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역

덤프버전 :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펼치기 · 접기 ]

세길동
산업동
샘물동
기양동
문화동
락원동
봉상동
기산동
서학동
탄포동
남산동
전진동
서기동



청산리
태성리

구역당

덕흥리
약수리
삼묘리
수산리
잠진리







남포시구역



강서구역
江西區域
Kangsŏ District





구역 소재지
덕흥동
광역행정구역
남포시
하위 행정구역
14 6
면적
736km²
인구
191,356명[1]
인구 밀도
259.99명/km²
최고인민회의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김평해

(강서선거구 / 초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정철준

(서학선거구 / 초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윤춘화

(청산선거구 / 2선)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리광철

(서기선거구 / 2선)



김영재

(덕흥선거구 / 초선)

지역번호
039

1. 개요
2. 시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3.1. 구 강서군 지역
3.2. 구 증산군 지역
3.3. 구 함종도호부 지역
4. 출신 인물



1. 개요[편집]


평안남도 서쪽에 위치했던 강서군에서 유래한 행정구역. 남한에서도 같은 이름가진곳이 있다. 면적 736㎢로, 광복 당시 14개 면이었다. 북한 행정구역상 남포시에 속한다. 구청[2] 소재지는 강서면 덕흥리이다. 2010년 남포시로 편입되면서 평안남도가 관할하지 못하고 남포시가 관할하는 구역으로 조정되었다.


▲ 북한에서 관광지로 공개하는 강서약수 공장


2. 시설[편집]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강서군기.png

파일:강서군.jpg


3.1. 구 강서군 지역[편집]


  • 강서면(江西面)
    • 관할 리 : 덕흥(德興), 거장(巨庄), 광향(廣鄕), 삼묘(三墓), 암저(巖底), 염전(鹽田)[3], 정화(靜和), 학천(鶴泉), 현봉(賢鳳)
    • 읍소재지와 군청소재지는 덕흥리다. 삼묘리에 고구려시대의 벽화고분 3기(강서삼묘)가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읍의 진산인 무학산(舞鶴山, 346m)이 유명하다.

  • 동진면(東津面)
    • 관할 리 : 기양(岐陽), 고일(古逸), 다필(多必), 덕봉(德鳳), 석현(石峴), 신교(新橋), 심정(心貞), 어은(於隱), 용정(龍井), 청산(靑山), 추죽(推竹), 탄포(灘浦), 태성(台城), 학송(鶴松)
    • 면소재지인 "기양(岐陽)"이라고 부른다. 일제강점기 조선경금속주식회사가 위치해 금속공업이 발달해 있던 곳이다. 기양리를 중심으로 거의 도시화되었으며, 북한 행정구역상으로는 여기가 강서읍 소재지다. 면 서쪽에는 태성호(台城湖)[4] 저수지가 있다. 북한에서 (아마도) 유일한 골프장이 있다. 북한에서 선전하는 '청산리 방법'의 청산리가 이곳에 있다.

  • 보림면(普林面)
    • 관할 리 : 화학(和鶴), 간성(肝城), 관포(觀浦), 광포(廣浦), 남삼(南三), 대화(大和), 문천(聞天), 서학(棲鶴), 우산(羽山), 유현(柳峴), 학남(鶴南)
    • 간성리에는 고구려 벽화고분인 연화총(蓮華塚)이 있고, 서학리에 있는 서학산(棲鶴山, 272m)은 일명 구룡산이라고도 하며, 산세가 웅대하고 경관이 뛰어나 ‘강서 금강’이라고도 한다.

  • 성암면(城巖面)
    • 관할 리 : 남양(南陽), 금산(金山), 대안(大安), 대정(大井), 세죽(細竹), 영평(永平), 입송(立松), 주산(舟山), 죽마(竹馬), 차제(車堤)
    • 북한 행정구역상 대안군이 소재하고 있다. 대안군(대안구역)은 과거 대안시(大安市)로 승격된 적도 있다.

  • 수산면(水山面)
    • 관할 리 : 오이(烏耳), 가생(可生), 가현(可峴), 가흥(佳興), 고학(古鶴), 금천(金泉), 백운(白雲), 신정(新井), 쌍송(雙松), 어경(於京), 운남(雲南), 운북(雲北), 천도(千渡)
    • 명학제(鳴鶴堤)라는 저수지가 있다.

  • 잉차면(芿次面)
    • 관할 리 : 오(五), 삼(三), 이(二), 일(一), 조양(朝陽), 토산(兎山), 팔(八), 화석(花石)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 초리면(草里面)
    • 관할 리 : 강선(降仙), 남호(南湖), 보봉(寶鳳), 사(沙), 송호(松湖), 이로(伊老), 포(浦)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강서군에 편입됐다. 면소재지인 "강선(降仙)"으로 잘 알려진 곳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제강공업이 발달해 동진면과 함께 일찍이 도시화된 지역이다. 북한 행정구역상 천리마군이 소재하고 있다.


3.2. 구 증산군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편입된 구 증산군에 해당한다. 이외에도 같은날 신설된 평원군에 편입된 한천면도 구 증산군의 영역이었다.

  • 반석면(班石面)
    • 관할 리 : 상사(上四), 반삼(班三), 반오(班五), 반육(班六), 반이(班二), 반일(班一), 하사(下四)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성태면(星台面)
    • 관할 리 : 원당(元塘), 가장(可庄), 금송(金宋), 대마(大馬), 성사(星四), 성삼(星三), 성오(星五), 성육(星六), 성이(星二), 성일(星一), 성칠(星七), 연곡(硯谷), 태사(台四), 태일(台一)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 쌍룡면(雙龍面)
    • 관할 리 : 다족(多足), 기(基), 봉오(鳳梧), 산경(山慶), 신경(新慶), 운포(雲浦), 유명(柳明), 임성(林城), 창포(菖蒲)

  • 적송면(赤松面)
    • 관할 리 : 석삼(石三), 곡신(穀新), 삼부(三府), 석사(石四), 석오(石五), 석육(石六), 석이(石二), 석일(石一), 석칠(石七), 청령(淸嶺)
    • 원래 평양부였다가, 1906년 증산군에 편입됐다. 고구려 명장 을지문덕의 출생지다.

  • 증산면(甑山面)
    • 관할 리 : 취룡(聚龍), 가풍(歌豊), 광제(廣濟), 낙생(樂生), 두만(斗滿), 무본(務本), 미회(美會), 반룡(蟠龍), 부암(釜巖), 사과(四科), 승영(升楹), 영천(靈泉), 오화(五和), 오흥(吳興), 용덕(龍德), 이안(利安), 자봉(紫鳳), 저명(杵鳴), 정실(鼎實), 정양(正養), 화선(化善)
    • 북한 행정구역상 증산군 증산읍이 위치한다. 강서군에 병합된 구 증산군의 중심지였다.


3.3. 구 함종도호부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06년에 편입된 구 함종도호부에 해당한다.

  • 신정면(薪井面)
    • 관할 리 : 구련(龜蓮), 대흥(大興), 사(四), 삼(三), 신(新), 연하(烟霞), 이(二), 진사(進士), 탄현(炭峴), 하청(河淸), 화산(花山), 후현(後縣)
    • 1929년 풍정면(豊井面)과 신흥면(新興面, 발산리 제외)을 조합하여 신설하였다.

  • 함종면(咸從面)
    • 관할 리 : 함종(咸從), 계산(鷄山), 계양(桂陽), 고경(古京), 달상(達上), 미석(美石), 발산(鉢山), 범오(範五), 봉황(鳳凰), 석교(石橋), 송경(松坰), 안석(安石), 여오개(汝吾介), 일중(一中), 홍범(洪範)
    • 1929년 장안면(長安面)과 신흥면 발산리를 편입하였다. 어씨의 가장 대본인 함종 어씨의 본관인 함종이 바로 이 곳이다.


4. 출신 인물[편집]


  • 도산 안창호 - 초리면에서 출생
  • 고당 조만식 - 반석면 출신
  • 손정도 - 증산면 출신
  • 싸이[5]
  • 을지문덕 - 적송면 석다산 부근에서 출생했다고 한다.
  • 배상명
  • 백선엽
  • 노신영
  • 전철우
  • 하용조
  • 김성애
  • 최능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3:56:03에 나무위키 강서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08년[2] 참고로 인민위원회는 구청이 아니다. 북한/행정구역 문서 참조.[3] 위 지도에는 ‘감전리’로 되어 있다. ‘감’ 음의 한자 중 鹽(염)과 자형이 비슷한 監이 있으므로 둘 중 하나는 잘못일 것이다.[4] 일명 台星湖, 大成湖[5] 원적지(할아버지의 고향). 본인은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