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일시 :



익을 숙

부수
나머지 획수


, 11획


총 획수


15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ジュク


일본어 훈독


う-れる, う-む, こな-す, こな-れる,
つくづく, つらつら, な-れる



-


표준 중국어


shóu, shú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2.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熟은 '익을 숙'이라는 한자로, '익다', '익히다', '익숙하다', '성숙(成熟)하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익숙할 숙'이라고도 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는 U+719F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戈火(YI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누구 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디는 孰이 '익다'를 뜻했으나, 가차되어 '누구'를 뜻하게 되는 것으로 바뀌자 원 뜻을 보존하기 위해 이를 보완하는 火를 덧붙여 만들어졌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능숙(熟)
  • 미숙(熟)
  • 대령숙수()[1]
  • 반숙(熟)
  • 백숙(熟)
  • 성숙(熟)
  • 숙고(熟)
  • 숙녀(熟)
  • 숙달(熟)
  • 숙련(熟)
  • 숙면(熟)
  • 숙성(熟)
  • 숙수(熟)
  • 숙어(熟語)
  • 숙지(熟)
  • 숙취(熟)
  • 숙회(熟)
  • 완숙(熟)
  • 원숙(熟)
  • 조숙(熟)
  • 팽두이숙(熟)
  • 친숙(熟)


3.2. 기타[편집]


'익숙하다'나 '숭늉'(<熟冷)도 이 글자에서 온 것이다. 단 '익숙하다'는 현재 순우리말로 취급된다.

이민족에 대하여 (자기들 기준으로) 문명화된 이들을 '熟(숙)-'으로, 그렇지 않은 이들을 '()-'으로 부르곤 했다. '숙여진/생여진', '숙번, 생번' 등이 그 예이다.


4. 유의자[편집]


  • (익숙할 관)
  • (친압할/익숙할 압)
  • (익숙할 용)
  • (여물 임/념)[2]
  • 𢸥(익숙할 찬)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글방 숙)
  • (돌 이름 숙)
  • (더울 열)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3:04:4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조선시대 궁중의 남자 요리사.[2] '여물다' 이외에 '익다'라는 뜻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