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맹어호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의미
3. 설명
4. 출전
5. 유래
6. 현실의 사례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고사성어





가혹할
정사
사나울
어조사


언어별 명칭
중국어
kē zhèng měng yú hǔ(커정멍위후)
일본어
かせいはとらよりもたけし(카세이와 토라요리모 타케시, 苛政は虎よりも猛し)


2. 의미[편집]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3. 설명[편집]


가렴주구와 함께 특히 지방에서, 관리들이 혹독하게 세금을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고, 갖가지 명목으로 재물을 뜯어내는 등의 폭정을 저질러 백성들이 살아가기 힘든 정치적 상황을 일컫는 말이다.

비슷한 의미로는 무이이야가 있다.

4. 출전[편집]


예기》 <단궁하편(檀弓下篇)>


5. 유래[편집]


【원문】 孔子過泰山側 有婦人哭於墓者而哀 夫子 式而聽之 使子路問之曰,

子之哭也 壹似重有憂者. 而曰 然 昔者 吾舅死於虎 吾夫又死焉 今吾子又死焉.

夫子曰, 何爲不去也. 曰 無苛政. 夫子曰, 小子識之. 苛政猛於虎也.

【번역】 공자(孔子)께서 제자들과 태산 기슭을 넘을 무렵, 어떤 부인이 무덤들 앞에서 슬퍼하며 울고 있었다. 공자께서 이 소리를 듣고 절을 한 후, 제자인 자로(子路)에게 그 사연을 물어 보라고 했다.

자로: "무슨 큰 근심이 있으십니까?"

이에 부인이 깜짝 놀라 대답하기를, "예, 너무 무섭고 슬픈 곳인지라 울고 있습니다. 제 시아버님과 남편이 호랑이 때문에 돌아가셨고, 이번에는 아들까지도 여기에 묻었습니다."

이에 공자께서 물으시길, "그런데도 왜 떠나지 않는 겁니까?"

부인: "이곳에는 가혹한 정치[1]

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를 듣고 공자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공자: 모두들 이것을 꼭 기억해 두거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가정맹어호)이니라.

의 구절로, 춘추 시대 말, 공자의 고국 노나라 조정의 실세였던 대부 계손자의 폭정을 비판하는 비유를 적은 것이다.


6. 현실의 사례[편집]


폭정이 일상에 빈곤이 만연한 에리트레아, 북한, 미얀마, 아프가니스탄, 시리아 등을 떠나 미국, 유럽 등에서 난민으로 인정받기 위해 전 유라시아 대륙을 떠도는 사람들의 삶은 기본적인 법과 질서도 지켜지지 않는 수준이지만, 그들은 고국의 가혹한 독재 정치보다 가혹한 환경이 낫다며 난민행을 택하고 있다.

19세기 세도정치 당시 조선의 부정 부패로 인해 수탈과 토색질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활고를 겪게 되자 청나라의 영토에 속한 만주 일대[2]로 이주한 조선 농민들의 사례[3]와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에 의해 토지를 빼앗기고 일본인 지주들과 일본제국에 결탁한 친일 조선인들의 착취 및 수탈로 생활고를 겪게 되어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의 사례도 가정맹어호에 해당된다.

7. 관련 문서[편집]


  • 권력
  • 호환: 이 사자성어에서 '호랑이'는 호랑이 그 자체가 아닌 호랑이에 의한 재해인 '호환'을 의미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3 20:09:43에 나무위키 가정맹어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3:31:18에 나무위키 가정맹어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못된 벼슬아치들로부터 세금을 혹독하게 징수당하거나 재물을 빼앗기는 일 등을 의미한다.[2] 간도,동북 3성, 내몽골 동부와 연해주(러시아).[3] 하지만 거기서도 다를 게 없었다. 최서해가 쓴 탈출기를 봐도 청나라인 및 러시아인 지주들에게 착취, 수탈당하였던 것은 똑같았었고 최서해 본인부터도 간도에서 궂은 일을 하면서 소작을 가혹하게 일하면서도 가난에 시달려 아내가 둘이나 달아났고 다른 아내는 요절했으며, 최서해도 31살로 요절한 원인이 이 가난 탓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