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시원할 상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11획



미배정



1급




-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さわ-やか, あき-らか, たが-う




-


표준 중국어


shuǎ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자형
3. 상세
4. 용례
5. 이체자
6. 유의자
7. 상대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9.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爽은 '시원할 상'이라는 한자로, '시원하다', '상쾌(爽快)하다' 등을 뜻한다.

2. 자형[편집]




3.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723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KKKK(大大大大)로 입력한다.

(밝은모양 리)와 (클 대)가 합쳐진 회의자라는 건 민간어원이다.

부인의 경우에는 유방을 모티브로 삼아 그 주위에 빙 둘러 문신을 했다. 갑골복사나 은나라 금문에는 선왕의 왕비(, [후])를 가리켜 #[1]

라고 했다. 이 글자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들이 있었다. 나진옥(羅振玉)은 그 문양 부분을 두 개의 火(화) 형상으로 보았고, 당란(唐蘭)은 양 겨드랑이에 皿(명, 그릇)을 끼고 있는 형태라고 보았다. 기이한 술수를 부리는 재주꾼으로 나타낸다고 본 해석이다. 곽말약은 두 젖가슴의 상징으로 여겨, 母(모)의 이문(異文, 이체자)이라고 보았다. 모두 그 문양이 문신이란 사실에는 생각이 미치지 못 했다. 부조(父祖)를 문조문고(文祖文考)라고 하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 글자는 선왕의 왕비(王妣)를 부르는 말이엇다. "大乙(대을)[2]#妣(비) 丙(병)". "武丁(무정)의 #妣(비) 辛(신)"과 같은 식으로 말했다. 爽(상)이나 奭(석)도 그 문신의 형상을 표시한 것으로, 두 글자 모두 '분명하다, 선명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문신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듯하다. 두 젖에 침으로 문신을 가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고통을 수반했을 것이다. 그것을 나타내는 䀌(진, 슬퍼하다)이란 글자가 있어서 『설문해자』에서는 '傷痛(상통)이다.'라는 자훈을 부여했다.

『한자 -기원과 그 배경-』,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沈慶昊) 옮김, AK 커뮤니케이션즈, 2017, 271~272 pp.


이 남성의 가슴에 새긴 문신을 본뜬 한자인 것처럼 이 한자는 여성의 슴가에 새긴 문신을 본뜬 한자다. 남성과 달리 을 비롯한 여러 해서로 갈라졌다.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4.4. 지명[편집]




4.5. 창작물[편집]




4.6. 기타[편집]


아이스크림 의 일본 명칭이 爽(そう)다.


5. 이체자[편집]


  • 𠁊[⿻夾丛](U+2004A)
  • 𠎛[⿳亼㸚兀](U+2039B)
  • 𠙠[⿳人𠈌几](U+20660)
  • 𠷹[⿰口相](U+20DF9)
  • 𡑽[⿰土⿱⿻十㸚大](U+2147D)
  • 𡙁[⿻大𠈌](U+21641)
  • 𤕤[⿱⿻土㸚八](U+24564)
  • 𦄍[⿰糸爽](U+2610D)


6. 유의자[편집]


  • (시원할 창)


7. 상대자[편집]


  • (따뜻할 경)
  • (따뜻할 구)
  • (따뜻할 난)
  • (따뜻할 난/날)
  • (따뜻할 문)
  • (따뜻할 섭/녑)
  • /(따뜻할 온)
  • 𤆏[⿰火亐](따뜻할 와)
  • /(따뜻할 욱)
  • (따뜻할 유)
  • /(따뜻할 훤)


8.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𠉭(도둑 도)[3]
  • (클 석)
  • (낄 협)


9.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나무더부룩할 상)
  • (나쁠 상)
  • (높고밝은땅 상)
  • 𥱶[⿱𥫗爽](대의모양 상)
  • (매 상)[4]
  • 𠼙[⿰口爽](목구멍 상)
  • (물맑을 상, 문지를 창)
  • (벌레이름 상)
  • 𥡠[⿰禾爽](벼모양 상)
  • (성품밝을 상)
  • 𦄍[⿰糸爽](시원할 상)
  • (좋은말 상)
  • 𧴅[⿰豸爽](짐승이름 상)
  • 𠗾[⿰冫爽](차가운모양 상)
  • (추할 상/창)
  • (풀이름 상)
  • 𧫗[⿰言爽](딴말 차)
  • (그릇닦을 창, 기왓장 상)
  • (닦을 창)
  • 𠞮[⿰爽刂](상할 창)
  • 𡻯[⿰山爽](서로닿은듯할 창)
  • (찌를 창)
  • (상)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4:12:1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문은 비슷한 형태의 갑골문이다.[2] 그러나 전국시대 이전의 "태"로 읽음이 마땅하다.[3] (도둑 도)의 고자[4] (매 상)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