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굴닌자/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덤프버전 : r20190312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개굴닌자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등장인물


파일: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ε' 표기는 에코 파이터로 스킬셋 자체는 원본 캐릭터와 공유하나 일부 성능상의 차이가 있는 클론 캐릭터를 말한다.
파일:ssblogo.gif
원년 파이터
파일:smash_mario.png
01 마리오
파일:smash_donkey_kong.png
02 동키콩
파일:smash_link.png
03 링크
파일:smash_samus.png
04 사무스
파일:smash_yoshi.png
05 요시
파일:smash_kirby.png
06 커비
파일:smash_fox.png
07 폭스
파일:smash_pikachu.png
08 피카츄
파일:smash_luigi.png
09 루이지
파일:smash_ness.png
10 네스
파일:smash_captain_falcon.png
11 캡틴 팔콘
파일:smash_jigglypuff.png
12 푸린
파일:大乱闘スマッシュブラザーズDX_タイトルロゴ.png
DX부터 참전
파일:smash_peach.png
13 피치
파일:smash_bowser.png
14 쿠파
파일:smash_ice_climbers.png
15 얼음 타기
파일:smash_sheik.png
16 시크
파일:smash_zelda.png
17 젤다
파일:smash_dr_mario.png
18 닥터마리오
파일:smash_pichu.png
19 피츄
파일:smash_falco.png
20 팔코
파일:smash_marth.png
21 마르스
파일:smash_young_link.png
22 소년 링크
파일:smash_ganondorf.png
23 가논돌프
파일:smash_mewtwo.png
24 뮤츠
파일:smash_roy.png
25 로이
파일:smash_mr_game_and_watch.png
26 Mr. 게임&워치
파일:ssbxlogo.jpg
X부터 참전
파일:smash_meta_knight.png
27 메타 나이트
파일:smash_pit.png
28 피트
파일:smash_zero_suit_samus.png
29 제로 슈트 사무스
파일:smash_wario.png
30 와리오
파일:smash_snake.png
31 스네이크
파일:smash_ike.png
32 아이크
파일:smash_pokemon_trainer.png 포켓몬 트레이너파일:smash_diddy_kong.png
36 디디콩
파일:smash_lucas.png
37 류카
파일:smash_sonic.png
38 소닉
33 꼬부기34 이상해풀35 리자몽
파일:smash_king_dedede.png
39 디디디 대왕
파일:smash_olimar.png
40 피크민&올리마
파일:smash_lucario.png
41 루카리오
파일:smash_robot.png
42 R.O.B.
파일:smash_toon_link.png
43 툰 링크
파일:smash_wolf.png
44 울프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Logo_EN_%28alt%29_-_Super_Smash_Bros._Wii_U_3DS.png
for Nintendo 3DS / Wii U부터 참전
파일:smash_lucina.png
21ε 루키나
파일:smash_dark_pit.png
28ε 블랙피트
파일:smash_villager.png
45 마을 주민
파일:smash_mega_man.png
46 록맨
파일:smash_wii_fit_trainer.png
47 Wii Fit 트레이너
파일:smash_rosalina_and_luma.png
48 로젤리나&치코
파일:smash_little_mac.png
49 리틀맥
파일:smash_greninja.png
50 개굴닌자
파일:smash_mii_fighter.png Mii 파이터파일:smash_palutena.png
54 파르테나
51 격투형52 검술형53 사격형
파일:smash_pac_man.png
55 팩맨
파일:smash_robin.png
56 러플레
파일:smash_shulk.png
57 슈르크
파일:smash_bowser_jr.png
58 쿠파주니어
파일:smash_duck_hunt.png
59 덕헌트
파일:smash_ryu.png
60
파일:smash_cloud.png
61 클라우드
파일:smash_corrin.png
62 카무이
파일:smash_bayonetta.png
63 베요네타
파일:smashultimatelogo_kor2.png
얼티밋부터 참전
파일:smash_dark_samus.png
04ε 다크 사무스
파일:smash_daisy.png
13ε 데이지
파일:smash_chrom.png
25ε 크롬
파일:icon_ken.png
60ε
파일:smash_inkling.png
64 잉클링
파일:smash_ridley.png
65 리들리
파일:smash_simon.png
66 사이먼
파일:smash_richter.png
66ε 릭터
파일:smash_king_k_rool.png
67 킹크루루
파일:smash_shizue.png
68 여울
파일:icon_gaogaen.png
69 어흥염
파일:icon_packun_flower.png
70 뻐끔플라워
파일:ssbujokericon.png
71 조커
파일:ssbuheroicon.png
72 용사
파일:ssbubanjoicon.png
73 반조 & 카주이
파일:terryicon.png
74 테리
파일:bylethicon.png
75 벨레트 / 벨레스
파일:minminicon.png
76 미엔미엔
파일:steveicon.png
77 스티브 / 알렉스
파일:sephirothicon.webp
78 세피로스
파일:homuraicon.png [[파일:hikariicon.png파일:kazuyahead.png
81 카즈야
파일:soraicon.png
82 소라

파일:smash_50gegulninja.png
1. 개요
2. 상세
3. 기술 일람
3.1. 지상 공격
3.2. 공중 공격
3.3. 잡기 공격
3.4. 스매시 공격
3.5. 필살기
3.6. 비장의 무기
3.7. 어필
4. 타이틀별 특징


1. 개요[편집]


시노비포켓몬. 물, 악 타입.

개구마르의 최종진화형. 닌자처럼 민첩하고, 물을 압축해서 만드는 수리검은 금속도 두동강 낸다.

스매시브라더스에서도 민첩한 몸놀림과 물을 조종하는 닌자와 같은 기술이 특징인 파이터. 물의 흐름으로 상승하는 '하이드로펌프'는 도중 한번만 자유로운 각도로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복귀에 편리하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WiiU 피규어 설명 (비공식 번역)


신출귀몰 시노비포켓몬 / 神出鬼没のしのびポケモン / Master of Stealth

링네임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개굴닌자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상세[편집]


엄청난 인기 때문인지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부터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참전한다. 그런데 사쿠라이의 발언에 따르면 개굴닌자는 X&Y가 나오기 전부터, 정확히는 컨셉 아트가 나왔을 때부터 참전 캐릭터로 생각해 두고 있었다고 한다.# 같은 포켓몬스터의 파이터인 피카츄, 리자몽, 루카리오, 푸린 모두 특별한 색 컬러링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개굴닌자는 유일하게 검은 색의 특별한 색 컬러링을 가지고 있다. 다만 얼굴 부분의 색상이 약간 다르다는 차이점은 존재한다.

전체적으로 닌자 컨셉을 잡고 있는 캐릭터로, 특히 야습과 대타출동을 닌자스럽게 재해석한 센스가 돋보인다.

유명 플레이어로는 iStudying (네덜란드) 이 있다. B.E.A.S.T 6에서 디디콩 메인인 MVD와 세계 최강의 피카츄 메인인 ESAM을 각각 3:1, 3:2로 꺾어서 두각을 드러냈다. 또한 UGC Smash Open에서 세계 최강의 마리오 플레이어인 Ally를 꺾은 업셋을 일으키기도 했다. 잡기 콤보와 물수리검 견제, 잽 리셋을 넘나드는 플레이로 상대를 꼼짝 못하게 하고 마무리를 짓는 테크닉이 돋보이는 플레이어. 현재 네덜란드 스매시 랭킹 2위로 세계 최강의 개굴닌자 유저로 불리고 있다.


3. 기술 일람[편집]



3.1. 지상 공격[편집]


  • 일반 공격
팔로 두 번 친 뒤에 양손을 뻗어 물을 뿌린다. 딜레이가 매우 빠르며 위력도 나쁘지 않다. 대신 리치는 좀 짧다. 대미지는 2% + 1% + 3%이다. 연타하면 물을 뿌리는 연타 공격이 된다. 연타 공격 시 나오는 물은 1%의 대미지를 준다.

  • 위 강공격
위로 자신의 혀를 휘두른다. 리치가 살짝 길지만 가로 판정이 좀 좁다. 위력은 좀 약하지만 대신 공격 속도가 빠르며 적을 살짝만 띄우기 때문에 콤보용으로서 매우 쓸만하다. 대미지는 4%이다.

  • 옆 강공격
다리로 옆을 찬다. 긴 다리 때문에 지상 공격 중에서 리치가 제일 길고 딜레이가 빠르다. 리치가 긴 것 외엔 딱히 별 특징이 없다. 상 중 하 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다. 대미지는 7%이다.

  • 아래 강공격
땅을 짚고 다리로 앞을 찬다. 딜레이가 매우 빠르며 적을 위로 살짝 띄우기 때문에 콤보용으로 애용된다. 콤보 스타터는 물론 빠른 공격 속도 때문에 상대의 공격 끊어먹기에도 좋다. 대미지는 7%이다. 얼티밋에선 손으로 바닥을 쓰는 모션으로 변경되었다.

  • 대시 공격
적의 다리를 건다. 딜레이가 일반 공격 수준으로 매우 빠르고 리치도 나쁘지 않다. 위력도 무난하며 빠른 딜레이 때문에 적이 막기도 힘들다. 여러모로 꽤 사기적이다. 대미지는 7%이다.

  • 기상 공격
땅을 짚으면서 다리를 찬다. 대미지는 7%이다.

  • 복귀 공격
손으로 땅을 짚고 찬다. 대미지는 7%이다.


3.2. 공중 공격[편집]


  • 공중 일반 공격
몸 주위에서 물을 뿜는다. 딜레이가 빠르고 판정 지속 시간도 꽤 길다. 위력도 나쁘지 않으며 적이 위로 살짝만 뜨기 때문에 콤보용으로 쓸만하다. 대미지는 6~11%이다.

  • 공중 앞 공격
물로 된 검으로 앞을 벤다. 위력에 비해 선딜레이가 매우 빠르며 리치도 꽤 길다. 보통 콤보를 넣다가 공중 앞 공격으로 마무리 짓는게 좋다. 처치용으로는 꽤 쓸만하다. 대미지는 14%이다.

  • 공중 위 공격
몸을 거꾸로 뒤집어서 회전하며 다리로 계속 찬다. 딜레이가 매우 빠르며 넉백은 좀 약하지만 대미지가 높아서 콤보용으로 쓸만하다. 판정도 꽤 좋으며 중간 타격 도중에 약한 메테오 스매시 판정이 있어서 적을 아래로 끌고 갈 수도 있다. 넉백은 약하지만 판정이 좋고 딜레이가 빠르기 때문에 높은 퍼센트에선 쉽게 처치할 수 있고 플랫폼이 높을 경우 화면 위로 끌고 가서 처치할 수도 있다. 대미지는 1% + 1% + 1% + 1% + 1% + 3%이며 소수점까지 총 9%이다.

  • 공중 아래 공격
일직선으로 급강하하며 내려찍는다. 적이 대각선 위로 날아가기 때문에 공격한 뒤 머리를 밟고 다시 공격을 잇는 복잡한 콤보의 스타터가 된다. 사용한 직후에 메테오 스매시 판정이 있다. 적을 밟으면 대각선으로 뛰어오르기 때문에 적만 밟는다면 반격당할 위험성이 적다. 하지만 지상에 그냥 착지할 경우 후딜레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위험하다. 놓치면 쭉 급강하 하므로 절벽에서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대미지는 8%이다.


3.3. 잡기 공격[편집]


  • 잡기
손에서 물 소용돌이를 일으켜 적을 잡는다. 일반적인 잡기보단 리치가 아주 살짝 손톱만큼 길지만 그렇게 눈에 띄진 않는다. 모션을 볼 때 아마도 포켓몬스터의 기술인 바다회오리로 추정된다.

  • 잡기 공격
물줄기로 잡힌 적을 압박한다. 대미지는 2%이다.

  • 앞 던지기
잡은 적을 앞으로 내던진다. 위력이 약해서 별로 쓸만하진 않다. 대미지는 5%이다.

  • 뒤 던지기
잡은 적을 뒤로 내던진다. 앞 던지기보단 좀 더 위력이 강하지만 그래봤자 별로 강하진 않아서 별로 쓸만하진 않다. 대미지는 8%이다.

  • 위 던지기
잡은 적을 위로 띄운다. 콤보용으로도 꽤 쓸만하며 은근히 넉백이 강해서 높은 퍼센트에선 처치할 수도 있다. 대미지는 5%이다.

  • 아래 던지기
적을 바닥으로 내팽겨친다. 적이 옆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콤보로 쓰기엔 애매하다. 그 때문에 별로 쓸만하진 않다. 대미지는 5%이다.


3.4. 스매시 공격[편집]


  • 옆 스매시
물로 된 검으로 앞을 벤다.[1] 딜레이가 꽤 빠르며 위력도 나쁘지 않고 리치도 길다. 딜레이가 빠르며 결정력이 좋기 때문에 처치용으로는 꽤 쓸만하다. 대미지는 14~19%이다.

  • 위 스매시
물로 된 검 두 개로 위를 가른다. 판정이 꽤 좋은 편이며 딜레이도 빠르다. 옆에서 맞을 경우 적이 그냥 옆로 날아가며 위력도 실망스럽지만 위에 있는 적을 찌를 경우 적이 위로 날아가며 위력도 상당히 강력해진다. 지상에 있는 적에게 쓰는 것은 별로 좋지 않다.

  • 아래 스매시
물로 된 검 2개로 양 옆을 동시에 벤다. 딜레이가 짧고 리치도 나쁘진 않으며 위력도 무난하다. 맞은 적이 저각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처치하기도 쉽다. 검 끝에 맞을 수록 더 강하다.


3.5. 필살기[편집]


일반 필살기. 전방으로 물수리검을 던진다. 차지가 가능하며, 모으는 시간이 길수록 수리검의 크기와 데미지가 증가한다.[2]

옆 필살기. 순간적으로 적의 시야에서 사라져 기습하는 기술로, 버튼을 홀드하면,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기술의 차지 중에도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도 특징 중 하나다. 그림자가 있는 곳에서 튀어나오지만 픽토챗같이 바닥이나 맵이 어둡거나 그림자에 가려진다면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튀어나오는 딜레이도 좀 느리고 야습을 쓰는 도중 대시가 불가능하므로 티가 난다. 얼티밋에선 튀어나오기 직전 어둠 속에서 눈빛을 내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사용 후에도 도발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발이 끝나기도 전에 다시 공격할 수 있다.

위 필살기. 손에서 강력한 물줄기를 뿜어내며 점프. 피카츄의 전광석화처럼 원하는 방향으로 2번 이동할 수 있으며 똑같은 방향만 두 번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물줄기에 경직은 없지만 약한 대미지와 함께 상대방을 밀어내기 때문에 뛰어난 복귀견제 기술이기도 하다. 물줄기는 투사체 판정이라 반사나 흡수에 당한다.

아래 필살기. 시전 후 공격을 받을 시 자신을 대타출동의 인형이나 나무토막으로 대체해 공격을 피하고 카운터 공격을 시전한다. 카운터 딜레이가 긴 편인 대신 방향 입력으로 공격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서 카운터류 기술들중에서는 꽤 테크니컬한 부류. 다만 이런 기술이 다 그렇듯 방향 입력을 실수하면 반격하고도 우선권이 날아가거나 스스로 장외로 나가는 등 안 쓰니만 못 할 수 있으므로 주의.


3.6. 비장의 무기[편집]


  • 시크릿닌자어택
파일:Greninja_final_smash.jpg
마룻바닥세워막기로 마루 위에 있던 캐릭터들을 튕겨올린 후 보름달을 배경으로 깜짝베기 러쉬 이후 피니쉬한다.[3] 얼티밋에서는 지우개굴닌자로 유대변화한 후에 이 기술을 시전.

3.7. 어필[편집]


  • 위 어필
한 다리로 서서 손으로 입을 막는 자세를 한다.

  • 옆 어필
혀를 양옆으로 휘두른다.

  • 아래 어필
한발로 서서 양손에서 물을 뿜는다. 뿜어내는 물에는 공격판정이 있으며, 대미지는 1% 정도. 상대를 위로 쏘아올리며, 500~600%정도 쌓여있을때 킬을 할 수 있다.

4. 타이틀별 특징[편집]



4.1.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편집]




파일:attachment/Smash_Bros_Greninja.png파일:external/www.ssbwiki.com/Greninja_Poster.jpg

첫 참전. 일본 한정으로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와 포켓몬스터 오메가루비·알파사파이어를 같이 클럽닌텐도에 등록하면 특전으로 스매시브라더스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배운 숨겨진 특성 개굴닌자를 얻을 수 있다.

개굴닌자의 등장으로 개굴닌자 < 루카리오 < 리자몽 <개굴닌자 라는 상성이 성립된다.[4] 하지만 실제로는 리자몽 < 개굴닌자 < 루카리오 < 피카츄로 상성보다는 먹이사슬에 가깝다.

12월 11일부로 업데이트된 현재 1.1.6 공식 티어리스트에서는 55명 중 26위이다.

닌자다운 빠른 움직임, 우수한 위 스매시, 강력한 장풍인 물수리검과 뛰어난 복귀와 복귀저지 능력 등으로 A급 이상의 탑 티어에 위치하고 있던 캐릭터지만 1.0.4. 패치로 인해 상당한 너프를 받았다. 특히 강점이였던 위 스매시와 물수리검의 후딜레이가 크게 증가하였다. 더이상 최상위권은 아니고 중상위에 위치한 강캐 정도의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3DS판 한정 업데이트로 1.0.5에서 너프를 받았었다! 야습을 누르는 동안 달릴수 없도록 패치가 되었는데, 사쿠라이는 의도치 않은 버그로 생각한듯 싶으나 많은 개굴닌자 플레이어들은 더이상 중간밖에 안가는 캐릭터인 개굴닌자를 왜 또 너프하냐고 불만만 가져왔다. 덕분에 개굴닌자에게 새로운 이미지가 정착되었는데...




결국엔 사쿠라이 마사히로의 기묘한 밸런스 패치를 비꼬는 상징이 되어버렸다. 어떤 캐릭터가 OP든, 대전을 망치는 버그가 발견되었든, 어떤 불공정한 시스템이 스매시브라더스에 있든 간에, 팬사이트에선 BETTER NERF GRENINJA라는 댓글이 거의 꾸준글 수준으로 달린다.[5]

1.0.6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1.0.8에서는 무려 버프를 받았다! 위 공격의 데미지가 늘고 후딜이 줄게되는 소소한 버프를 받았는데, 4편 출시 이후 첫 버프라 팬사이트에선 환희를 가져다 주었다.

1.1.3에서 역시 버프를 받았다! 스매시 공격들과 야습의 넉백률이 증가했다.

4.2.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편집]




#50
GEGULNINJA
파일:smash_50gegulninja.png


본작에도 참전. 비장의 무기를 사용할 때는 지우개굴닌자가 된다.

초기 버전 평가는 무려 최상위권이다. 스피드도 높고 리치도 괜찮고 크롬과 달리 복귀력도 어느정도 있다는게 고평가의 원인.


4.2.1. 등불의 별[편집]


공중으로 피했을 때 키라의 광선에 직격당해 피규어가 되어버린다.

거의 모든 수중 생물[6] 스피릿을 담당하고 있다. 얼티밋에 나오는 개구리 스피릿은 100% 얘가 담당하고 있다. 윙키 (동키콩 시리즈), 슬리피 토드, 개구리와 뱀[7] (개구리를 위하여 종은 울린다).

타입이나 컨셉 때문인지 어둠 속성과 관련된 캐릭터 또한 맡는 편이다. 다크라이섀도맨 등. 의외로 루카 스피릿도 달고 나온다.

4.2.2. 클래식 모드[편집]


파일:SSBU_Congratulations_Greninja.png
모드의 테마는 타입 공략 리그! 각각의 타입의 캐릭터들과 전투를 한다. 최종 보스는 마스터 핸드크레이지 핸드. 클리어 특전 이미지는 해적선 위에서 다이빙을 하는 개굴닌자들의 모습이다.
[1] 얼티밋부터는 쿠나이로 변경. 이는 파이널 스매시때 지우개굴닌자로 변신할 때도 마찬가지다.[2] 모으는 시간이 길수록 날아가는 속도와 거리는 짧아진다.[3] 배경의 보름달이 왜 뜨는지는 깜짝베기 항목을 참조. 간단히 설명하자면 적절한 대체어가 없어 한글로 번역하면서 의미가 변형된 것이다.[4] 물론 실제 게임에 상성 시스템이 있지는 않다. 본가 게임으로서는 개굴닌자의 악타입은 루카리오의 격투에 약하며, 루카리오의 격투, 강철은 각각 리자몽의 비행, 불꽃에 약하다. 또한 개굴닌자의 물이 리자몽의 불을 압도하는 순. 다만, 다른 타입으로는 개굴닌자>루카리오가 될 수도 있는데, 이는 개굴닌자의 물이 루카리오의 강철을 반감하기 때문.[5] 가뜩이나 맵이 2D인 경우엔 그림자가 이동하는 것도 보이지 않을 뿐더러 개굴닌자 자체의 기술들도 복귀방해나 깔짝형이 많아서 캐릭터도 사용자도 더러워보일 정도로 짜증난다.[6] 꼬부기와 역할 분담[7] 킹크루루와 같이 출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개굴닌자 문서의 r68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개굴닌자 문서의 r68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