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신금사목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형태적 특징
3. 체제 및 내용
4. 특성 및 가치
5. 참고 문헌



1. 개요[편집]


1788년 여인들의 가체를 금할 것을 규정한 법제서. 사목.


2. 형태적 특징[편집]


이 책의 표지서명은 『체금사목(髢禁事目)』이다. 본문은 판종(板種)이 2가지인데, 한문(漢文)은 금속활자(金屬活字)인 정유자(丁酉字)로 인출한 것이며, 언해문(諺解文)은 목판(木板)으로 인출한 것이다. 첫 장의 반곽이 25.0×17.0cm이며 계선이 있다. 한문의 경우 반엽(半葉)마다 10행(行) 18자(字)이고 언해문은 12행 22자이다. 본문의 주석은 모두 쌍행(雙行)으로 부기하였다. 판심의 어미는 상하향이엽화문어미(上下向二葉花紋魚尾)이며, 판심제(版心題)는 한문 부분은 ‘加髢申禁事目’, 언해 부분은 ‘가톄신금ᄉᆞ목’이라 되어 있다. 제1면(面) 상단에는 ‘奎章之寶’가, 하단에는 ‘京城府立圖書館藏書’가 찍혀 있다.

3. 체제 및 내용[편집]


『가체신금사목(加髢申禁事目)』은 한문본과 언해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내용은 1788년 당시 여인들이 가체(加髢)를 남용하자 이를 금지토록 하고 관련 세칙을 사목(事目)으로 규정하여 반포한 것이다. 전체 구성은 1788년 10월 3일 정조(正祖, 1752~1800)의 전교(傳敎)와 같은 날의 거조(擧條) 및 절목(節目)이다. 절목에 따른 금지 규정을 보면 사족의 처첩과 여항의 부녀들이 머리에 얹는 일을 금하되 상천(常賤)이나 공사천(公私賤) 등 신분에 따른 일부 예외, 혼례와 같은 특수한 사례 등을 구분하여 세칙을 명시하였고 그 외 미진한 거조는 추후에 마련한다고 되어 있다.

각각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전교」는 1788년 10월 3일 정조가 내린 것으로, 가체 금지의 취지와 비변사에서 가체 금지에 관한 사목을 제정하라는 내용이다. 「거조」에는 10월 3일 전교가 내려지기까지의 경위가 간략하게 수록되어 있다. 「절목」은 비변사에서 가체를 금지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정하여 정조에게 올린 것으로, 절목의 서(序)에는 가체를 금지해야하는 동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뒤이어 9개의 규정을 수록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사족(士族)의 처와 첩, 여항(閭巷)의 부녀자들이 무릇 다래를 땋아 머리에 얹거나[딴머리] 밑머리로 얹는 제도는 일절 금지. 둘째, 딴머리를 대신할 것으로 두 가닥을 각각 동글게 서린 낭자머리와 사양머리는 혼인 전에 하는 것이니 쓰지 못한다. 본머리에 작은 첩지와 달래를 조금 넣어 두 가닥으로 땋고, 끝을 댕기로 감아 올려 꺾어 쪽지게 하되 머리 위에 쓰는 것은 전대로 족두리로써 하되, 솜과 얇게 깎은 대나무를 물론하고 다 검은색으로 겉을 싸도록 한다. 셋째, 가체를 대신하는 족두리에 이전처럼 꾸며서 사치하는 것을 금지. 넷째, 어유미(於由味)와 거두미(巨頭味)는 명부가 항상 착용하는 것이고, 민간에서도 결혼할 때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금지하지 않음. 다섯째, 혼례 때 사용하는 칠보족두리를 세를 내주고 받는 것을 금지. 여섯째, 상천여인(常賤女人)으로 거리에서 얼굴을 내놓고 다니는 자와 공사천(公私賤)은 밑머리를 허락하되 첩지와 딴머리를 하는 것은 각별히 금지. 일곱째, 사목을 실시하는 기한은 서울에서는 동짓날, 지방은 공문이 도착한 지 이십일을 한해서 일제히 실시하도록 하라. 여덟 번째 규정은 사목이 잘 지켜지지 않을 경우, 그 가장인 신하를 벌주겠다는 내용이다. 마지막에는 아홉 번째는 다 못한 조건은 좇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종로도서관 고문헌 검색시스템에서 원문 확인이 가능하다.

4. 특성 및 가치[편집]


가체는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 넣는 딴 머리로, 흔히 ‘다래’라고 하나 표준어는 ‘다리’이다. 이 책에서는 “머리”로 표기하였다. 『가체신금사목』은 한문 원문과 언해가 함께 수록되어 있어 18세기 후반의 차자표기와 한글표기, 복식사와 생활사 연구에 도움이 된다. 현재 규장각, 장서각,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등에 현존본이 남아있으며 그 간행시기는 1788년의 내사본으로 확인된다.

※이 문서는 종로도서관 인문사회과학실에서 제공합니다.


5. 참고 문헌[편집]


이윤미, 조선후기 가체의 유행과 금지령 시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 대학원, 2011.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8:17:09에 나무위키 가체신금사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