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낳을 산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1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サン


일본어 훈독


う-む, う-まれる, うぶ






표준 중국어


ch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본자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産은 '낳을 산'이라는 한자로, '낳다', '생산(生産)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낳다



중국어
표준어
chǎn
광동어
caan2
객가어
sán
민북어
sǔing
민동어
sāng
민남어
sán[文] / sóaⁿ[白]
오어
tshe (T2)

일본어
음독
サン
훈독
う-む, う-まれる, うぶ

베트남어
sản

뜻을 나타내는 (날 생)과 음을 나타내는 (낳을 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2.1. 본자[편집]


본자인 產은 한문 교과서에만 쓰고,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에서는 반대로 속자인 産가 준5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다만, 검정시험과 별개로 항간엔 産으로 더 많이 통용될 뿐, 엄연히 말해서는 속자다. 2017년에 적용되는 '2015 개정 표준자형 고시'에서 대한민국에서도 產을 표준자형으로 삼게 되었다. '선비 언'도 彥로 바꿔버렸다. 가장 원형에 가까운 강희자전 원형을 따른 셈이다. 이외에도 御, 禦 등도 살짝 수정된 바가 있다. 당장 모양자를 갖는 (보살 살)은 產인 상황.

産을 중국식 간체자에서는 구성자인 产만을 간체자로 삼는다. 중국에서는 文+厂의 형태인 것으로 쓰진 않는다. 産은 유니코드에는 U+752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竹竹手一(YHHQM)로 입력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낳을 만)
  • (날 생)
  • (낳을 탄/거짓 탄)


5. 상대자[편집]


  • 歿(죽을 몰)
  • (죽을 사)
  • (죽을 운)
  • (훙서 훙)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선비 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4:45:5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