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토급 잠수함

덤프버전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
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leveland_August_2015_36_%28USS_Cod%29.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SS_Silversides%3B0823601.jpg

1. 개요
2. 제원
3. 설계과정
3.1. 선체설계[1]
3.2. 추진체계
3.3. 전자장비 및 부수체계
3.4. 무장체계
4. 개량 및 개조
4.1. 코닝타워 개량
4.1.1. 별도 개조사항(세부 바리에이션)
4.2. 레이더 개량
4.3. 무장 개량/개조
4.3.1. 무장 배치구성
4.4. 외부선체 개량
4.5. 항법장비 추가
4.6. 잠망경의 개량
4.7. FM 소나
4.8. 디코이[2]
5. 문제점
7. 전후활동과 GUPPY 개량
8. 유명한 자매함
10. 기타
11. 평가
12. 등장매체
13. 외부 링크
14. 관련 문서
1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운영된 미 해군의 주력 수상함형(形) 재래식 잠수함. 가히 미 해군의 숨은 일꾼으로서 통상파괴전, 함대 요격, 초계, 정찰, 구조, 물자 지원, 특수전 등 다양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일본 해군이 패배하게 만드는 주역이자 미국을 지켜준 잠수함. 전간기 동안 각종 실패를 교훈삼아 새먼급 잠수함의 건조 이후부터 개념을 확실히 잡아 설계해내 성능, 신뢰성이 우수한 걸작 잠수함으로 손꼽히며 총 77척이라는 많은 수가 건조되어 실전배치, 활약을 했다.

함섬의 이름만 보고 일본 해군 잠수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3], Gato는 두툽상어과의 일종을 뜻하며 정확한 발음도 가토보다는 "개토"에 가깝다. 참고로 일본인의 성씨인 가토(加藤)는 'Katou'로 표기한다. 통용 표기법을 적용해 '카토'로 쓰는 경우도 많다. 대표적으로 카토 메구미 같은 경우.

소폭 개량형으로 발라오급 잠수함텐치급 잠수함이 있다.


2. 제원[편집]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315.jpg
가토급 잠수함 2번함, SS-213 그린링(Greenling)

Gato Class Diesel-Electric Submarine[4]
계승 함급
거급 잠수함
후계 함급
발라오급 잠수함
배수량
수상 1,526숏톤(1,549롱톤)[5]
수중 2,424숏톤(2,463롱톤)[6]
전장
95.00미터(311피트 8인치)~95.05미터(311피트 10인치)[7]
전폭
8.31미터(27피트 3인치)[8]
흘수
최대 5.2미터(19피트 3인치)[9]
추진체계
페어뱅크스-모르스 38D 8-1/8 or
제너럴 모터스 Model 16-248 V-16 or
후벤-오웬스-렌슬러 발전기 구동 디젤엔진 4기[10],
제너럴 일렉트릭 발전기 4기,
엑시드 UVA-47 126셀 납 축전지 2기[11],
엘리엇 컴퍼니-제너럴 일렉트릭-엘리스 챠머스
고속모터 2기, 저속모터 2기(수상 5,400마력, 수중 2,740마력)[12], 감속 기어, 2축 샤프트[13], 연료 97,140 US갤런
최대속도
수상 20.25노트 (38km/h)[14]
수중 9노트 (17km/h)[15]
항속거리
10노트 수상항해 기준 11,000노티컬마일(20,000km)[16]
작전기간
수상 75일
수중 2노트 잠항 기준 48시간[17]
시험잠항심도
91미터[18][19]
승조원
사관 6명
부사관 및 수병 54명[20][21]
무장
21인치(533mm) Mark 32 어뢰발사관 or Mark 39 어뢰발사관(전방 6문/후방 4문)
어뢰 24발
Mark.14 메탄올 증기추진식 어뢰, Mark.16 메탄올 증기추진식 어뢰, Mark.18 전기추진식 어뢰, Mark.23 메탄올 증기추진식 어뢰, Mark.27 음향유도어뢰, Mark.28 음향유도어뢰
기뢰 40발
Mark.10 계류기뢰, Mark.12 계류기뢰, Mark.17 자기감응기뢰, Mark.27 자항식 기뢰, Mark.48 침저기뢰
[22]
3인치 50구경장 Mark.17 덱건 1문
4인치 50구경장 Mark.9 덱건 1문
5인치 25구경장 Mark.17 덱건 1~2문
MK-51 2연장 5인치 로켓 발사기 1기, HVSR 5인치 로켓 100발[23]
단장 40mm 70구경장 보포스 단장 대공포 1~2문
단장/2연장 20mm FF 오리콘 기관포 1~2문
50구경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4정
30구경 M1917 혹은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2~6정
잠망경
91-KA-40T/1.414-HA 잠망경, 92KA40T/1.99 잠망경, 93KN36 ST 레이더 내장 잠망경
전자장비
레이더 - SJ 수상 수색레이더, SJ-1 수상 수색레이더, SD 대공경계 레이더, SD-1 대공경계 레이더, SV 대공수색 레이더, ST 잠망경 내장 거리측정 레이더
ESM - AN/APR-1, AN/SPA-1 역탐수신장비, APR-1 역탐안테나, APR-3 역탐안테나, DBU 역탐안테나
소나 - QB, QC/JK소나, JP 수중청음기, FM 기뢰탐지 소나
어뢰 사격통제체계 - Mark.3 TDC, TBT(Target Bearing Transmitter) 2기
무선통신장비 - AN/ARC-4, RAK-6, RBH-2, TBL-7
암호체계 - CSB-888/889 ECM(Electronic Cipher Machine) Mark II[24][25]
항법장비 - DAS-1, DAS-3 LORAN[26]
디코이 - NAC, NAC-1 디코이, NAD-3, NAD-6, NAD-10 자항식 디코이 총 76발[27]
총 생산량
77척
손실
20척
퇴역
57척
보존
6척
건조기간
1941년~1944년[28]
운용기간
1942년~1972년[29]
운용국가 및 해군
미합중국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
터키 해군
그리스 해군
브라질 해군
이탈리아 해군


3. 설계과정[편집]


가토급 잠수함을 포함한 함대형 잠수함(Fleet Submarine)의 설계를 얻어내기 위해서 전간기 동안 미 해군이 투자해 온 노력과 삽질은 그야말로 장대했다. 1차 세계대전 이후 미 해군에선 S급 잠수함을 운영하면서 이들 잠수함의 성능에 대해 매우 실망하고 있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10509.jpg
S급 잠수함 1번함 S-1(SS-105). 최대속도 시험항해 중이다.[30] - 1920년 4월 20일 매사추세츠 주 프로빈스타운 앞바다에서 촬영

S급 잠수함의 실패 이후 미국은 비교적 소형의 잠수함에 대한 건조기술이 부족함을 깨달았다. 이에 장거리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순양잠수함 계획을 짜게 되어 훨씬 크기를 키운 V보트 프로젝트를 실시했고 그에 따라 바라쿠다급 잠수함과, 아예 작정하고 크기를 확 키워보자는 생각에 1차대전기 U보트의 설계를 확장시켜 만든 아르고노트급 기뢰부설 잠수함과 나왈급 잠수함을 건조하기에 이르렀으나...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16317.jpg

바라쿠다급 잠수함 1번함 SS-163(취역 당시엔 V-1, SF-4로 불림) 바라쿠다(Barracuda).[31] - 1934년 7월경 알래스카에서 촬영

파일:external/navsource.org/0816720a.jpg

나왈급 잠수함 1번함 SS-167(취역 당시에는 V-5, SC-1으로 불림) 나왈(Narwhal).[32] - 1929년 12월 17일 포츠머스 해군기지에서 촬영

그나마 바라쿠다급의 경우 S급보다 개미 눈곱만큼이라도 낫다는 평은 들었으나 아르고노트급 기뢰부설 잠수함과 나왈급 잠수함은 취역 이후 안 좋은 쪽으로 미 해군 기록을 새로이 쓰고 있었고, S급과 이전 V보트들에게서 나왔던 각종 문제점들을 종합해 본 결과를 토대로 시험 목적의 잠수함들을 건조하게 된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17005.jpg
카샬롯급 잠수함 SS-170 카샬롯(Cachalot). 최후의 V보트 프로젝트 함종으로서 이전의 똥망작들에 대한 반성이 많이 반영되었고 설계상 이후 미 해군의 함대형 잠수함들의 아버지라 불려도 부족함은 없으나 시험함 성격상 및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산재해 본격적인 실전에서 활약을 기대하기는 힘들었다. - 1934년 7월 9일 포츠머스 해군 기지에서 촬영

시험 목적의 잠수함들인 카샬롯, 포퍼즈급 등을 건조하게 되면서 생기게 된 노하우는 새먼급에서 조금씩 그 결실을 맺기 시작했으며 이보다 모든 면에서 성능이 강화된 사르고급 잠수함, 탬버급 잠수함을 건조한 이후 미국 특유의 함대형 잠수함 선체 설계는 주욱 이어져 와 후계 함종인 탬버급 잠수함의 설계에 적극적으로 채용이 되었는데, 가토급 잠수함의 기본 설계는 이 탬버급 잠수함을 기반으로 한다. 정확히는 탬버급 잠수함의 3차 개량형에 속하는 잠수함이자 2차 개량형인 거(Gar)급 잠수함의 개량형으로서 계획되었다. 초기에는 가토급 1번함인 가토부터 6번함 가드피쉬까지 탬버급 잠수함과 동일 함종으로 구분하기도 했으나 이후 가토급이라는 독립적인 함종으로 분리되었다.

이 당시 미 해군에선 국제 정세의 분위기가 심상찮음을 느껴 해군 전력의 대규모 증강계획인 2대양 함대정비계획을 시작했다. 본디 65척의 건조가 결정되었으나 1941년 형식의 함선 2척이 추가 건조되었다. 이후 1942년도에도 4척이 추가 계획되었으며 가토급은 최종적으로 전부 1941년형, 1942년형 이외에도 전시 긴급 추가 예산이 집행되어 총 77척에 이르는 많은 양의 잠수함이 건조되었다.

가토급 잠수함의 건조를 담당한 주요 회사와 조선소는 코네티컷 주의 그로튼에 위치한 일렉트릭 보트(Electric Boat Shipbuilding Company, 현 제너럴 다이나믹스 일렉트릭 보트)사와 메인 주의 씨베이 섬에 위치한 포츠머스 해군 조선소(Portsmouth Navel Shipyard), 캘리포니아 주의 발레요에 위치한 메어아일랜드 해군 조선소(Mare Island Navel Shipyard) 및 위스콘신 주의 매니토웍에 위치한 매니토웍 조선소(Manitowoc Shipbuilding Company)이다.[33]


3.1. 선체설계[34][편집]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204.jpg

파일:external/www.maritime.org/fig1-11.jpg

가토급의 선체는 사르고급 잠수함의 기본 레이아웃을 바탕으로 하되 승계 함정인 탬버급 잠수함보다 선체 길이를 1.5m 잡아 늘여 선체가 소폭 커졌으며 기존 탬버급의 경우 기관실 1개소에 주기관 4기를 설치한 형태이나 기관실을 2개소로 분리하고 각 기관실 당 기관을 2기를 배치하며 전방/후방 기관실 사이에 벌크헤드를 더 추가해 전체적으로 탬버급보다 좀 더 수압을 잘 견딜 수 있게 되었다.

주 압력선체는 총 8개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전방 어뢰실, 장교 거주구/전방 배터리 구획, 전투정보실/무전실/주요 화기 탄약고/펌프실, 승무원 거주구/후방 배터리 구획, 전방/후방 엔진 구획, 모터실, 후방 어뢰실로 나뉜다. 독일의 U보트들과 비교해 평균적으로 2~3배에 달하는 배수량과 덩치는 승조원들의 거주성 향상과 장거리 항해능력 등을 동시에 추구하는 데 성공했으며 잠항심도는 14.3mm로 두께가 강화된 압력선체를 바탕으로 기존 탬버급의 시험잠항 심도인 75m에서 증대된 91m까지의 잠항을 보장하나 실전에서는 시험 최대잠항심도인 91m[35]를 넘은 152.4m까지 잠항을 한 기록이 남아있다.

전체적인 선체 설계는 미국 함대형 잠수함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복각식 설계가 기본 베이스에 내압선체 내부에 트림 탱크, 내압 위생 탱크 등의 탱크가 별도로 존재해 U보트나 영국 잠수함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부분복각식 선체 설계의 영향도 소폭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복각식 선체는 내압선체 외부에 모든 탱크들이 설치되어 있기에 가토급을 포함한 미국 함대형 잠수함들은 완전한 의미의 복각식 선체설계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가토급 잠수함은 외관상으로 볼때 내압선체가 외부로 노출되어있는 설계가 아니며 내압선체를 주 밸러스트 탱크들이 거의 완벽하게 감싸고 있는 형태를 지니면서 동시에 부분복각식 설계를 소폭 적용해 내압식 탱크를 보유하여 잠수함의 전체적인 크기를 키우지 않고 탱크들의 여유공간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었다.

코닝타워 역시도 별개의 압력 선체로 구분되어 설계되어 있는데, 다른 잠수함과 달리 가토급을 포함한 미국 함대형 잠수함들은 별도의 코닝타워 압력선체를 설계에 적용해 코닝타워에 손상을 입어 침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설계를 꾀했으며 코닝타워 내에 거의 모든 전투체계를 우겨넣어 효율적인 전투를 가능하게 했으며 잠수함이 침몰할 시 이곳을 통해서 탈출을 가능하게 했다. 코닝 타워 내에는 레이더, 소나 콘솔, 공격/관측 잠망경, 타기, TDC, 플로터 등의 장비들이 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206.jpg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207.jpg

밸러스트 탱크의 경우 주 밸러스트 탱크 10개, 연료 밸러스트 탱크 6개소가 존재하며 선수 방향과 후미에 주 밸러스트 탱크 1기씩, 선체 양 측면에 8개의 주 밸러스트 탱크와 연료 밸러스트 탱크 6개가 배치되어 있다. 뱃머리에 부력 탱크, 2A-2B와 2C-2D 주 밸러스트 탱크 사이에 네거티브 밸러스트 탱크가 존재하며 선체 중앙부에 Safety Tank가 추가되었다. 연료탱크는 측면에 위치한 밸러스트 탱크보다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 연료 밸러스트 탱크를 이용한 함의 균형을 잡을수 있게 설계되었으며 네거티브 탱크는 해수를 충수시켜서 추가 중량을 확보하고 세이프티 탱크는 그냥 공기를 채운채로 내버려둬 양의 부력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밸러스트 탱크 용적
1번 메인 밸러스트 탱크
해수 49.17톤
2A, 2B, 2C, 2D번 메인 밸러스트 탱크
해수 129.03톤
6A, 6B, 6C, 6D번 메인 밸러스트 탱크
해수 141.60톤
7번 메인 밸러스트 탱크
해수 39.09톤
전방 트림 탱크
해수 24.31톤
1번 예비 밸러스트 탱크
해수 30.77톤
2번 예비 밸러스트 탱크
해수 30.77톤
후방 트림 탱크
해수 19.97톤
세이프티 탱크
해수 23.23톤
네거티브 탱크
해수 7.51톤
선수 부력 탱크
해수 31.69톤
3A, 3B 연료 밸러스트 탱크
디젤 19,196갤런
4A, 4B 연료 밸러스트 탱크
디젤 24,089갤런
5A, 5B 연료 밸러스트 탱크
디젤 19,458갤런

섬프, 혹은 섬프탱크는 윤활 시스템 순환을 마친 윤활유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섬프에 모인 윤활유는 다시 윤활시스템으로 들어가며 지속적인 순환 중 발생하는 증발이나 누유에 의한 부족분은 섬프의 유준계를 통해 체크한 후 보충하게 된다.

주 엔진 섬프 탱크 계통 용적
1번 주 엔진 섬프 탱크
382갤런
2번 주 엔진 섬프 탱크
382갤런
3번 주 엔진 섬프 탱크
382갤런
4번 주 엔진 섬프 탱크
382갤런
1번 감속 기어 섬프
165갤런
1번 감속 기어 섬프
165갤런

담수는 승조원들의 식수, 씻을 물 등을 제공하며 어뢰발사관에 충수와 어뢰 세척을 목적으로 한 담수를 담는 보상탱크가 따로 존재한다. 총 3곳이 존재하는데, 가토급은 전방 어뢰실에 2곳, 후방 어뢰실에 1곳이 존재한다. 일단 담수를 저장했다가 어뢰 발사 시 발사관 내에 충수를 실시하고 어뢰 발사 이후에는 어뢰발사관 내에 들어찬 해수를 보상탱크 내로 배수하고 이후 보상탱크를 완전히 비운 다음 다시 담수를 채우는 식으로 사용한다.

담수 탱크 계통 용적
1번 담수 탱크
980갤런
2번 담수 탱크
980갤런
3번 담수 탱크
973갤런
4번 담수 탱크
973갤런
비상용 담수 탱크
276갤런
1번 전방 어뢰 보상 탱크
138갤런
2번 전방 어뢰 보상 탱크
138갤런(양측 총합 276갤런)
전정실 담수 탱크
18갤런
모터실 담수 탱크
8갤런
후방 어뢰 보상 탱크
180갤런

배터리 증류수 탱크 역시 따로 존재하는데, 이론상으로는 본래 절대 증발을 하지 않지만 현실은 지속적으로 증발하기 때문에 이 배터리 증류수 탱크 역시 존재한다. 총 용적은 1,208갤런.

배터리 증류수 탱크 용적
1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2갤런
2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2갤런
3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43갤런
4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7갤런
5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2갤런
6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2갤런
7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57갤런
8번 배터리 증류수 탱크
143갤런

내압 위생 탱크는 오물 탱크다. 즉 똥통. 물론 내압식의 설계이기에 가토급 잠수함은 잠수시에도 승조원이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실 배관을 잠그고 압축공기를 불어넣어주면 그대로 오물이 선체 외부로 배출된다.[36]

내압 위생 탱크 용적
1번 내압 위생 탱크
1.66톤 혹은 434갤런
2번 내압 위생 탱크
2.57톤 혹은 673갤런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208.jpg
또한 수집 탱크는 복수기에서 증발했던 물이 모이는 역할을 하며 팽창탱크는 보일러나 냉각수에서 온도가 올라 끓어오르게 되기에 버퍼 역할을 한다. 청정 연료유 탱크는 해수와 접촉하지 않는 연료유를 저장하는 탱크로 생각하면 편하다. 물론 나중가면 연료 및 무장 소모 등으로 중량보상을 위해 해수를 채우게 되기에 큰 의미는 없다. 또한 연료탱크 용적이 기존 탬버급의 93,993갤런에서 97,140갤런으로 확장되어 최장 75일간 10노트의 속력으로 2만 km를 항해하며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1번 연료탱크
11,401갤런
2번 연료탱크
13,122갤런
6번 연료탱크
15,201갤런
7번 연료탱크
10,054갤런
수집 탱크
2,993갤런
담수 팽창 탱크
2,993갤런
1번 청정 연료유 탱크
611갤런
2번 청정 연료유 탱크
618갤런
1번 윤활유 탱크
1,475갤런
2번 윤활유 탱크
924갤런
3번 윤활유 탱크
1,073갤런
예비 윤활유 탱크
1,201갤런

잠수 완료시간은 확장된 선체를 이용해 밸러스트 탱크의 확장 및 개량및 기관, 어뢰 등의 중량물 배치를 하여 매우 안정된 잠항능력을 바탕으로 유압 구동으로 조작되는 잠항타를 채용하고 혹독한 승무원 훈련을 통해 부상 상태에서 완전 잠항하는데에 최단시간 30~35초를 기록하였으며 부상 상태에서 잠망경 심도까지 잠수하는데에 약 45~50초가 소요되어 2천 4백톤급의 배수량을 가진 잠수함 치고는 상당히 빠른 잠수 완료시간을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 기록들은 어디까지나 승무원의 훈련 강화와 각종 꼼수[37]들을 통해 시간을 줄여 그 덩치급에서 빨랐단 소리였지 압도적으로 빠른 수준은 아니었고 U보트의 잠항속도와 비교했을때 상당히 느린 편이고, 평균적으로는 완전히 물 속으로 사라지기까지 55초에서 65초정도의 잠수완료시간을 가졌다.

가토급 잠수함의 꽤 괜찮은 잠수완료시간의 비결로는 성능 좋은 밸러스트 탱크와 효율적인 배치, 중량물 분배의 영향도 있으나 자유충수구역 배수구를 덩치에 비해 훤히 뚫어놓은 것도 한 몫 한다. 당시 대부분의 잠수함들이 자유충수구역 배수구를 하나하나 뚫어놓았던 데에 비해 가토급은 선수부에만 단일 배수구로 뚫어놓았고 주요 배수구는 일직선으로 훤히 뚫어버리는 꼼수를 부려놨는데, 이는 밸러스트 탱크에 빠른 시간내에 충수가 가능하게 해주며 여분의 공기가 빠르게 빠져나갈수 있게 도움을 주어 빠른 잠수가 가능케 했다. 이렇게 일직선으로 뚫어버린 충수구의 설계는 이후의 잠수함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런 배수구의 설계는 가토급이 최초로 도입한 것은 절대 아니고, 이미 예전부터 일본이나 영국 등에서도 도입을 했던 것들이라 당시 기준으로도 크게 새로울 것은 없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224.jpg

방향타 역시 유압 구동식을 사용해 선회능력이 매우 양호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좌/우로 최대 38도까지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전방의 잠타는 유압으로 폴딩이 가능해 전개 및 수납이 가능했다. 이유는 입/출항 및 잠수함 모함 옆에 계류하기 위해서였는데, 입/출항시 홋줄작업 도중 전방 잠타가 전개된 상태에서 부두시설이나 다른 선박들과 충돌할 경우 파손되는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38]

잠수함이 침몰할 시 승무원들이 비상탈출을 하기 위한 고려도 되었는데, 전방/후방 출입해치 근처에 구조 부이가 1개씩 총 2개가 설치되었고 잠수함이 손상을 입고 침몰하기 시작하면 이 부이가 풀리면서 물 위로 떠오르며, 동시에 승조원들이 해치를 열고 탈출하면 구조부이와 잠수함을 연결하고 있는 부이 와이어를 잡고 물 위로 올라올 수 있도록 배려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3102.jpg
가토급 잠수함 20번함 SS-231 해덕(Haddock)의 Mod.1형 코닝타워. 이 형태가 기본적인 형태가 된다. 미 해군에서는 이 코닝타워를 시가(담배)형 코닝타워라고 칭했고 파도막이(페어워터)를 설치하고 함교에 타기를 비롯한 조타 설비들을 설치해 조타수가 직접 밖을 보면서 조타를 하는 겸 파도를 막아줄수 있게 했으며 잠항시 수중저항을 줄여 좀더 좋은 수중기동성을 기대할수 있게 설계했으나 상당히 거대하고 견시에 불편한 감이 있었던데다 차후 설명하게 될 문제들로 인해 개량을 거쳐 조타 설비와 페어워터를 철거하고 요철형 코닝타워로 교체하게 된다.

함교의 기본적 형태는 V-보트에서부터 이어져 오는 시가형 코닝타워가 채택되었다. 이 시가형 코닝타워는 수중저항을 극도로 줄여 수중에서 기동성을 노리기 위한 다소 진보된 개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크고 불편한데다 잠수완료시간이 늦어지는 원인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지나치게 시대를 뛰어넘은 설계다라는 평을 받아 이후 개수를 받게 된다.


3.2. 추진체계[편집]


파일:external/archive.hnsa.org/fig1-09.jpg
파일:external/archive.hnsa.org/fig1-11.jpg

(상)제너럴 모터스 16-278A V-16 디젤엔진,(하)페어뱅크스-모르스 38D 8-1/8 디젤엔진. 양 엔진 모두 호평을 받아 2차대전기부터 50년대 후반까지 미국 잠수함들의 엔진으로서 채용되었다.

디젤엔진은 제너럴 모터스 사의 16-278 V-16 엔진 혹은 페어뱅크스-모르스 사의 38D 8-1/8 10실린더 2행정 대향 피스톤 엔진을 채택했다.

16-278A V-16 디젤엔진
엔진 회전수
750 rpm
실린더 배열
V형
실린더 개수
16개
보어사이트 및 행정
8 3/4 X 10 1/2
시동
압축공기
페어뱅크스-모르스 38D 8-1/8 디젤엔진
엔진 회전수
720rpm
실린더 배열
V형
실린더 개수
10개
보어사이트 및 행정
8 1⁄8 X 10 1/2
시동
압축공기

이 디젤엔진들은 컴팩트하게 정리되어 정비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설계를 적용해 정비하기 편했고 엔진 자체의 신뢰성도 매우 높았다. 또 다른 특징은 디젤엔진이 발전용으로만 이용되는 전기추진이라는 점이었다.

동시기 대부분의 잠수함이 디젤-전기 복합추진, 즉 수상에서는 디젤엔진으로 스크류를 돌리지만 수중에서는 전기 모터로 스크류를 돌리는 방식인 반면 가토급의 경우 스크류는 전기 모터로만 돌리고 수상 항해시 고속 모터 4기로 항해하고 잠수시에는 저속 모터 2기로 전환하며 디젤 엔진은 순전히 발전기를 돌려 배터리를 충전하는 역할만 했다.

이 추진방식은 오로지 전기 모터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출력이 약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으나 최대 수상 항해속도 20.25노트, 수중 항해속도 9노트를 발휘해 큰 문제는 없었다. 사실 두가지 추진체계를 이용하느라 기어박스 등의 추진체계가 복잡해져 실질적인 용적이 커질 필요도 없고 관리나 정비도 편리해지는데다 동시에 소음도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태평양 전쟁 초창기, 이 두 종류 엔진의 생산 물량이 부족해 일부 함정들은 구식의 후벤-오웬스-웬슬러 사의 디젤엔진을 장착하기도 했다. 이 엔진은 본디 독일 MAN 사의 기술지원을 받아 만든 엔진이나 이미 태평양 전쟁 기준으로 구식화된 엔진이었고 출력이 낮으며 정비하기 까다로웠던데다 진동과 소음이 심해 악평을 얻었다. H.O.R제 엔진을 장착한 가토급들은 이후 오버홀을 거치며 신형 엔진으로 교체된다.

배터리는 사르고급 잠수함부터 사용해오던 126셀의 UVA-47 납 배터리를 사용하여 수중에서 2노트로 잠항할 시 48시간을 잠수할 수 있었다. UVA-47 배터리는 일명 사르고 배터리라 불리면서 도입 이후 미 해군에서 기존의 ULS-37, UHS-39B 배터리보다 내구력, 신뢰성 등에서 많은 개선이 있었기에 호평을 받았고 1950년대까지 미 해군 디젤 잠수함의 배터리로 사용되었다.


3.3. 전자장비 및 부수체계[편집]


파일:external/maritime.org/fig28a.jpg
가토급 잠수함에 설치된 JK, QC, QB 소나 조작 패널. 총 5개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장비의 수준 역시 높았는데, 선체 하부에 QB, QC/JK 소나를 설치하고 전방 갑판 위에 JP 수중청음기를 장착했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7606.jpg

전방 어뢰실. 함미 방향으로 바라본 사진이다. 방수문 양 옆에 세워진 실린더는 QB, QC/JK 소나 실린더인데, 이들 소나는 유압 구동으로 해저에 침저하는 등의 상황일 때 수납을 시킬 수 있도록 설계해 의도치 않은 소나의 파손과 무력화를 방지할수 있게하게 설계되었으며 수납 콘솔은 전방 어뢰실에 위치해 있었다.

QB, QC/JK소나 콘솔은 앞서 설명했듯 코닝타워에 설치되어 있으며 음탐을 담당하는 승조원이 2인 1조로 운영했다. JP 수중청음기 콘솔은 전방 어뢰실에 배치되어 있었다. JK소나와 QC소나는 서로 통합되어있는데, JK소나는 액티브 모드와 패시브 모드를 사용할 수 있었고 QC소나는 액티브 핑을 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공격 시 QB소나는 표적을 추적하고 JP 수중청음기는 표적 이외의 적함을 탐지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DCfullview.jpg
Mark.3 어뢰 사격통제 기계식 컴퓨터(TDC). 레이더나 잠망경, 소나 등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기입하면 자동으로 사격제원(어뢰의 선회 각도와 선회 시기)을 계산해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승무원들은 어뢰에 사격제원을 입력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어뢰 사격 통제컴퓨터인 TDC(Torpedo Data Computer)를 설치하여 소나와 레이더, 공격 잠망경과 연동되어 있었으며 이들에게서 제공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사격까지의 걸리는 시간의 단축과 명중률 상승을 동시에 성공시켰다. 아직 무유도 어뢰밖에 쓸 수 없었던 시대에는 적의 예상 경로를 향해 함체를 돌려야 해서 반응 속도가 느릴 수 밖에 없었는데, 전간기 중의 기술 발전으로 TDC의 사격제원을 입력받은 어뢰는 직선 경로에서 벗어나 휘어지면서 어뢰를 유도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었기에 직접 함체를 돌려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이런 기술적인 발전은 가토급 잠수함의 반응 속도를 엄청나게 끌어올렸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4507.jpg
가토급 잠수함의 전투정보실. 사진의 좌측에 있는 것은 잠항타 조작 계통, 가운데의 탁자는 해도대 및 자이로 리피터(자이로식 나침반)이며 조타 설비 우측의 장비는 수심을 측정하기 위한 측심기이다. 잠항타 조작 계통 우측의 콘솔 박스는 크리스마스 트리[39]이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선체의 해치, 밸브등의 개방/폐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가토급 잠수함은 밸브, 해치 등의 시설물에 전기 계통 설비를 설치해 승조원들이 직접 개방/폐쇄여부를 보고할 필요 없이 녹등, 적등 등으로 개방/폐쇄여부를 전투정보실 내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40]

파일:external/pwencycl.kgbudge.com/SJ_surface_search_radar.jpg
SJ 수상 수색 레이더. 탐지거리는 22km에서 전함급의 함선, 12km에서 구축함급의 함정을 탐지해 낼수 있는 수준이었다.


또한 SJ 수상 수색레이더를 장착해 탐색 능력을 높였다. 거기에 조수장비를 설치해 조수능력이 강화되고 2개의 샤워실과 세탁기가 설치되거나 에어컨디셔너, 냉장고 등을 설치하는 등 거주성이 좋아졌다. 에어컨이 별거냐고 여길 수도 있다. 그러나 극히 더운 태평양 지역에서 작전할때는 매우 유용했는데, 태평양 해역에서는 잠항하면 잠수함의 실내온도는 40도가 넘게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 승무원들이 느끼는 피로감이 상당했고 함내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생기는 응결수 때문에 잠수함 내의 각종 전자장비와 설비들이 고장이 나거나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컸던 것. 이것을 어느 정도 억제함과 동시에 승무원에게 그나마 쾌적한 작전환경을 제공하여 얻어지는 작전의 효율성 상승효과는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이는 어느 정도 쓸만한 정도까지의 응결수 억제를 하는데에 그쳤었지, 실제로 승무원들에게 매우 쾌적한 수준까지의 함 내의 온도와 습도 조절을 해내거나 이산화탄소 등을 줄여주는 수준까진 해내지 못 했다. 하지만 없는 것 보단 나은데다가 동시기 일본 해군은 이 에어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냉각팬 소음 문제 등으로 제대로 작동시킬 수가 없어 문자 그대로 잠수함 내부가 찜통이 되곤 했다.

또한 에어컨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잠수함에서 공급받기 어려운 민물 이용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한다. 가토급에 설치된 샤워실과 세탁기에 필요한 물은 주로 응축수가 이용되었다. 이 덕분에 가토급의 거주성과 복지 수준은 전후 구 일본군 잠수함 승조원이나 독일군 U보트 승조원들이 가토급에 승선한 뒤 호텔이라고까지 표현할 정도로 양호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2517.jpg
가토급 잠수함 14번함 세로(Cero)의 20mm 기관포좌에서 음력전화기로 함내 통신중인 세로의 승조원.

가토급 잠수함을 포함한 미 해군 잠수함들은 헤드셋 형태의 음력전화기를 거의 전 구획에 설치하고 있었다. 기존의 함내방송/전성관을 통한 함내통신수단의 경우, 가까운 거리의 경우에는 큰 불편함은 없으나 거리가 멀어질 경우 그만큼 소리도 잘 안들리고 승조원들도 큰소리로 외쳐야 하거나 아예 전령수를 보내서 보고를 하는 등 신속하고 정확한 보고 및 전파가 힘들다고 판단해 아예 잠수함 내의 모든 구획에 음력전화망 라인을 가설했다. 음력전화기는 잠수함이 완전히 동력을 잃고 정전이 일어나도 A사이즈 건전지를 이용하기에 라인만 살아있다면 사용 가능한데다 설령 끊긴다 하더라도 전기 직별 승조원들이 새로 가설할 수 있었으며 부가적으로 잠수함에서 발생하는 소음 자체를 많이 줄이기에 음탐을 맡는 승조원들은 소음 방해없이 좀 더 원할하게 소나를 다룰 수 있었다.[41]


3.4. 무장체계[편집]


주요 무장인 어뢰발사관은 탬버급과 같은 선수 6문, 선미 4문 총 10문을 장비했으며 어뢰탑재량 24발, 기뢰탑재량 40기로 탬버급과 동일하며 사용 어뢰는 Mark.14 어뢰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Mark_14_torpedo_side_view_and_interior_mechanisms%2C_Torpedoes_Mark_14_and_23_Types%2C_OP_635%2C_March_24_1945.jpg
Mark.14 어뢰. 태평양 전쟁 초중반에 미국 잠수함 함대의 골칫거리이었다. [42]

파일:external/www.queenfish.org/3inch50.jpg
가토급 잠수함 25번함 SS-236 실버사이즈(Silversides)의 3인치 50구경장 Mark.17 덱건. 일본 해군의 피켓 보트를 향해 사격 중인 장면이다. 이 덱건은 기존 수상함에 장착되던 Mark.10 함포의 잠수함용으로 개량된 물건이나 매우 약한 화력 때문에 승조원들에게 악평을 얻었다. - 1942년 10월 14일 촬영

덱건은 기본 사양으로 3인치 50구경장 Mark.17 덱건을 채택하였다. 이 덱건은 전체 무게 4.2톤, 360도 전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양용포를 기반으로 만들었기에 부앙각은 최저 -15도, 최대 85도이다. 강선은 26조 우선에 분당 발사속도 최대 15~20발을 기록했으며 5.9kg의 철갑탄, 고폭탄, 대공포탄, 조명탄을 초속 823m의 속력으로 고각 2.0도 기준 2,740m, 4.3도 기준 4,150m, 43도 기준 13,350m 까지 쏴 날릴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수중저항 감소를 위하여 코닝타워 후방에 설치되었으며 포탄은 무전실 아랫층의 탄약고에서 보관하는데, 갑판으로 포탄을 올려주는 탄약 이송 스커틀(이송관)이 설치되어 일일이 포탄을 직접 갑판까지 도수운반해서 장전할 필요 없이 그대로 스커틀을 통해 밀어내 올라온 포탄을 꺼내 사격할 수 있게 배려되었다. 탄약 이송 스커틀의 위치는 승조원 식당구획의 천장에 위치해있다. 스커틀은 해당 잠수함이 장착한 덱건의 포탄 구경에 따라 3인치, 4인치, 5인치 모델로 구분되어 잠수함에 설치된다.

또한 근접해오는 소형 선박이나 항공기에 대한 대응을 위해 기본으로 50구경의 M2 중기관총 2정과 30구경장 M1917 기관총이나 M1919 기관총이 2정 설치되었다.

가토급의 무장능력은 동시기 일본의 이호급 잠수함들이나 독일의 U보트와는 비교를 거부하는 중무장으로서 이러고도 여유가 남아서 차후에 추가무장을 장착하고 돌아다녔다.


4. 개량 및 개조[편집]


파일:external/4.bp.blogspot.com/Sailors+Work+on+a+Submarine.jpg

미 해군은 가토급 잠수함을 건조할 시 추가 무장을 장착하거나 건조 중 자체적인 개량을 하지 않도록 규정했는데 추가 개량등으로 인해서 잠수함의 인도 및 실전배치일이 지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 그러나 일선의 경험 및 건의에 따라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장비나 시설물들은 과감하게 철거를 하거나 오히려 추가 무장을 장착하는 등의 개량이 상당히 많이 실시되었다.


4.1. 코닝타워 개량[편집]


코닝타워의 경우 디자인의 대대적인 수정이 이루어졌고 조선소들및 년도에 따라 디자인의 차이가 있는데, Mod. 2A부터 Mod.3A, Mod.4A마다 디자인들이 각기 다 다르고, 각 함마다 승조원들의 요구사항이 전부 다 다르기 때문에 세부적인 형상까지 놓고 보면 통일성 자체가 존재하질 않았다. 덱건이나 대공포, 기관포 등의 주요 탄환을 바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코닝타워의 전-후방에는 준비탄 적재함[43]이 설치되어 있으며 나머지 포탄 및 소화기들은 무전실 바로 아랫층의 탄약고에서 보관하는데, M2 중기관총이나 M1917, M1919같은 거치식 기관총의 경우 급히 꺼내쓰기 위해서 코닝타워 내의 전투실에 따로 비치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703.jpg

가토급 6번함 SS-217 가드피쉬(Guardfish). Mod.1A형 코닝타워가 적용된 최초의 가토급 잠수함으로서 전체적 실루엣은 기존 Mod.1형 코닝타워(시가형 코닝타워)와 유사하지만 전방 항해함교의 길이가 단축된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코닝타워는 자유충수 시간이 너무 늦고 쓸데없는 공간만 늘린다는 건의가 반영된 결과물.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3804.jpg

가토급 27번함 SS-238 와후(Wahoo)의 Mod.2 버전 코닝타워. 일종의 과도기형으로서 메어아일랜드에서 주로 설계되었으며 후부가 뾰족하게 각이 진 형태와 페이웨어 및 함교 조타설비는 그대로 유지하나 함교 후부의 높이를 낮춘 뒤 기관총좌를 신설한 것이 특징. 1942년기부터 1943년기까지 꽤 많은 미국 잠수함들이 이 함교의 형태를 지녔는데, 4개의 조선소들 중 태평양에서 가장 가깝다는 위치 덕분에 메어아일랜드 조선소에서 오버홀 공사를 많이 받았기 때문이며 3개의 디자인 중 수중저항이 가장 덜했기 때문이다. 이 형식은 1942년 5월경부터 설계가 되었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6616.jpg

가토급 55번함 SS-266 포기(Pogy). Mod.2A형 코닝타워가 적용된 모습이다. 차이점은 기존의 일체형 잠망경 마스트가 신형의 사다리형 마스트로 교체된 것이 차이점. 정확히는 기존의 수중저항 감소 목적을 위한 잠망경 마스트의 커버를 제거한 것이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5708.jpg

가토급 46번함 SS-257 하더(Harder)의 Mod.3 코닝타워. 1943년 중반부터 도입된 신형 코닝타워로서 조타설비 및 대형 페어워터가 완벽하게 삭제되고 페어워터가 전면적으로 축소화되었으며 전방 기관총좌가 신설된것이 특징이다. 이 코닝타워는 기존의 Mod1, Mod.2 계열 코닝타워에 비해 상당한 호평을 받았고 잠수함의 수상전투 시 화력이 강화되었으며 자유충수시의 시간 역시도 대폭 단축되어 잠수완료시간의 개선에도 도움을 주었으나 반대급부로 수중저항을 늘려버렸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5408.jpg

가토급 43번함 SS-254 거나드(Gurnard)의 Mod.3A형 코닝타워. 잠망경 마스트와 함교 후방에 SD/SV레이더 마스트가 따로 설치된 것이 주요 개량점. 해당 함은 신형의 SV 대공레이더를 장착하고 있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3302.jpg

가토급 22번함 SS-233 헤링(Herring)의 Mod.3 롱 브릿지형 코닝타워. 기존의 Mod.3형에 비해 견시대와 페어워터의 길이가 길어진 것이 특징. 약 5척의 가토급이 이 롱 브릿지형 코닝타워를 채택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5004.jpg

가토급 39번함 SS-250 플라이어(Flier)의 Mod.4형 코닝타워. 기존 Mod.3형 코닝타워의 항해함교 높이가 높고 여전히 코닝타워 구조물의 크기가 크다는 건의를 받아들여 상부 견시대를 지지하는 3개의 I-빔을 노출시키고 항해함교의 높이를 포좌의 높이와 동일하게 맞춰 적용했다. 이로 인해 잠수완료시간이 한층 더 개선되었으나 견시대의 I-빔의 노출로 인해 수중저항이 훨씬 증가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4710.jpg

가토급 36번함 SS-247 데이스(Dace)의 Mod.4A형 코닝타워. Mod.3A형 코닝타워의 개량점과 동일하게 기존 잠망경 마스트 후방에 SD/SV레이더 마스트를 새로 만들었다.

코닝타워의 세부 구조도 전훈에 의해 지속해서 개량이 되었다. 이때도 잠망경 지지대나 견시대의 디자인, 예비탄 적재함 갯수와 위치, 레이더 역탐 안테나, 점프 케이블 마스트 등 승조원들의 요구에 따라 각자 다 다르다. 이런 일련의 개량으로 코닝타워의 충수 시간을 단축해내어 잠수완료시간 감소를 달성했으며 추가 무장이 장착 가능해져 수상전투시의 화력이 매우 강화되었다.


4.1.1. 별도 개조사항(세부 바리에이션)[편집]




4.2. 레이더 개량[편집]


전쟁 중에 레이더 역시 개수를 받아 잠수함 전용의 신형 SD 대공 경고 레이더가 추가 탑재되었고, 잠망경처럼 물 밖으로 레이더만 내놓고 경계임무를 하거나 적을 찾아낼 수 있도록 했다. 레이더의 위치도 수시로 바뀌었는데, 잠망경 마스트 뒤에 따로 레이더 마스트를 설치해 여기에 SD레이더를 붙여놓는 경우도 있었고 1945년기에 신형 SV 대공 수색 레이더를 장착하기도 했다.

파일:external/pwencycl.kgbudge.com/SD_air_warning_radar.jpg
가토급 잠수함에 설치된 SD 대공경계 레이더와 SJ 수상 수색 레이더. SD 레이더는 최대 37km에서 폭격기나 대잠초계기 수준의 반사값을 가진 물체를 탐지해 내 적 항공기에 대한 조기 탐지 및 경고를 할 수 있었다. 콘솔 모니터는 A디스플레이를 사용.

파일:external/pwencycl.kgbudge.com/SV_air_search_radar.jpg
후방 레이더 마스트에 설치된 SV 대공 수색 레이더(동그라미 안). 이 레이더는 최대 12km, 고도 9100m에서 비행중인 폭격기를 탐지 가능하며 19km, 고도 3000m에서 적 전투기를 탐지, 20km에서 전함급의 수상함, 12km 이내에서 부상 중인 적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었다.


4.3. 무장 개량/개조[편집]


덱건은 취역 초엔 탬버급이나 그 이전 함급과 마찬가지로 3인치 50 구경장 덱건을 장비하고 취역했으나 이 덱건은 눈물 나는 화력과 성능 때문에 콩알탄 혹은 장난감 대포 같은 비하적인 별명이 붙었고 결국 구식 S급 잠수함 등에 탑재되어있던 4인치 덱건으로 교체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2510.jpg
가토급 잠수함 12번함 SS-225 세로(Cero)의 4인치 50구경장 Mark.9 덱건. 무게 2,470kg, 강선 25조 우선, 고각은 -15~25도이며 14.97kg의 철갑탄, 고폭탄을 초속 884m의 속력으로 고각 0.3도 기준 910m, 0.7도 기준 1,830m, 1.3도 기준 2,740m, 1.8도 3,660m, 20도 기준 14,560m까지 사격이 가능했다. 최대 사격속도는 분당 8~9발.

그러나 이 4인치 덱건도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책으로 장착한 것 뿐이었고 비좁은 잠수함의 갑판 위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기 짝이 없었으며 상당한 구식이었으므로 차후 훨씬 개량되고 조작이 편해진 5인치 25구경장 덱건으로 교체된다. 평균적으로는 1문 장착이 기본이나 함장 이하 승조원들의 전훈 및 취향에 따라 2문까지 탑재하는 경우도 왕왕 있었다.

파일:external/www.bergall.org/5-25.jpg
파일:external/www.queenfish.org/bowfin5inch-25cal.jpg

5인치 25구경장 Mark.40 덱건. 대공포를 기반으로 한 설계를 바탕으로 잠수함의 갑판에서 사용하기 편리해진 것이 특징. 총 무게 1,937kg, 강선 25조 우선, 고각은 최소 0~40도이며 24.43kg의 고폭탄을 포구초속 657m/s로 고각 40도 기준 12,980m까지 쏴 날릴수 있었다. 최대 발사속도는 분당 15~20발.[44]

물론 덱건의 설치 위치도 제각각이었다. 본래 설치 위치인 함교 후방에 설치한 경우도 있지만 적을 추격하기 위해서 덱건을 함교 바로 앞에 설치하여 신속하게 포격을 하기 위한 배려를 하기도 했으며 전쟁 기간 중 적 항공기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40밀리 보포스포를 장착하기 시작했다. 나중에는 5인치 덱건 2문과 40밀리 보포스포를 앞뒤로 장착해버려 사실상 일본군의 해방함(호위함)과도 맞짱 떠볼법한 무장을 하기도 했으며 심지어 전쟁 말기에는 5인치 로켓탄을 단 잠수함도 등장했다. 하지만 이런 개량들은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군 수상함 및 수송선단 전력이 씨가 말라버려 많이 쓰이지 못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5620.jpg
5인치 25구경장 Mark.17 덱건을 앞뒤로 장착한 가토급 잠수함 45번함 SS-256 헤이크(Hake) - 1945년 5월 29일 메어아일랜드 해군기지에서 촬영

기관총도 애초엔 12.7밀리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및 7.62밀리 M1917 혹은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탑재했는데 이것도 점차 스위스 엘리콘사의 FF 20밀리 기관포로 교체되었다. 하지만 이것도 섭섭했던지 추가 기관총을 탑재하는 사례도 많았다. 특히나 기관총은 딱히 정해진 장착수량이 없고 규정이 느슨해서 장착 수량이 함장 취향에 따라 제멋대로인 경우가 많았고 심할경우 빨리 꺼내서 거치하기 위해 코닝타워나 해치 주위에 시건장치를 따로 만들어놓고 필요할 때 꺼내쓰기도 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5212.jpg
가토급 잠수함 41번함 SS-252 가빌란(Gabilan)의 갑판에 임의로 설치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과 거치대. 일본 목재 범선을 향해 사격 중인 장면이다. - 촬영일자 미상

위의 사례들처럼 일부 무장들이 개량된 가토급들은 잠수포함 등의 별명이 붙는 경우도 허다했고 웬만한 일본 해군 수상함보다 더 좋은 대공능력을 자랑하기도 했다.


4.3.1. 무장 배치구성[편집]




4.4. 외부선체 개량[편집]


또항 잠수완료시간 개선을 위해 외부선체의 자유충수구역 배수구를 추가로 더 뚫는 개량도 실시되었는데, 흘수선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형태의 배수구는 해군 조선소, 함의 측면 벌지를 따라 곡선으로 뚫려있는 배수구는 일렉트릭 보트에서 개조된 형식이다. 배수구 외에도 기존 밸러스트 탱크 밸브 역시 개량되어 충수시간이 단축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잠수완료시간 55초에서 최단 30초까지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45]


4.5. 항법장비 추가[편집]




4.6. 잠망경의 개량[편집]




4.7. FM 소나[편집]




4.8. 디코이[46][편집]


1942년경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병기 연구소에서 대잠훈련 목적의 음향발생장비를 연구하던 도중 용도가 변경되어 미해군 잠수함의 적 음탐 회피 및 소나 교란용 디코이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1943년경 2차대전 미국 잠수함 최초의 디코이인 NAC 디코이가 개발되어 구식 S급 잠수함을 통해 운영평가가 이루어져 1944년 초에 실전배치되었다.

NAC 디코이는 3인치 구경의 디코이로서 기포와 소음을 발생시켜 음탐을 방해하며 근 30분간 작동했으며 특히 수심이 낮은 해역에서 적 음탐 교란에 효과를 보였고 주로 후방 어뢰실에 있는 공압식의 3인치 신호탄 캐니스터를 이용해 발사하며 내부장전이 가능하고 수심 120m에서도 원할하게 작동해 주었다. 1944년 6월부터 4천여기가 넘는 NAC 디코이가 생산되어 가토급을 포함한 미국 잠수함에 탑재되었다.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지속시간이 길지 않으며 자력 항주가 되지 않아서 능동소나에는 비교적 무력한 편이었기에 개량형으로 NAD-3 디코이가 개발되었다.

NAD-3 디코이는 3인치 구경의 디코이로서 기능은 NAC와 유사하나 약 3노트의 속력으로 근 35분간 자력 항주를 실시한다. 1944년 10월부터 미 해군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전쟁 말까지 미국 잠수함들의 디코이로 활용되었다.

지속적인 개량으로 구경대가 6인치로 증가한 NAD-6 디코이가 1945년 초에 배치되었고 1945년 5월경에 10인치 구경으로 증가한 NAD-10 디코이가 배치되었으며 1944년 10월에 개발완료된 NAE 디코이는 노이즈메이커로서 큰 소음과 기포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고주파의 소나 핑을 송신해 일시적인 소나의 무력화를 꾀했다.

이들은 구경이 커진 만큼 기존의 3인치 캐니스터로 사출은 불가능했으며 신형 캐니스터 개발이 돌연 취소되어 주로 후방 어뢰발사관에 장전해 사출하는 식으로 운영되었다.

이 2기 모두 NAD-3 디코이보다 항주기능이 상승했으며 NAD-10 디코이는 저속 3.75노트, 고속 7노트로 항주하며 저속모드시 1시간을 항주, 고속에서 1분간 항주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 신형 디코이는 어뢰발사관을 통해 사출하기 때문에 운영가능 심도가 잠망경 심도로 제한되었고 매우 늦게 등장해 일선에서 효과를 볼 일은 적었으며 초기형 디코이답게 청음기에 대한 교란효과는 있었으나 능동소나에 대한 교란효과는 극히 미미했고 실제 미해군에서 운영평가도 그리 좋지는 않았으나 열악한 일본 소나의 분해능 문제 덕분에 없는 것보다는 낫다는 평을 얻었다.

가토급 잠수함 기준으로 총 76발의 각종 디코이들이 탑재되었고 실전기록으로 유진 플럭키 소령이 지휘하는 가토급 잠수함 바브가 1945년 6월 29일 일본군 구축함의 추격을 회피하기 위해 NAC 디코이 5발을 사출해 공격을 회피한 기록이 남아있다.[47]


5. 문제점[편집]


여러모로 화려한 전적을 자랑하지만 거대한 덩치가 가진 한계도 명확했다.

망망대해 그 자체인 태평양에서 장기간 작전할 수 있는 잠수함을 만드려면 가뜩이나 덩치를 많이 키워야하는데, 가토급은 미국의 부족한 잠수함 소형화 능력을 극복하기 위해, 덩치를 더욱 불려서 부실 요소를 때운 만큼 덩치가 가져오는 문제점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었다.

특히 느린 잠수시간, 빈약한 선회력, 낮은 최대 안전 잠항 심도는 잠수함에게 있어 매우 치명적인 약점이다. 배수량이 크다는 것은 중성 부력 유지를 위해 큰 부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 잠수를 위해서는 그 늘어난 부력만큼 당연히 더 큰 벨러스트 탱크에 더 많은 해수를 충전해야한다. 벨러스트 탱크에 해수가 체워지는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잠수가 늦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문제였다. 덩치 크고 인원도 많이 들어가는 만큼, 잠수를 위해 준비해야하는 시간도 더 오래걸리게 된다.

가토급의 잠수 시간은 55초에서 65초이며, 잠망경 심도 잠수는 이보다도 오래걸리니 파멸적으로 느린 수준이었다. 독일이 7C의 괴랄한 항속거리로도 감당 못하는 초장거리 작전을 위해 건조, 비숙련 승조원이 운용해야했던 IX형과 X형이 잠수 시간이 45~60초 정도였고, 이 둘의 수상 배수량은 오히려 가토급 보다 200~300톤 가량 크다는 것을 따지면 가토급의 잠수 시간은 굉장히 느린 것이다.

그나마 최대한 설계를 개량한 상태에서, 숙련된 승조원들이 있는대로 무리해서 최대한 빨리 바다속으로 들이박아 나온 기록이 30~35초이고, 보통 숙련된 승조원을 데리고 잠항하는 기준 45초 가량이 소모되었다. 1000톤이 체 안되는 조막만한 배인건 감안해야 하지만, 7C형 유보트가 잠수 시간이 20~25초 정도에, 40초 정도면 50m 이하로 내려갈 수 있던 것에 비하면 훨씬 느린 것으로, 덩치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었다.

선회력은 잠수시 최고속력에서 반경 137m가량으로 덩치를 감안하면 꽤 빠른 편이긴 하나, 역시 둔했고 수치상으로는 좋아보여도 실제 승조원들은 "징그럽게 타력이 안 먹는다"며 깠다.

만약 상대가 일본 제국 해군 같은 덜떨어진 집단이 아니라 제대로 대잠 장비에 투자하는 나라였다면 정말 치명적일 수 밖에 없는 문제다. 그나마도 미 해군이 미드웨이 해전으로 재기에 성공했으니 다행이지, 진주만 공습으로 미 해군 수상 전력이 사실상 소멸한 상태에서 극복하지 못했다면 그 허약한 일제 해군의 대잠 능력도 감당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두번째로, 잠항심도가 굉장히 부족했다. 가토급의 최대 시험 안전 심도는 90m, 이론상 한계 심도는 135m이며, 실전을 바탕으로 추정할 수 있는 최대 안전 심도는 100m~120m 가량, 압궤 심도는 150m~180m 정도로 추정 가능한데, 1943년 10월 9일, 가토급 잠수함 57번함인 SS-268 퍼퍼(Puffer)가 마카사르 해협 1°-08'N 119°-31'E 해역에서 152.4m 까지 가라앉아 압궤 위기까지 갔다가 생환에 성공한 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1943년 9월 7일 첫 초계에 나선 퍼퍼는 10월 9일, 마카사르 에서 7,508톤급 급유함 쿠마가와 마루에 어뢰공격을 감행해 손상을 입히는데 성공하나 근처에 있던 치도리급 어뢰정에게 발각당해서 총 47발의 폭뢰공격을 받으며 잠수해서 피해다니게 된다.
이 폭뢰공격으로 퍼퍼는 공기 순환 벤트 가스켓이 박살나고, 전 구획에서 침수가 진행되면서 주요 출입 해치들과 코닝 타워 도어 등은 모조리 침수가 발생하고 허용 가능한 해수 유입량이 초과하자 부력을 잃으면서 조금씩 가라앉게 되고 퍼퍼는 가라앉지 않으려고 네거티브 세이프티 탱크, 예비 밸러스트 탱크, 트림 탱크에 압축공기를 불어넣고 잠항타를 이용해 선수를 12도 정도 들어올리면서 최대한 심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했으나 함은 계속 가라앉으면서 어느새 152.4m까지 내려간 뒤에 겨우겨우 멈추면서 심도 152.4m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문제가 생겼는데, 허용 이상의 수압이 가해지면서 침수가 심하게 진행됐고 수압 때문에 잠항타, 트림 펌프, 압축공기 뱅크 등이 유격이 줄어들면서 마찰로 심각한 소음을 일으켰고 잠타, 방향타, 프로펠러 구동축 등이 제대로 작동하질 않았으며 더군다나 엔진실 등의 선체 후방은 섭씨 48도까지 실내온도가 치솟아버렸다.[48]
퍼퍼는 공격을 겨우 피해서 잠수한지 38시간만에 다시 물 밖으로 부상할 수 있었고, 응급수리를 마친 후 초계임무를 종료하고 10월 24일, 호주의 프레멘틀 항으로 복귀하는 데에 성공하며 본의 아니게 가토급 잠수함의 최고 잠수심도 기록을 남겼다.[49]

최대 시험 안전 심도를 고작 90m로 잡은 것은, 더도덜도 아닌 군 요구사항인 90m 까지 선체에 아무 이상이 없는 것을 총족하는 것만 확인하고 넘겼기 때문으로, 이 이상 내려가볼 생각을 전혀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험 안전 심도가 갱신되는 일은 없었다.[50] 지금이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서 이론상 최대 심도를 알아볼 수 있고, 직접 사람이 가동시켜보지 않아도 어느정도는 가라앉혀 볼 수 있지만, 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얄짤 없이 인원 체워서 직접 잠수해 봐야 했기 때문에 시험 작업이 위험하기 그지 없었다. 더군다나 가토급을 설계하고 건조할 당시엔 미국에 대공황 여파가 다 가시지도 않았고, 당장 태평양에서 운용할 잠수함이 부족했기에 무리해서 시험하다 사고내면 감당할 수 없었다.

실전 기록상 가토급은 120m 정도면 충분히 안전히 잠수할 수 있고, 이는 7형 유보트의 초기 최대 시험 안전 심도인 150m에 비해 그리 작지는 않은 수준이다.

하지만 이를 또 다르게 생각하면, 군이 저렇게 보수적인 요구사항을 걸 만큼 잠항 심도 기대치가 낮았다는 의미도 된다. 잠수함이 작을 수록 압력을 버틸 수 있는 수준이 줄어드는데, 가토급 대비 배수량이 절반도 안 되는 7형 유보트의 최대 시험 안전 심도가 가토급의 추정 압궤 심도와 비슷할 만큼 가토급의 잠항 능력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물론, 7형 유보트로도 설계 개량을 통해 최대 시험 안전 잠항 심도 230m를 뽑아낸 독일의 유보트가 괴랄할 정도로 잠수 성능이 좋은 것이고, 다른 나라들의 잠수함들은 가토급과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았다. 일본 잠수함들의 잠항 심도는 말할 필요가 없고, 영국의 잠수함들의 시험 심도도 U급과 V급은 전부 90m 수준이었다.[51]

하지만 90이던 150던 폭뢰 맞고 용궁가기 딱 좋은 건 마찬가지다. 7형 유보트의 초기 최대 시험 안전 심도인 150m도 잠수함이 폭뢰에서 살아남기 위한 최소한의 심도 수준에 불과하다. 유보트의 실제 압궤 심도가 200미터 미만이란 것이 알려지고 난 후에는 아예 설계 개량을 통해 최대 시험 안점 심도를 230m까지 낮췄을 정도이며, 고작 250톤급인 23형 유보트도 최대 시험 안전 심도 180m을 기록했다.

90m라는 극히 낮은 기대치를 잡았던 미 해군도 가토급의 잠항 심도가 턱 없이 부족한 것은 잘 알고 있었으며, 가토급에서 압력선체 두께를 22mm로 강화시키고, HTS 강재를 도입한 발라오급 잠수함을 건조했다.발라오급의 최대 시험 잠항 심도는 120m, 최대 실전 잠항 심도 기록은 187m이며, 설계 추정 이론상 압궤심도는 270m로 독일 잠수함 못지 않은 수준으로 개선에 성공했다.

한편, 함교구조물도 문제가 있었는데, 아무리 빨리 잠항해도 큰 함교구조물 때문에 함저에 충돌해 손상을 입거나 부상한 상태에서도 함교에 집중 공격을 당할 수 있었다. 애당초 선체는 대부분이 물에 잠겨있기 때문에 명중탄을 내기가 어렵고, 상대적으로 명중탄을 내기 쉬운곳이 함교구조물이기에 실전에서도 가토급의 손상 기록을 보면, 꽤 많은 확률로 함교에 데미지를 입은 사례가 꽤 많았다.

그나마 가토급은 U보트랑은 달리 코닝타워 내의 전투실은 함체의 압력선체와는 별개의 압력선체로 구분되어 설계되어 있었기에 코닝 타워의 피격으로 침수가 진행되더라도 코닝 타워와 전정실 사이의 해치를 닫아 폐쇄하는 것만으로 침수를 억제할수는 있지만, 문제는 앞서 설명했듯이 당시 미국 잠수함들은 코닝타워 내에 전투체계가 대부분 집중되어 있었고 여기에 한방 제대로 맞으면 순식간에 전투력이 급감하고 지휘체계가 마비된다. 또한 후방에 공기순환 벤트 트렁크가 존재했기에 코닝타워가 피격당하면 이 벤트가 손상되어 기관, 배터리 충전 등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높았고 실제로도 이 벤트의 파손비율도 꽤 높았다. 물론 이런 설계는 다른 나라 잠수함들도 마찬가지인지라 문제라면 문제지만 수중저항 등의 문제 때문에 달리 방법도 없으니 가토급만의 문제는 아니다.

내압선체 내부로 들어간 구조를 가진 1번 밸러스트 탱크, 7번 밸러스트 탱크의 문제도 있었는데 평상시에는 큰 문제는 없으나 폭뢰에 의해 피해를 입고 손상을 입을 경우 함수/함미 어뢰발사관 바닥으로 응력이 순식간에 집중되어 엄청난 양의 침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전쟁 중 발견되었다. 이 문제는 가토급뿐만 아니라 가토급의 설계를 그대로 채용한 발라오급 잠수함 역시도 이 문제점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었다. 이 문제는 전쟁 중에는 가토/발라오급 둘 다 이렇다 할 개선은 되지 못했으며 밸러스트 탱크와 트림 탱크 위치가 새로 설계된 텐치급 잠수함에 가서야 해결되었다.

또한 가토급을 포함한 초창기 미해군 잠수함들의 시가형 코닝타워의 경우 타기를 포함한 각종 조타설비들, 즉 조타실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었다. 사실 초창기 가토급의 타기는 총 3곳인데, 바로 압력 선체 내의 전정실에 하나, 코닝타워 내에 한곳 더, 그리고 노천함교 한 곳의 다소 해괴해보이기까지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런 구조를 가진 이유는 수상함과 유사한 설계를 적용해 수상항해시에도 이를 적용해보겠다는 과도기적 목적이 강했기 때문이다.

거기에 페어워터와 현창(윈도우)의 설치목적은 함교에서 조타수가 직접 조타륜을 잡고 항해를 하는것과 동시에 견시수들이 파도에 젖지 말라고 설치한 일종의 배려였으나 이게 실전에서 방해가 됐다.[52]

아무리 파도로 인한 불편함 개선을 위해서라곤 하지만 파도가 치나 안치나 현창 자체가 작은 편이라 시야 자체가 좁은 것은 고사하고 페이웨어 시설물 크기 자체가 상당했기 때문에 견시수와 당직사관도 불편한데다, 이곳은 압력선체 내부가 아니라 바깥이고 잠수하면 물에 잠기기 때문에 에어컨이 없다. 이게 웬 대수냐 하겠지만, 실제로 전쟁 초기 미해군 함대형 잠수함에서 근무한 잠수함의 조타수들은 덥고 습하기 때문에 피로감이 누적되어서 여기에서 조타기를 잡는것을 정말 싫어했다. "차라리 아예 밖을 못본다 하더라도 음력전화기나 직접 음성으로 조타 지시 받으면서 코닝타워 내부나 주 압력선체의 전정실 내에서 에어컨 바람 쐬면서 조타기 잡는게 훨씬 낫지 여긴 진짜 짠내나고 덥다"는 것. 물론 이건 굳이 조타수 뿐만 아니라 견시수와 당직사관도 마찬가지.

무엇보다도 폭뢰공격을 받으면 현창은 모조리 깨져나가고 함교구조물에 손상을 입어 부상을 하고 해치를 열어보면 함교는 유리와 함교구조물 파편으로 아수라장이 되어 일선 승조원들의 불만을 샀다. 물론 함교의 조타 설비들이 박살이 나버리는 것은 덤.

결국 실전을 몇 번 경험한 함장과 승무원들의 적극적 건의와 괜스레 늘어나기만 하는 정비요소, 굳이 필요하지 않은 사치라는 이유하에 전방의 페어워터를 삭제하고 코닝 타워의 단순화 및 축소, 기존 함교의 조타실 철거로 대처했으나 함교 체적의 전체적인 축소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잠망경/레이더 마스트의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U보트랑은 달리 사각이 상당히 많다는 점이 문제가 되었다.

한편 H.O.R 엔진을 임시로 채택한 잠수함들은 정숙성이 굉장히 떨어져서 쉽게 탐지당했으며, 엔진 자체도 구식 설계인 데다 정비성까지 떨어지고 쉽게 고장이 났기 때문에 H.O.R을 빗대어 미 해군 잠수함 승조원들은 Whore라고 부르며 가차 없는 악평을 가했다. 이 문제의 경우 신형 엔진들이 생산 완료가 될 경우 작전 종료 후 복귀 시에 오버홀 작업을 거치며 엔진을 뜯어다 새로 갈아버리는 것으로 해결했다.

전쟁 말기즈음되면 평균적인 무장의 수준을 넘어, 어찌보면 과하다시피한 무장들을 장착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수중저항을 만들어내 수중에서는 속력 등이 오히려 떨어지는 상황도 생겼다. 하지만 당장 승무원들은 이것이 크게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진 않았는데 원인은 전쟁 말기즈음 되면 제대로 된 화력을 가진 일본 해군 군함들이 씨가 말라버리는 상황이었고 전쟁 말기 표적의 대다수는 피켓 임무를 수행하는 소형 보트나 어선, 목재 범선 등의 무장이 매우 빈약한 선박들이 주가 되다보니 잠항성능의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화력 강화를 하게 된 경우이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은 가토급이 제대로 된 대잠전력을 상대해본 적이 별로 없었고 타국 잠수함 대비 손실률이 높지 않아 상당히 묻히게 된다. 잠항성능의 경우 주적인 일본군의 해대형 잠수함들이 긴급잠항 81초, 순잠형 잠수함들이 최단 70초에 최장 91[53]라는 문제 있는 잠항능력을 기록하며 상대가 가진 단점이 워낙 독보적인데다가 잠수완료시간이 늦는다고 해도 레이더 덕분에 적을 탐지하자마자 잠수해버려 긴급잠항의 단점은 어느 정도[54] 줄었고 덩치를 감안하면 제법 민첩한 수준인데다가 잠항심도 역시 기존의 잠항심도보다 더 깊게 잠항할 수 있고 일본군의 대다수의 잠수함들과 비슷하거나 훨씬 더 깊게 내려갈 수 있어서 실전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거기에 일본군 대잠 전력은 전쟁 기간동안 수도 없는 허위 격침보고와 장대한 삽질로 가토급을 포함한 미 해군 잠수함대에 타격을 주기 힘들어 기존의 단점들은 더 묻혔다. 일본 해군의 한심한 대잠 전력 덕분에 활약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을 지경.

만약 일본 해군이 대서양 전쟁 후기, 한때 대서양의 늑대라고 불렸던 U보트를 동네 똥개 수준으로 만들어버린 미 해군이나 영국 해군 수준의 대잠 역량을 갖추고 있었다면 가토급의 손실률은 높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당시의 영국이나 미 해군 수준의 대잠능력을 당시의 가잠함 수준의 잠수함 기술만 가지고 극복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는 있다[55].

무엇보다 가토급 잠수함이 가지고 있는 최악의 문제점은 다름아닌 어뢰 스캔들이다. 이는 가토급만이 가진 문제는 아니고, 미국 잠수함들이 가진 공통적인 문제였으며 잠수함 자체의 기계적 결함이나 성능 부족 등의 문제는 문제같이 보이지 않을 정도라 매우 심각했다.[56]


6. 실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가토급 잠수함/실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전후활동과 GUPPY 개량[편집]


2차대전 종전 후 대다수의 가토급들은 퇴역 후 훈련함이나 사격연습용 표적함으로 임무가 전환되거나 해체되었다. 일부 함선은 실험 잠수함으로 개장되어 미사일 등의 신기술 테스트베드가 되기도 했으며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냉전기에 접어들자 일부 가토급 잠수함들은 구피(GUPPY - Greater Underwater Propulsion Power Program) 프로젝트에 따라 개량되고 기관총 및 덱건이 철거되는 등 수중저항을 일으킬 만한 요소들을 제거한 뒤 미사일 발사 잠수함, 급유 잠수함 등으로 개조되었다.

이 구피 프로젝트는 2차 세계대전 말기에 나포된 독일 XXI형 유보트 U-2513, U-3008의 테스트 결과에 영향을 받아 수중항해속도 강화, 잠항시간 증대, 배터리 지속시간 증대, 스노클 설치, 사격통제 시스템의 개량을 위한 프로젝트로 1947년부터 총 3척의 가토급 잠수함이 해당 프로젝트에 동원되어 개량되었고 그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총 17척이 개량을 받았다.

구피1은 이들 21형 U보트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개량된 프로토타입으로서 아직 잠망경 스노클 마스트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레이더만 수납이 되었으며 축전기 셀을 일렉트릭 보트 모델로 개량되며 축전기는 80기가 증가했다. 스노클 관련으로 무게 증가가 없었기 때문에 속력 자체는 여타 구피 개장형들보다 가장 빨랐으며 구피2형은 함수 아래에 독일 U보트의 영향을 많이 받은 말발굽 배열식 어레이 소나가 추가되었으며 축전지와 스노클이 훨씬 증설되며 별도의 음탐실이 설치된다. 구피1A형의 경우 이탈리아 등의 타국에 수출하기 위한 염가형으로서 개장되었으나 여타 구피 개량형들이 하도 비싸다보니 미 해군에서도 즐겨 사용하게 된다. 구피3은 수동 측거 소나를 장착하고 함교의 구조물을 늘리며 소나의 성능을 개량해 70년대 당시의 전황에 맞는 작전능력을 얻는 것이 목표였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4414.jpg
2차대전 후 수중저항을 줄인 유선형 함교를 설치한 33번함 AGSS-244 카발라(Cavalla). 주로 이런 함교들을 '세일'형 함교라고 부른다. - 1953년 9월 1일

기존의 요철형 함교는 철거되고 수중저항을 줄인 세일(Sail)형 함교가 새로 설치되었는데, 스노클 및 레이더, 잠망경 등의 장비들을 함교 내에 완전 수납을 할수 있게 설계한 것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후방 마스트 수납부가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나 일렉트릭 보트사의 개량형은 후방이 각이 져 있으며 해군 공창 개량형은 대체적으로 유선형으로 동글동글하게 다듬어져 있다.

파일:external/navsource.org/0828203.jpg
SSM-N-8 레굴러스 순항미사일을 발사하는 70번함 SSG-281 터니(Tunny). - 1958년 경

1척의 잠수함은 레굴러스 미사일 발사 플랫폼으로 개장되었는데, 레굴러스 순항미사일은 함교 후방에 미사일 보관 캐니스터와 발사기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이후 이 캐니스터는 UDT나 네이비 씰 등의 특수부대들이 해안침투작전을 수행하거나 수송작전을 수행할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된다.

냉전기에 접어들며 가토급 잠수함들에는 임무가 구분되는 형태로 개장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헌터-킬러, 즉 현대의 의미로 치면 공격 잠수함의 임무를 띈 잠수함들이 등장하게 된다. 원인은 구 소련이 나치 독일의 XXI형 유보트를 역설계하여 만들어낸 위스키급 잠수함의 존재 때문이었는데, 전쟁 발발 시 이들 잠수함을 조기에 발견, 격멸하기 위한 임무가 부여되어 수중잠항능력과 소나의 성능을 강화시킨 7척의 가토급들을 투입하기 시작한다. 헌터 킬러 잠수함들은 기존처럼 청음기를 돌리는 것이 아닌 원통형 소나를 장착했는데, 이는 독일 U보트가 본의 아니게 미국에게 준 선물.

주요 개량점은 선수부에 소나를 설치함과 동시에 전방 어뢰발사관 2문과 전방 디젤엔진 철거 등이 있다. 하지만 텐치급의 후계함인 바라쿠다급 디젤잠수함의 등장으로 인해 제법 빠르게 퇴역하게 되나 이들에게 가해진 개량들은 이후 잠수함 설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7224.jpg

항공 통제 전자장비와 레이더를 장착한 SSR-272 레드핀(Redfin). - 1953~1957년경 촬영

또한 레이더 피켓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 잠수함들도 등장. 그 근원은 2차 세계대전기 레이더 피켓을 이용한 조기경보체계의 유용함에 눈을 뜨게 되었으나 이를 수행하는 구축함들의 손실률이 매우 높았던 것에 있다. 이걸 잠수함에 적용하여 적이 공격해 올 경우 잠항하여 회피해 보자는 생각에서 나오게 된 것. 이에 따라 6척의 가토급들이 개조되었으며 초기에는 원/상사 침실을 개조하여 CIC를 임의로 설치했으며 두번째 개장 때는 SV-2 레이더와 SR-2 레이더를 장착하고 후방 어뢰실 앞의 배터리실과 창고에 CIC를 설치, 후기에는 아예 1,2번 엔진을 제거해버리고 거기에 CIC를 설치했다. 하지만 미 해군 내에서는 운용 평가결과가 매우 좋지 않았는데, 엔진 제거의 영향 때문에 후기 개량형들의 속도가 너무 느려 함대를 따라갈 수 없었던 것. 이 때문에 1958년기에 항공 통제장비들을 철거하게 된다.

유류 수송을 위해서 개장된 가토급도 있으며 목적은 상륙지점 등의 거점에 유류 수송 및 화물 수송을 하기 위한 것으로 1척이 개조되었다. 주로 외부 선체에 연료탱크를 설치한 것이 개량의 특이점. 하지만 이 역시 1회 정도 테스트 후 바로 포기하게 되는데, 첫 실험에서 타 선박에 대한 급유작업이 12시간이 걸려버려 미 해군에서는 이건 안되겠다 싶어 한방에 포기하고 만다.

어찌보면 돈많은 미 해군의 삽질처럼 보이지만, 구피 개량형 가토급들은 본격적인 원자력 잠수함의 등장 전까지 공백을 메워줄 땜빵의 성향이 강했으며 남아도는 함정들을 이용해 각종 실험적인 요소들을 마구마구 집어넣어 테스트를 해보고 실험결과를 반영해 차후 미 해군 잠수함의 기술 발전 및 전략/전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당장 캐니스터 사용 수송임무는 UDT나 SEAL 등의 특수부대를 수중 잠입시키는 데에 잘만 사용되는 중이고 원통형 소나나 순항미사일 발사 개념은 굳이 더 설명이 필요할까?

일부 잠수함은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기도 했는데, 30번함 SSK-241 배셔(Bashaw)는 1964년 베트남 전쟁에 참여하여 총 3회의 순찰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가토급 잠수함 중 일부 함선들은 해외에 팔려가거나 공여되어 제2의 함생을 살았는데, 그리스 해군, 이탈리아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 브라질 해군, 터키 해군에 도입되었다.

잭과 라폰은 각각 암피르피티, 포세이돈으로 개명되어 그리스 해군에 도입되었으며 바브는 이탈리아 해군에 양도되어 엔리코 타쫄리로 개명 후 활동했으며 데이스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로 개명되었다. 또한 밍고는 일본 해상자위대에 도입되어 쿠로시오로 개명되어 활동했고 무스컬런지와 패들은 브라질 해군에 도입, 휴마니타와 리아츄엘로로 개명. 귀타로와 해머헤드는 터키 해군 소속으로 프리베제와 세르베로 개명되어 제2의 함생을 살다 퇴역, 해체되거나 표적함으로서 함생을 마쳤다.

대만 해군에는 2010년대인 지금까지도 2척이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실질적으로는 훈련용으로 전환된 상태지만.

현재 보존되어있는 가토급 잠수함은 총 6척으로, 코드, 드럼, 실버사이즈, 카발라, 코비아, 크로커이다.


8. 유명한 자매함[편집]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599.jpg
4번함 SS-215 그라울러(Growler)
1941년 11월 2일 진수, 1942년 3월 20일 실전배치. 총 격침수 10척. 태평양전쟁 초창기부터 일본 해군과 치열한 혈투를 벌이며 폭뢰공격과 충각공격 등을 당하면서도 꿋꿋하게 싸워 전공을 세운, 파란만장한 함생을 살아간 잠수함. 결국 1944년 11월 8일 일본 시라츠유급 구축함 시구레, 대잠 해방함 치부리와 제2해방함 CD-19의 폭뢰공격으로 침몰했다. 하지만 침몰하기 전까지 근처 잠수함들에게 전장 상황과 표적을 알려주고[57] 가라앉아버려 침몰하면서까지 일본 해군을 괴롭힌 잠수함. 이보다 1년 전에는 초대 함장 하워드 길모어 소령이 배터리 충전 중에 기습을 당해 부상을 입었는데 자신을 함내로 옮기다가 잠항이 늦어진다는 우려에 자신을 밖에 내버려두고 잠항할 것을 명령하고 끝내 실종되었던 일이 있다. 그 희생정신을 기려 명예 훈장을 추서받았다. 현재 뉴욕시 허드슨 강쪽 선착장에 USS Intrepid 항공모함 박물관과 함께 전시되어있는 SSG-577 그라울러는 바로 이 함의 이름을 따서 냉전시대에 운용된 그레이백급 순항미사일 잠수함이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1899.jpg
7번함 SS-218 알바코어(Albacore)
1942년 2월 17일 진수 후 1942년 6월 1일 실전 배치. 총 격침수 10척. 필리핀 해 해전에서 항공모함 다이호를 침몰시킨 주인공. 이 외에도 텐류급 경순양함 텐류, 후부키급 구축함 사자나미아사시오급 구축함 오오시오를 침몰시켜 유명해진 잠수함. 이후 1944년 11월 7일 홋카이도 인근 해안에서 기뢰에 의해 침몰한다. 그런데 당시 근방에 일본군 기뢰부설함이 활동중이었기에 이 함선을 노리다 가라앉은 것이라는 말도 있다.
카도카와도완고가 I-58를 탐사한 업체와 연합하여 홋카이도 앞바다에 가라앉은 알바코어를 탐사 진행 중이며, 2020년 8월 26일 니코니코동화를 통해 생중계하였다.[58]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2099.jpg
9번함 SS-220 바브(Barb)
1942년 2월 4일 진수, 1942년 7월 8일 실전 배치. 총 20척 격침의 상위권에 속하는 에이스이자 미국 잠수함들 중 최고의 임팩트 파이터. 남들은 전쟁하는데 자기 혼자서 액션영화 찍은 잠수함. 특이사항으로 경항공모함 운요를 격침시킨 전과가 있으며 일본군 수송선 4척을 하루만에 격침시키고 추가로 1척을 손상을 입혀 가장 빠른 시간내에 최대의 피해를 입히기도 했으며 기뢰와 대잠 장애물이 쫙 깔린 항구에 잡입해서 수송선 1척을 격침시키고 돌아오거나 한바탕 수송선단을 헤집어놓고 최고속도를 넘은 23노트의 속력으로 부상한 상태로 도망치는 등의 일화를 만들었으며 사할린 섬 주둔 일본군에게 덱건과 로켓탄 사격을 가하거나 앞서 전술한 일본 본토 상륙후 특수전 임무를 수행한 주인공. 함장인 유진 B. 플럭키 소령 이하 승조원들이 일본 본토에 상륙해 철도에 폭탄을 설치하고 수송을 하고 있던 열차를 터트려 파괴한 전과가 그것. 1946년 퇴역후 1954년에 이탈리아 해군에 양도되어 엔리코 타쫄리로 개명 후 이탈리아 해군에서 제2의 함생을 살다 1972년 퇴역 후 해체.[59]

파일:external/www.flyingtigerssurplus.com/P1500.jpg
25번함 SS-236 실버사이즈(Silversides)
1941년 8월 26일 진수, 1941년 12월 15일 실전 배치. 가토급들 중 1위에 빛나는 27척의 격침수량을 기록한 톱 에이스. 1946년 4월 17일 퇴역후 현재 미시간 주의 머스키건 실버사이즈 잠수함 박물관에서 박물관 함선으로 보존 전시 중. 주소 Beach Lake Road (1346 Bluff St.)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4498.jpg
33번함 SS-244 카발라(Cavalla)
1943년 11월 14일 진수, 1944년 2월 29일 실전 배치. 비록 4척을 격침시켜 소소해보이지만 그 격침전과 중 한 척이 일본 해군 역전의 항공모함 쇼카쿠다. 필리핀 해 해전 참고. 구축함 시모즈키 격침 전과도 같이 가지고 있다. 1946년 퇴역 후 현재 텍사스 주 갤버스턴의 씨울프 공원에서 박물관 함선으로 보존 처리중. 주소는 Pelican Island via Seawolf Parkway (51st St.)이며 성인기준 관람료는 4달러이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4999.jpg
38번함 SS-249 플래셔(Flasher)
1943년 6월 20일 진수, 1943년 9월 25일 실전 배치. 총 격침톤수 10만 6667톤 기록으로 연합국 잠수함 중 단연 1위의 격침기록 소유 잠수함.[60] [61]1946년 3월 16일 예비역 전환 후 1959년 6월 1일 제적되어 1963년 6월 8일 해체되었고 현재 함교만이 코네티컷 주의 그로튼에서 기념물로 전시 중.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5799.jpg
46번함 SS-257 하더(Harder)
1942년 8월 19일 진수, 1942년 12월 2일 실전 배치. 이 잠수함도 총 격침수 18척의 당당한 에이스. 특이사항으로 이카즈치, 하야나미, 미나즈키, 타니카제, 마츠와 같은 구축함을 많이 사냥한 구축함 킬러로 악명을 떨치던 잠수함. 구축함뿐만 아니라 대잠 해방함 등도 어줍잖게 덤비다가 이 잠수함에게 격침당하거나 관광당했고 하도 심하게 당해서 한때 일본군의 대잠초계전력에 큰 구멍이 생겼을 정도로 맹활약한 잠수함. 안타깝게도 일본 수송선단 히-71을 공격하기 위해 다른 잠수함들과 울프팩 작전을 하던 도중 1944년 8월 24일 남중국해에서 일본 제2해방함(호위 대잠함) CD-22의 폭뢰 공격으로 수중에서 부력을 회복하지 못해 침몰, 함장 포함 승무원 전원이 전사했다.

파일:external/www.navsource.org/0826996.jpg
58번함 SS-269 래셔(Rasher)
1942년 12월 20일 진수, 1943년 6월 8일 실전 배치. 총 18척 격침에 격침톤수 10만 231톤의 무시무시한 기록을 달성했으며 경항공모함 다이요의 최후를 장식한 잠수함이기도 하다. 1946년 퇴역 후 1971년 스크랩 처리.


9. 자매함 목록 및 전과[편집]


가토급 잠수함/자매함 목록 및 전과 문서 참고.


10. 기타[편집]


웬만한 미국 잠수함들도 거의 그랬지만, 가토급 잠수함 역시도 아이스크림 제조기가 함 내에 있었다.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위치는 승조원 침실구획 및 후방 배터리 구획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는 잠수함대 사령관 록우드 제독의 특별조치였는데, 열악한 잠수함 근무환경을 참작하여 조금이라도 더 좋은 거주성과 근무환경을 잠수함 승조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조치였다. 심지어 이 아이스크림 제조기가 없거나 고장난 배들에게는 출항금지명령까지 내릴 정도.

퇴역 후 다른 해군 전투함과 마찬가지로 각종 신무기의 테스트 및 훈련용 표적함으로 쓰이다가 최종적으로 6척이 남아 미국 전역에 전시되어 있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SS-244 USS 카발라(Cavalla): 텍사스 갤버스턴(Galveston)의 시울프 공원(Seawolf Park)[62]에 전시되어 있다.
  • SS-245 USS 코비아(Cobia): 위스콘신 해양 박물관(Wisconsin Maritime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
  • SS-228 USS 드럼(Drum): 앨라배마 모빌(Mobile)에 있는, 전함 기념 공원(Battleship Memorial Park)[63]에 전시되어 있다. 원래는 정박된 형태로 전시되어 있었는데 1998년 허리케인 때문에 손상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수리 후 지상으로 끌어올려서 전시되고 있다.
  • SS-224 USS 코드(Cod): 오하이오 클리블랜드(Cleveland)의 North Coast Harbor에 전시되어 있다. 해안에 정박된 형태로 전시되어 있고, 관람을 위한 아무런 개조 없이 원형 그대로 전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람을 하려면 관람객이 해치로 들어가서 사다리를 오르락 내리락 해야 한다.
  • SS-246 USS 크로커(Croaker): 뉴욕 주 버팔로에 있는 Buffalo and Erie County Naval & Military Park에 전시되어 있다.
  • SS-236 USS 실버사이즈(Silversides): 미시간 Muskegon에 있는 Great Lakes Naval Memorial & Museum에 전시되어 있다.

상당한 활약을 한 잠수함답게 미 의회 명예 훈장을 수여받은 잠수함장이 3명이나 된다.[6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oward_Walter_Gilmore.jpg

4번함 SS-215 그라울러(Growler) - 하워드 월터 길모어 소령
1902년 9월 29일 앨라배마 주 셀튼 출생. 1920년 11월 15일 미 해군에서 수병으로 입대. 이후 1922년 장교로 임관하여 뉴멕시코급 전함 BB-41 미시시피(Mississippi)에서 근무한 뒤 1930년 잠수함 교육을 이수받은 후 포퍼즈급 잠수함 SS-174 샤크(Shark)에서 첫 잠수함 근무를 한 이후 1942년 3월 20일 가토급 잠수함 4번함 SS-215 그라울러(Growler)의 초대 함장으로 부임, 전설을 만들고 그라울러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 1943년 2월 7일 새벽 배터리 충전중 일본군 급양함 하야사키의 기습공격을 받아 장교 1명과 수병 1명이 사망하고 함장인 길모어 소령 본인도 부상을 당했으나 자신의 부상때문에 긴급잠항이 늦어져 침몰할 것이란 판단 하에 부상당한 자신을 견시대에 내버려두고 잠수하라고 명령("Take Her Down!"), 스스로 희생해서 자신의 잠수함인 그라울러와 승조원들을 생환할 수 있게 한 희생정신을 기려 사후 추서. 향년 40세.

파일:external/image2.findagrave.com/20227660_118338871638.jpg

9번함 SS-220 바브(Barb) - 유진 베넷 '럭키' 플럭키 소령
1913년 10월 5일 워싱턴 D.C. 출생. 1931년 애나폴리스 입학 후 장교로 임관한 뒤 네바다급 전함 BB-36 네바다(Nevada)와 클렘슨급 구축함 DD-223 맥코믹(McCormick)에서 근무한 뒤 S급 잠수함 S-42에서 첫 잠수함 근무를 시작으로 바라쿠다급 잠수함 SS-165 보니타(Bonita)를 거쳐 애나폴리스로 다시 돌아와 엔지니어링 교육 이수 후 1944년 4월 25일 가토급 잠수함 9번함 SS-220 바브(Barb)의 4대 함장으로 부임하여 바브의 최고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전후 발라오급 잠수함 SS-352 하프빅(Harfbeak), 플루톤급 잠수모함 AS-12 스페리의 함장을 역임한 후 제7 잠수함전대 사령관, 합동 사령부, 조사 위원, 태평양 잠수함대 사령관, 해군 정보부, 포르투갈 해군 고문관 등을 역임한 후 1972년 퇴역, 자서전인 Thunder Below!를 집필한 후 여생을 살다 93세의 나이로 2007년 7월 28일 사망.
- 1945년 7월 22일 사할린 섬에 상륙하여 철도와 기차를 폭파시키는, 해군 역사상 유례없는 대담한 작전을 수행해 성공시켜 수여받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uel_D._Dealey.jpg

46번함 SS-257 하더(Harder) - 새뮤얼 데이빗 딜레이 소령
1906년 9월 13일 텍사스 주 댈러스 출생. 1930년 애나폴리스 입학 후 네바다급 전함 BB-36 네바다(Nevada)에서 첫 근무 후 윌크스급 구축함 DD-113 랫번(Rathburne)에서 근무한 뒤 S급 잠수함 S-34에서 첫 잠수함 커리어를 쌓으며 S-24, 나왈급 잠수함 SS-168 노틸러스(Nautilus), 바라쿠다급 잠수함 SS-164 배스(Bass)를 거쳐 해군 항공대 배치 후, 클렘슨급 구축함 DD-245 루벤 제임스(Reuben James)로 배치, S급 잠수함 S-20을 거쳐 1942년 12월 2일 가토급 잠수함 46번함 SS-257 하더(Harder)의 초대함장으로 부임하여 구축함 킬러로서 악명을 떨치게 된다.[65] 이후 1944년 8월 24일 울프팩 작전 도중 일본군의 폭뢰공격으로 자신의 잠수함인 하더와 함께 가라앉으며 생을 마감했다. 향년 37세.
- 1944년 5월 26일부터 7월 3일까지 일본군의 구축함들을 사냥하여 일본군의 마리아나 일대의 작전 계획을 틀어지게 만든 것과 대잠 호위전력에 큰 피해를 입힌 전과를 올려 수여받음.

27번함 SS-238 와후(Wahoo)는 학살 혐의[66]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있다.

더들리 모튼 중령이 지휘하는 와후는 1월 26일 수송선 부요 마루 및 기타 2척의 선박을 어뢰공격으로 격침시켰는데 구명보트를 타고 탈출한 승조원들을 덱건과 기관총을 동원해 전원 살해하였다. 당시 부장이던 리처드 H. 오케인 대위는 유조선에서 탈출한 승무원들에게 정선명령을 내렸지만 이에 따르지 않아 발포한 것이라고 했지만 이 일로 와후는 전공을 세워도 명예훈장만은 주어질 기회가 없었다. 그러나 오케인 대위는 이후 결국 명예 훈장을 수여받게 된다.

학살당한 사람들 중에는 당시 부요 마루[67]에 타고있던 1,126명 의 승선인원 중 87명의 일본 승조원 외에 인도군 제16 펀잡 연대 2대대 소속의 포로 195명도 있었고 이들 역시 전원 사망하고 말았다.

오케인 대위의 정선명령을 따르지 않아 총격을 명령한 것이 사실이라 해도 보트에 타고 있던 사람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이는 명백히 살해의도가 있었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도 있으며 또한 사격명령을 내린 사람이 리처드 오케인 대위가 아닌 함장 더들리 모튼 소령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이 일은 현재까지도 정확한 당시 상황을 알 수가 없는데, 와후는 1943년 10월 11일 일본군의 대잠 작전에 의해 침몰해 함장 포함 승무원 전원이 사망했기에 이후 당사자들에게 정확한 증언을 들을 수가 없었으며 주범으로 추정되는 부장인 리처드 오케인 대위는 1943년 7월 경, 발라오급 잠수함 탱(Tang)의 함장으로 부임한 이후 이 일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았다.

건조 과정에서 일화가 있는데,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예산 집행 이후 미 해군에서는 일렉트릭 보트 사와 메어 아일랜드, 포츠머스 해군 조선소에서 대규모의 가토급 잠수함 건조발주를 실시했으나, 만들어야 되는 배는 많은데 이미 대규모 조선소들은 문자 그대로 포화 상태였기 때문에 해군 당국은 상당한 골머리를 앓게 된다.

이때 한 젊은 해군 장교가 "내 삼촌이 오대호에 대규모 조선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거기를 활용을 해 달라"고 해군 함선국에 신고를 했다. 처음에는 농담처럼 받아들여졌으나 실제로 해군에서 인원을 파견해 본 결과, 협의 끝에 매우 빠른 시간 내에 모든 일이 순조롭게 잘 진행되어 곧바로 강재 절단 및 가토급 잠수함의 건조에 돌입하게 되는데 이 조선소가 바로 매니토웍 조선소(Manitowoc Shipbuilding Company)였다.[68] 이 조선소에서만 총 14척의 가토급 잠수함이 건조되었으며, 완공된 잠수함들은 세인트로렌스 강을 따라 대서양으로 향하고 다시 태평양 함대에 배속이 되었다. 당시에는 매니토웍 조선소에서는 군함, 특히 잠수함을 건조해본 사례가 없었지만 일렉트릭 보트 사의 설계를 이용하였고 곧 경험 문제는 금방 해결된다. 조선소 측도 일거리가 생기고 해군 측에서도 함선의 수요량과 수리수요를 충족한 윈윈의 사례.


11. 평가[편집]


가토급 잠수함을 포함한 미 해군 잠수함들이 이런 빛나는 활약을 하게 된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일단 해군의 높으신 분들이 잠수함대에 대한 관심이 지극했다.

당장 체스터 니미츠 제독부터 일찍이 잠수함에 관심이 많았다. 물론 이는 니미츠 제독의 아들인 체스터 니미츠 주니어가 가토급 잠수함 44번함 해도(Haddo)의 함장을 맡았던 것도 있지만 자신도 잠수함대 건설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잠수함에 디젤엔진을 적용시키기도 하고 잠수함 승무원으로 근무하기도 하면서 니미츠는 다른 연합군 장성들과는 달리 2차 대전 발발 직전에도 잠수함에 대해 그다지 나쁘지 않은 생각을 가졌으며, 태평양 함대 사령관 취임식 역시 사르고급 잠수함인 그레일링의 갑판에서 이루어졌다.

니미츠 본인이 잠수함 부대 출신이라 원하기도 했지만, 니미츠의 잠수함대 애호와는 별개로 취임식을 거행할 만한 대형 수상함정이 전무했다는 사정도 있고, 무엇보다도 취임식을 치른 진주만의 잠수함 도크는 연료 저장시설과 함께 진주만에서 타격을 입지 않은 한손에 꼽히는 해군 시설 중 하나였다. 물론 잠수함 부대의 사기진작 목적도 있었다. 참고로 취임식을 치뤘던 진주만 잠수함 도크는 니미츠가 초급장교 시절에 건설 감독을 맡았던 시설이다.

이런 바탕에 잠수함대 사령관으로 찰스 록우드라는 희대의 잠수함 덕후까지 등장하면서 아이스크림 제조기 외에도 작전 중에도 충분히 신선한 식재료를 보급해주었으며 작전을 마치고 돌아온 잠수함 승조원들에게 상당한 휴가와 숙박을 할 호텔, 고급 휴양지를 제공하며 좋은 대우를 해 주었다. 가토급 잠수함을 포함한 미국 잠수함대는 이런 빠방한 뒷배경을 바탕으로 좋은 대우를 받으며 작전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잠수함의 사용 용도에 제한을 두지 않았는데 통상파괴전을 주 목적으로 하던 독일의 U보트나 잠수함 자체를 어뢰정의 파생형 취급을 하던 일본 해군 잠수함들과는 다르게 가토급 잠수함들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버려 상부의 큰 제한 없이 마음껏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 즉, 발상부터가 남달랐다는 이야기. 이를 바탕으로 추락하거나 불시착한 파일럿이나 침몰한 선박의 승조원 구조부터 각 섬의 게릴라들에 대한 물자 지원, 스파이 잠입, 해역 감시 등의 임무에 적시적소에 배치되어 매우 효율적인 작전이 가능했다. 거기에 함장들과 승조원들의 적극성까지 더해져 타국 잠수함들로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지상 포격지원이나 포로 구출작전, 사보타주 등의 대담한 작전들이 수행되었고 이 역시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일본군의 통신을 감청하면서 조기에 적절한 해역에 배치되어 있었던 것도 이유가 크다. 록우드 제독은 통신 감청이 잠수함 작전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정보가 없었다면 보다 많은 잠수함이 필요했을 것이며 넓은 태평양 지역을 커버하지 못했을 것이고 적의 기뢰원에 대한 정보가 완벽했기 때문에 적이 부설한 기뢰원은 이걸 부설한 일본군보다 빠르게 숙지했으며 일본 군함은 좁은 수로를 항해하지 않으면 안되었기에 포착과 공격이 쉬웠다고 발언했다. 실제로도 미 해군이 2차대전기 투입했던 총 298척의 잠수함들은 태평양 전역의 규모상으로도, 미 해군이라는 집단의 규모를 고려하더라도 보유척수가 매우 적은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했듯이 통신 감청 및 암호 해독으로 일본 해군과 수송선단의 이동 루트 등을 제법 정확히 판단하고 있었던 것 또한 사실이며, 이에 따라 적의 규모에 맞게 적절하게 잠수함들을 투입해 교전을 벌일 수 있었기에 가토급 잠수함을 포함한 미 해군 잠수함대는 타국 잠수함들에 비해 상당히 여유있는 작전을 펼칠 수 있었다.

일본 해군의 대잠 역량이 한심했던 것도 한술 더 떴는데, 일찍이 설명했듯 가토급 잠수함은 그리 깊이 잠항할 수 있는 잠수함도 아니었거니와 잠항해봐야 들어갈 곳이 뻔했다는 단점이 명확했다. 하지만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의 주력 소나인 93식 소나는 황기 2593년, 즉 1933년도에 실전배치된 소나였고 당시 기준으로서는 상당히 양호한 성능을 가진 소나였으나 이미 태평양전쟁 발발 당시에는 오래된 구식 소나였기에 정숙성에서 많은 개선이 이루어진 미 해군 잠수함들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없었고, 개량형인 3식 소나 역시도 성능 자체는 양호했으나 실전배치는 1943년이었기에 개발이 너무 늦었던데다 극히 일부 함선들에나 탑재를 했을 정도였다.

거기에 일본의 주요 대잠작전을 담당하게 될 구축함들 중 일부 함정들은 소나조차도 탑재하질 못했고 미 잠수함의 잠망경을 포착할 경우 이를 들이받으려 돌진하거나 예상 위치에 폭뢰를 투하하는 것 외에는 크게 할 수 있는 것이 없었고, 이 돌진 와중에 어뢰를 맞으면서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다수였고 심지어 아예 포착조차도 못하고 피해를 입은 사례가 많았다.

항공전력 역시도 마찬가지였는데, 가토급 잠수함은 못해도 1기의 레이더, 평균 2기의 레이더와 레이더 역탐지를 위한 역탐을 장착했기 때문에 대잠초계 임무를 수행중인 항공기들을 선제포착하고 미리 잠수를 해버리는 경우가 많았기에 항공전력 역시도 미 해군 잠수함대에 그리 큰 피해를 주지는 못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가토급 잠수함은 통상파괴전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던 U보트들보다도 더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고 우수한 범용성과 높은 전투력으로 일본군에게 다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일본을 굶겨 끝끝내 일본의 항복을 받아내는 데에 큰 공을 세웠다.

무엇보다, 현대 미 해군 잠수함들이 하는 임무의 기반을 가토급 잠수함이 상당수 다져놓은지라 가토급 잠수함에 대한 평가는 현재 매우 드높으며 이들이 이룩한 전략/전술, 기술적 성과는 고평가가 아깝지 않다.


12. 등장매체[편집]


  • 제2차 세계대전 해상전 게임 네이비필드에서 미 해군 잠수함 트리의 5차 잠수함으로 등장. 우월한 어뢰발사관을 이용한 전후방 화력구사가 가능하나 미국 잠수함트리 특유의 어뢰불발율은 문제다. 하지만 이전 잠수함들보다 확실히 살만해져 숨통이 트인다는게 평.
  • 제2차 세계대전 배경의 해상전 슈팅/전략 게임 배틀스테이션 시리즈의 두번째 작품인 배틀스테이션 퍼시픽에서 등장. 우월한 어뢰 화력을 발휘해 기본 함종인 나왈급 잠수함의 싸다구를 후린다.
  • 잠수함 시뮬레이션의 대부 '사일런트 헌터' 시리즈의 4번째 작품인 '울브즈 오브 더 퍼시픽'에서도 등장. 겁나게 세다. 새먼급이나 탬버급이랑은 비교 자체를 불허하는 강력한 무장과 풍부한 연료, 배터리, 산소량과 더불어 수상 레이더의 특권 덕분에 천국을 맛볼 수가 있다.
  • 스티븐 시걸 주연의 영화 언더 시즈에서 미주리의 핵탄두를 빼돌리기 위해 스트라닉스의 부하들이 타고 오는 잠수함으로 등장. 인공기가 그려져 있는데, 북한의 소행으로 꾸미기 위한 속셈. 결국 주인공인 케이스 라이백과 동료들이 미주리의 3번 16인치 주포 사격을 가해 이 잠수함을 가라앉혀버린다. 출연한 잠수함은 17번함 SS-228 드럼(Drum).
  • 잠수함 공포영화 빌로우(Below)에서 주인공 잠수함이자 귀신들린 잠수함 타이거 샤크(Tiger Shark)로도 등장한다. 해당 출연 잠수함은 25번함 SS-236 실버사이즈(Silversides).
  • 모바일 게임 전함소녀에서 알바코어바브가 5성급 잠수함으로 등장한다. 알바코어는 다이호를 어뢰로 유폭사시킨거 때문에 암살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바브는 철도를 폭발시킨 일화 때문에 시한폭탄을 들고 있다.
  • 모바일 게임 워쉽배틀:2차세계대전에서 성능이 괜찮은 잠수함으로 나온다.
  •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에서 데이스알바코어, 카발라가 등장한다.
  • 청의 6호의 원작자로 유명한 오자와 사토루의 만화 서브마린 707에서 초대 707로 등장한다. 일본이 미군으로부터 공여받은 가토급을 개조해 사용한다는 설정. 발라오급이나 텐치급에 가깝다는 설도 있다.
  • 함대 컬렉션에도 예전부터 등장한다는 떡밥이 있었고, 2021년 가을 이벤트 최종보상으로 스캠프가 추가되었다.


13. 외부 링크[편집]




14. 관련 문서[편집]




15.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
재래식 잠수함(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바라쿠다급 (2대)R, 탱급R, 그레이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 (FFG(X))}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 구축함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 항공모함(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 항공모함(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의 이탈리아 해군 함선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정
플루토급RM/R, 아차이오급RM/R, 타졸리급R, 토리첼리급R,
가자나 프리아로자급R, 리비오 피오마르타급R, 엔리코 토티급R, 사우로급, 토다로급
어뢰정
MS472급R, 스피카급RM/R, PT 보트R
고속정
풀미네급R, 프레시아급R, 폴고레급R, 람포급R, 에스플로라토레급
미사일 고속정
스파르비에로급R
원양초계함
시리오급, 카시오페아급, 코만단티급
초계함
가비아노급RM/R 피에트로 드 크리스토파로급R,
알바트로스급R, 미네르바급R, 타온 디 레벨(PPA)급
호위구축함
알데바란급R
호위함
경호위함
루포급
대잠호위함
첸타우로급R, 카를로 베르가미니급(1962)R, 알피노급R, 마에스트랄레급
방공호위함
카를로 베르가미니급
구축함
구축함
산 조르지오급RM/R 임페투오소급R, 판테급R, 아르티에르급R, 아비에르급R
방공구축함
임파비도급R, 아우다체급R, 뒤랑 드 라펜급, 오리존테급, {DDX}
순양함
두카 델리 아브루지급RM/R, 안드레아 도리아급R, 비토리오 베네토급R,
상륙정
MTP(LCVP)R, MTM(LCM)-2/3/6급R, SR.N6급 호버크래프트R
MTP96급, MTM217급, LCM62급
상륙함
LPH
산 조르지오급, 트리에스테급
LST
안테오R, 에트나R, 안드레아 바필레R,
그라도급R, 콰트로급R
소해함
레리치급, 가에타급
수송함
폰자급, 고르고나급
군수지원함
스테로페R, 에트나급, 스트롬볼리급, 파네레아급, 불카노급
정보수집/연구함
스테뻬타R, 오스티아R, 바르바라R, 아미랄료 마나기,
알리안스, 레오나르도, 로세티급, 니페급, 일레트라급
경항공모함
주세페 가리발디급, 콘테 디 카보우르급
훈련함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라고스타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RM: 이탈리아 왕립해군(Regina Marina)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일본 국기.svg 현대의 일본 해상자위대 함선 파일:해상자위대기.svg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잠수함
(SS)

쿠로시오R, 오야시오R, 하야시오급R, 나츠시오급R, 오오시오R,
아사시오급R, 우즈시오급R, 유우시오급R, 하루시오급R, 오야시오급, 소류급, 타이게이급
경비정
(PC)

유리급R, PT9R
구잠정
(PC)

카리급R, 카모메급R, 하야부사급R, 우미타카급R, 미즈토리급R
미사일 고속정
(PG)

1호형 미사일정R, 하야부사급
초계프리깃
(PF)

쿠스급R
다목적 프리깃
(FFM)

모가미급, {신형 FFM}
호위구축함
(DE)

아사히급R, 아케보노R, 이카즈치급R, 와카바IJN/R, 이스즈급R, 치쿠고급R, 이시카리R, 유우바리급R, 아부쿠마급
구축함
구축함
(DD)

아사카제급R, 하루카제급R, 아야나미급R, 무라사메급R, 아리아케급R, 아키즈키급R, 야마구모급R, 타카츠키급R, 미네구모급R, 2,500톤급, 하츠유키급R, 아사기리급, 무라사메급, 타카나미급, 아키즈키급, 아사히급
방공구축함
(DDG)

아마츠카제R, 타치카제급R, 하타카제급R,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이지스 시스템 탑재함}
헬기구축함
(DDH)

하루나급R, 시라네급R, 휴우가급
다용도 운용모함
(DDH)

이즈모급
상륙정
1001호형R, 2001호형R, 3001호형R, 수송정 1호형, LCAC 1호형
상륙함
오오스미급(초대)R, 아츠미급R, 유라급R, 미우라급R, 오오스미급(2대)
기뢰전함
소해모함
나사미R, 미호R, 하야토모R, 하야세R, 우라가급
소해함
하츠시마급 R, 우와지마급R, 스가시마급, 히라시마급, 에노시마급, 야에야마급, 아와지급
소해정
야시마급R, 우지시마급R, 아타다급R, 야시로R, 카사도급R, 타카미급R, 소해정 1호형R
소해관제정
후쿠에R, 니이지마급R, 이에시마급
구조함
치하야(초대)R, 후시미R, 치하야(2대), 치요다R, 치요다(2대)
군수지원함
보급함
사가미R, 토와다급, 마슈급
급유함
하마나R
연료수송함
YOT-1급
잠수함모함
수중처분모선 1호형
다용도 지원함
81호형R, 히우치급, {다목적 초계함정}
정보수집함
해양측정함
아카시R, 후타미R, 스마R, 와카사, 니치난, 쇼난
음향측정함
히비키급
쇄빙함
시라세(초대)R, 시라세(2대), 후지R
시험함
구리하마R, 아스카, {타이게이}
특무정
유우치도리R, 하야부사R, 히요도리R, 하시다테
훈련함
연습함
(TV)

카토리R, 야마구모급T/R, 미네구모급T/R, 야마기리급T, 카시마, 시마유키급T/R, 하타카제급T
훈련지원함
(ATS)

쿠로베, 텐류
연습잠수함
(TSS)

유우시오급T/R, 아사시오T/R, 하야시오급T/R, 오야시오급T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취소선: 계획만 되었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IJN: 일본 제국해군(Imperial Japan Navy) 소속이었던 것을 개장한 함선들





⚓️ 해상병기 둘러보기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현대 199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 해상병기의 계보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5:37:48에 나무위키 가토급 잠수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항목은 http://www.maritime.org/doc/fleetsub의 자료들을 참고하였음.[2]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47 페이지[3] 일본은 잠수함에는 함명을 붙이지 않고 그냥 I-168, I-400, I-19 등과 같은 코드로 불렀다.[4] 해당 제원은 2차 세계대전기 기준으로서 GUPPY 개장의 성능은 아님.[5]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6]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7]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8]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9]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10]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11]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2]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13]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14]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5]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6]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7]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8]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19] SS-244 카발라가 쇼카쿠를 어뢰로 날려버린 뒤 120m 심도까지 잠수하여 100발이 넘게 쏟아지는 폭뢰를 회피하고 귀환한 사례가 있다.[20] 제원에 나와있는 승조원 수는 작전에 필요한 최소인원만을 기준으로 하며 실제로는 비편제 인원까지 근무시키거나 임무나 함장의 지휘방침에 따라 추가 병력을 더 태우는 등 승조원 수는 유동적으로 변한다.[21]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22]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305-311 페이지[23] 9번함 SS-220 바브(Barb)만이 장착하고 있었던 무장.[24] 독일 해군의 암호생성/해독기인 에니그마와 유사한 암호생성/해독장비.[25] Safford, L.F. (1943) History of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the Mark II ECM (Electric Cipher Machine) This available from NARA. SRH-360 in RG 0457: NSA/CSS Finding Aid A1, 9020 US Navy Records Relating to Cryptology 1918- 1950 Stack 190 Begin Loc 36/12/04 Location 1-19.[26] Catalogue of Naval Electronic Equipment-April 1946- NavShips 900,116.[27]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47 페이지[28]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85-384페이지[29]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85-384페이지[30] S급 잠수함은 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 해군에서 건조하여 운영한 잠수함이었으나 성능이나 설계 면에서 절대로 좋은 소리가 나올 수가 없었을 정도로 한심한 성능을 자랑했는데, 수중저항을 줄이기 위한 설계는 좋았고 수중속도는 빠른 편이었으나 수상속력이 느렸고 배수량 1,062톤이라는 상당한 소형 잠수함임에도 불구하고 잠수완료시간이 느린 편이었으며 탑재 가능한 어뢰 발수가 적고 전투력 역시도 빈약했던데다 정숙성이 낮았으며 태평양 전쟁 발발 당시에는 함령 15년을 넘긴 상당한 구식 잠수함이었던데다 항속거리가 길지 않아 광활한 태평양에서 작전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그렇기에 대전 초반기 동안 S급 잠수함들은 대부분 연안이나 해협에서 매복작전을 주로 수행했고 적을 직접 찾아 돌아다니는 작전은 수행할 수 없었다.[31] S급의 실패 이후 미 해군의 설계실험 목적으로 굉장히 유니크한 설계를 가지고 있으나, 전방/후방 기관실 배치라는 안좋은 쪽으로 유니크한 기관배치와 구상선수 설치라는 기괴한 구조를 가지진 괴작으로 탄생해버렸으며 실제 운영시에도 수상항해를 하든 잠항을 하든 불안정한 안정성과 바닥을 치는 정숙성 등의 단점이 너무 많아 실전에 도저히 투입시킬 수 없다는 악평을 받았다.[32] 순양잠수함 계획에 따라 1차 세계대전 당시의 독일 U보트의 설계를 참고로 압도적으로 덩치를 키우고 어뢰탑재량과 화력을 끌어올리며 항속거리를 증가시켰으나 역으로 엄청나게 커진 덩치는 미 해군 잠수함 설계 역사상 최악의 잠수성능을 기록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했다.[33] Jack K. Bauer, Stephen S. Roberts, Register of Ships of the U.S. Navy, 1775-1990: Major Combatants. Westpoint, Conneticut:Greenwood Press. 271-273 페이지[34] 해당 항목은 http://www.maritime.org/doc/fleetsub의 자료들을 참고하였음.[35] Commander John D. Alden, U.S Navy: A Design and Construction History. Naval Institute Press. 101페이지[36] 다만 실제 승조원들은 오물배출 작업을 극히 싫어했는데, 오물을 배출할 경우 잠수함 내에 똥냄새가 진동을 하기 때문이었다.[37] 대표적인 꼼수로, 함교에서 견시수와 당직사관이 철수하고 함 내로 들어갈때 일일이 사다리 밟아서 내려가는것이 아닌 해치 입구에 있는 로프만 잡고 해치 안으로 뛰어내리거나, 해치를 다 닫기도 전에 충수를 실시하고, 남아도는 잉여 병력들을 함수 방향으로 뛰어가게 하거나 해치를 그냥 닫아만 둔 상태에서 잠수를 해버리는 것 등이 있다. 물론 저런 긴급잠항 훈련 도중 다친 사례도 제법 되었고, 보통 당시 잠수함들의 해치는 2가지의 잠금장치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충수가 진행되면서 잠수를 시작하게 되면 해치에 묶여 있는 로프를 잡아당겨서 해치를 대충 닫아둔다. 이럴 경우 1차 잠금장치가 잠기는 소리를 내면서 해치가 닫히는데, 이상태에서는 완전히 폐쇄가 되질 않기에 잠수가 완료되면 해수가 줄줄 새어나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조원들이 2차 잠금 핸들을 돌려서 확실하게 폐쇄를 해주면서 긴급잠항이 완료된다. 이런 다소 무식하기까지한 훈련들은 각국 해군에서 자주 시행했던 훈련들이라 크게 새로울 것은 없는 것. 긴급잠항 시 어떻게 뛰어내리는지는 영화 "패티코트 대작전"의 후반부에 아주 잘 나와있다. 함장이 로프를 잡고 해치 안으로 뛰어내리는 동시에 해치에 묶인 로프를 붙잡아 해치를 닫으면서 엉덩방아를 찧는 모습을 볼 수 있다.[38] 일례로, U보트의 경우 전방 잠타가 흘수선하에 있어서 보이질 않는 문제와 더불어 폴딩이 불가능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실제로도 전방 잠타의 파손 사례가 매우 많았고 일본 역시 미국과 비슷한 개념으로 아예 잠타를 외부선체 안으로 완전히 밀어넣는 구조를 채택했다.[39] 크리스마스 트리 라는 명칭이 붙은 이유는 빨간불, 녹색불이 들어오는 것이 마치 크리스마스 트리를 연상케 한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40] 원리는 간단한데, 해치나 밸브에 스위치를 심어두는 것이다. 해치나 밸브 등이 닫히면 전류가 통해서 스위치가 작동하여 녹등이 켜지고, 개방될 경우 전류가 차단되면서 적등이 켜지는 것이다.[41] 흔히 하는 착각으로 사람의 음성이 적함의 소나에도 잡혀서 들킬수도 있다는 착각을 자주 하는데, 선체가 소음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에 안들린다. 하지만 아군 음탐사들에게 소음으로 방해를 줄 여지가 많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잠수함 내에서 큰소리를 내는건 그리 좋은 행위는 아니다.[42] 맞아도 불발되는것은 물론이고 적정수심보다 더 깊게 항주해 버리거나 심지어 부메랑마냥 자기를 발사한 배를 때리기도 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일본군의 산소어뢰가 활약중이였기 때문에 더 비교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어뢰 스캔들 문서로 가서 보면 나온다.[43] 물론 준비탄 말고도 M1 톰슨 기관단총 등의 소화기들을 넣어놓는 경우도 많았다.[44] http://www.navweaps.com/Weapons/WNUS_5-25_mk10.php[45] Commander John D. Alden, U.S Navy: A Design and Construction History. Naval Institute Press. 88 페이지[46] Norman Freedman, U.S. Submarines through 1945:An Illustrated Design History, Annapolis, Mariland: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47 페이지[47] Rear Admiral Eugine B. Fluckey, 자서전 Thunder Below! 360~361 페이지[48] 원인은 앞서 말했듯이 공기 순환 벤트가 작살나버리고 부상 이후 디젤엔진을 돌려야 하는것 때문에 예열중인 상태인데다 각종 펌프들도 돌아가고, 전원변환기도 돌아가는 등 워낙 돌아가는게 많은데다 압력선체의 손상으로 인해 압력차로 온도가 올라갔으며 침수로 인한 압력 상승에 따른 함내 공기의 단열압축 현상 때문에 함내온도가 극심하게 치솟은것으로 추정된다.[49] 라이프(LIFE)지 태평양 해저전[50] 소련의 데카브리스트급 잠수함이나 프라브다급 잠수함, 카츄샤급 잠수함, 일본의 일부 순잠형, 해대형의 경우 실제로 작전요구성능대로 잠수를 했다가 응결수가 맺어서 떨어지는줄 알았는데 이 응결수(물론 응결수가 아니라 해수다.)에서 짠맛이 난다던가, 심하면 접합부에서 누수가 관찰되고 압력선체 강판이 이탈되는 사고가 벌어지고 용접 불량 등으로 인해서 용접선이 수압 때문에 누락이 되어버리거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리벳이 뜯겨져나가는 등의 문제가 생긴 것인데, 일본과 소련에서 이런 사고가 자주 발생한 이유는 용접 기술 부족의 원인이 크다.[51] 이론상 한계 잠항 심도는 157.5m이나 실전에서 확인된 바는 없다.[52] 이 설계는 굳이 미국 잠수함뿐만 아니라 일본 잠수함이나 소련 잠수함에서도 자주 볼수 있는데, 일본 역시도 미국과 같은 생각을 하고 이 설계를 적용했었고 소련의 경우에는 "페어워터 없어도 파도 좀 맞아주고 말지" 라는 말이 아무래도 안 통했기에(북극해다...) 꽤 많은 소련 잠수함들이 페어워터를 설치했다.[53] 이 실험결과는 전후 미 해군에서 노획한 일본 잠수함에 대한 시험운항 결과이다. 다만 센토쿠급이 긴급잠항 60초에 순잠 을형역시도 최대한 단축할 경우 37초까지도 가능했다.[54] 실제로는 레이더 전파의 역탐지 문제 등으로 인해서 비정기적으로 레이더를 X회 정도 회전시켜 주변을 감시하고 레이더를 꺼버리는 경우가 훨씬 많았기에 실제로도 조기에 레이더로 일본 항공기를 탐지하지 못해 위치가 발각되거나 공격을 받는 사례가 제법 많았다.[55] 실제로도 독일의 잠수함 개발 방향은 단순히 잠항심도나 잠항속도를 빠르게 하는 데 있지 않았고 슈노켈이나 발터기관, 수중항주 위주의 선체 등 가잠함이라는 제약을 극복하는 데 집중되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56] 2차 대전 당시 어뢰에 문제를 안 겪은 해군이 오히려 드문 편이지만 이건 워낙 유명하고 심각하다보니.[57] 이 교신을 바탕으로 발라오급 잠수함 SS-365 하드헤드가 표적인 특무수송선 만에이 마루를 격침시킨다.[58] https://blog.goo.ne.jp/laplonge/e/5ead09c960364cbe9dddd5f1b041b33e[59] 해체 소식을 뒤늦게 들은 유진 플럭키 제독과 바브의 승조원들은 '해체된다는 소리를 들었다면 돈을 투자해서라도 사왔을 것이다' 라면서 안타까움을 표했다고 한다.[60] 영국 해군의 1위는 U급 잠수함 10번함 HMS 업홀더(Upholder)의 9만 3천 31톤, 소련 해군의 1위는 S급 잠수함 13번함 S-13의 4만 4천 138톤이다.[61] 참고로 단함 격침톤수 1위는 발라오급 잠수함의 SS-311 아처피쉬가 일본군 항공모함 시나노를 잡아서 갖고 있는 70,000여 톤이며, 이 기록은 지금도 깨지지 않고 있다.[62] 사르고급 잠수함인 USS Seawolf (SS-197)도 전시되어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현존하는 시울프급과는 관계 없다.[63] 메인 전시물이 BB-60 앨라배마함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64] 아래에 소개될 이들은 자기보다 커다란 배들을 사냥하여 태평양의 일본해군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던 잠수함답게 해군수훈십자장(Navy Cross)도 다수 수훈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잠수함 지휘관들은 아주 크고 전략적이게 중요한 함선을 격침시켰을 때 해군수훈십자장을 수여받곤 했는데 예를들면 항공모함 다이호나 시나노를 격침시킨 잠수함 함장들이 해군수훈십자장을 수여받았다. 길모어 소령은 해군수훈십자장 2회 복수수훈, 플럭키 소령은 4회 복수수훈, 딜레이 소령은 4회 복수수훈 했다. 즉 이들은 모두 이미 잠수함대에서 맹활약하던 에이스들이다.[65] 후부키급 구축함 이카즈치호를 격침시킨뒤 올린 보고에서 Expended four torpedoes and one Jap destroyer!(어뢰 4발과 쪽발이 구축함 한척을 소모했습니다!)라는 보고를 올린것으로도 유명하다.[66] 사실 이런 구명정에 탑승하고 있거나 표류하고 있는 일본군에 대한 공격은 자주 있는 일이었다고 잠수함대 사령관인 록우드 제독이 회고하기도 했다. 참고.[67] 당시 이런 포로수송을 담당하던 일본 포로수송선에 대해 연합군은 지옥선(Hell Ship)이라고 불렀다. 왜인지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8] 실제로 매니토웍 조선소의 대표이사가 그 해군 장교의 진짜 삼촌이었다. 매니토웍 조선소는 1968년경 폐쇄하고 다른 조선소로 이전되어 현재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