양도논법'으로 나뉜다.[1] 거짓 딜레마는 허수아비 논증, 인신공격의 오류, 복합 논증, 미끄럼 논증 등과 같이 쓰이는 경우가 많다.


3. 예문[편집]


  • A를 욕하지 말자는 것은 곧 A를 옹호하는 것이다.
→ '특수 환경 공격'과 공유되는 오류이다.

  • 너 나랑 헤어질 거야? 아니면 이성 연락처 싹 지울 거야? (남녀 커플인 상황 한정)
→ 연락처만 지운다고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 얼마든지 연락하거나 만날 수 있다는 제3, 4, 5, ...의 방법을 간과했다.

  • 철수는 착하고 영희는 나쁘다.
→ '착하다', '나쁘다' 외에도 '둘 다 착하다', '둘 다 나쁘다'라는 제3, 4의 선택지를 간과하였다. 건전한 논증이 되려면 '쿼드로마' 논법으로 이끌어야 한다.
→ '선악' 여부라는 것 자체가 객관적인 기준이 아니므로 건전성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다만, 이는 흑백논리에서 따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으로 파악이 불가능한 '주관에 호소하는 오류'로 반박을 해야 한다.

  • 철수가 틀렸으니 영희가 옳다.
→ 이는 딜레마(2가지 양도논법)가 아니라 쿼드로마(4가지 양도논법)에서 따지면 맞는다. 그러나 이 논증은 '둘 다 맞는다', '둘 다 틀렸다'라는 가능성을 간과했다.

  • 기부를 하는 것은 착한 일이다. 따라서 기부를 하지 않는 것은 나쁜 일이다.
→ 기부를 하고 싶지만 돈이 없어서 기부를 하지 못하거나, 기부 대신 자원봉사 같은 다른 방법으로 어려운 사람을 돕는 사람들을 간과했다.
→ 선악의 기준이 주관적이므로 '주관에 호소하는 오류'도 같이 범했다. 건전한 논증의 성립 요건인 '객관성'조차 충족하지 못했으므로 유사논증이다.

  • 넌 별로 슬퍼하지 않는구나. 나랑 헤어지는 게 기쁜 모양이지?
→ '미끄럼 논증', '복합 논증의 오류'이 복합되어 있다.
→ 헤어지는 것에 충격을 받아 슬퍼하지 않고 무덤덤하게 보이는 경우도 많다.
→ 건전한 논증의 성립 요건인 '객관성'조차 충족하지 못했으므로 유사논증이다. 슬픔과 기쁨의 판단은 객관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 이대로 빚쟁이한테 시달리느냐, 아니면 자살하느냐, 둘 중 하나다.
→ 갚거나 파산 신청을 하는 등의 다른 선택지를 생각하지 않아 오류가 생겼다.

  • 저 남자는 여자를 싫어하니까 분명한 확률로 게이다.
→ 생물학적 여성을 꺼리는 건지, 정서적으로 여성을 꺼리는 건지 명확하지도 않다.
→ 여기에 대고 '무성애자는 논외로 치자'라는 것을 덧붙이면 '이중 잣대'를 범하는 오류가 추가된다.
→ 이렇게 따지면 호색한은 극도의 남성혐오자가 되는 격인데 실제로 호색한 중에 남성혐오자가 은근히 많다.

→ 바로 위의 서브컬처버전. 사회적으로 싫어할 가능성은 아예 배제하고 있다.
→ 여기서 둘 다 싫어할리가 없다는 '이중잣대'를 들이미는 경우는 두 말할 것도 없다.
→ '복합 논증'의 오류도 함께 공유했다.
→ 소스 없이 그냥 쌩으로 먹거나 볶아서 먹는 사람들을 생각하지 않았다.
→ 흑백논리를 피하려면 '그 외 어떤 방식을 선호하니?'라고 덧붙여야 한다.

→ 짜장면이 짬뽕과 꼭 대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선결 조건이 필요하다. 이 역시 짜장면을 근래에 먹어서 다른 것을 먹고 싶어하거나, 짜장면, 짬뽕 둘 다 싫어하고 다른 중화 요리를 좋아하는 경우도 있다.[2]
→ 짜장면과 짬뽕이 대치된다고 치더라도 이 논증은 타당성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짜장면과 짬뽕 둘 다 좋아한다', '짜장면과 짬뽕 둘 다 싫어한다'라는 제3, 4의 선택지를 간과하였다.

  • 이 많은 군사가 강을 건너기 위해 헤엄쳐서 간다면 급류에 휩쓸릴 것이고, 다리로 간다면 무게 때문에 무너져 내릴 것이다. 따라서 이 강을 건너는 건 불가능하다.
→ 배를 만들어 건너든가, 한 명씩 건너든가 하는 다른 방법의 가능성을 배제하였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 프로크루스테스는 누운 사람이 침대보다 크면 다리를 잘라버리고 침대보다 작으면 억지로 몸을 늘린다. 따라서 프로크루스테스를 만났을 때 살아남을 수는 없다.[3]

  • 테러범이 광화문에 폭탄을 설치하였습니다. 서울 전체를 날려버릴 정도의 규모이죠. 이때 위치를 말하게 하기 위해 그의 딸을 고문을 하시겠습니까? 안하시겠습니까? [4]
→ 제 3의 선택지인 딸을 광화문으로 데려가거나, 폭탄을 찾아서 해체하거나 하는 다른 방법의 가능성을 배제했다. 그치만 폭탄을 여전히 못 찾고 있다고 말하긴 했다.

  • (동성애자에게) 너 건전한 이성애자가 될래?? 성중독자가 될래?
→ 동성애, 이성애 둘 다 비중독이 될 수도 있고, 둘 다 중독이 될 수도 있고, 동성애는 비중독이 되고 이성애는 중독이 될 수도 있다는 선택지를 간과하였다. 건전한 논증이 되려면 '쿼드로마' 논법으로 이끌어야 한다.
→ 건전하지 않다고 반드시 성중독이거나 성중독이 아니라고 반드시 건전하다고 보기도 어렵다.

  • 양당제 하에서의 정치 지지적 문답도 이에 속하는 경우가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1] 어떤 진술 'p와 p가 아니다.'라는 진술을 모순관계라고 하며 모순관계의 두 진술은 둘 다 옳거나 그를 수 없다. 한편 둘 다 옳을 수는 없지만 둘 다 그를 수 있는 관계를 반대관계라고 한다. 예컨대, 'p는 좋다.', 'p는 나쁘다.'라는 두 진술은 좋으면서 나쁠 순 없지만 좋지도 나쁘지도 않고 딱 중간일 수 있다. 결국 거짓 딜레마란 반대관계의 진술을 모순관계의 진술로 혼동하여 발생하는 오류이다. 만약 모순 관계가 성립하면 논리는 참이 된다. 예를 들어 '어떤 것이든 p 또는 p가 아니다.'라는 배중률의 형식은 참이다.[2] 실제로 유재석양원경에게 이 문제를 빌미삼아 폭행을 당한 적이 있다.[3] 신화에서는 침대의 크기가 키와 딱 맞는 테세우스가 나타나 프로크루스테스를 끔살시켰다.[4] 예능 책 읽어 드립니다 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2:03:17에 나무위키 거짓 딜레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