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衰의 통자 '도롱이 사'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蓑#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쇠할 쇠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10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スイ


일본어 훈독


おとろ-える



-


표준 중국어


shuā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衰는 '쇠할 쇠'라는 한자로, '쇠하다', '약하다', '상복'을 뜻한다. '상복 최', '도롱이 사'라는 다른 훈음도 있으나 잘 쓰이지 않으며, '도롱이 사'라는 훈음으로서는 (도롱이 사)가 주로 쓰인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쇠하다



중국어
표준어
shuāi
광동어
seoi1
객가어
sôi
민북어

민동어
sŏi
민남어
soe
오어
se (T1)

일본어
음독
スイ
훈독
おとろ-える

베트남어
suy, thôi

이 글자는 (도롱이 사)의 본자이다. 원래 衰 자는 마른 풀을 엮어 만든 우비, 즉 도롱이의 형태를 본떠 만든 상형자이며, '도롱이'라는 뜻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후 가차되어 '쇠하다', '약하다'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자 여기에 (풀 초)를 더하여 본래의 뜻을 나타내는 (도롱이 사)를 만들었다.

유니코드는 U+887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WMV(卜田一女)로 입력한다.

자형은 두 가지 모두 인정되는데, 하나는 슬플 애()에 선 하나를 추가한 형식; 즉 가운데가 ㅁ 모양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가운데가 소 축() 모양인 것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1.1. 쇠[편집]




3.1.2. 최[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약할 약)


5. 상대자[편집]


  • (굳셀 강)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곤룡포 곤)
  • (쌀 과)
  • (속 리)
  • (성씨 배)
  • (모을 부)
  • (더러울 설)
  • (도울 양)
  • (슬플 애)
  • (우거질 유, 소매 수)
  • (옷 의)
  • (속마음 충)
  • (기릴 포)
  • (겉 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21:3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