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나 짐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0획



미배정



1급







일본어 음독


チン


일본어 훈독


きざ-し, われ







표준 중국어


zhè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자형
4. 용례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9. 기타



1. 개요[편집]


朕은 '나 짐'이라는 한자로, '나'를 뜻하며 천자의 자칭으로 쓰인다.


2. 상세[편집]


갑골문에서는 배(舟)와 막대기(丨)를 쥔 두 손(廾)으로 나타나 있는 데, 일찍이 '1인칭소유격'의 뜻으로 가차되었다.[예시] 춘추전국시대 때는 사용되지 않다가, 진시황이 자신을 칭할 때 朕을 쓰면서부터 황제의 자칭으로 의미가 변하게 된다.

유니코드에는 U+671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TK(月廿大)로 입력한다.


3. 자형[편집]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 (朕)
  • 물개짐(朕)
  • 입짐(朕)
  • 조짐(朕)
  • 지짐(朕)
  • 참짐(朕)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4.4. 지명[편집]




4.5. 기타[편집]




5. 유의자[편집]


  • 조짐
    • (조짐 기)
    • (억조 조)[A]


6. 상대자[편집]




7.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연이을 련)[1]
  • (웃음 소)
  • (물가언덕 일)
  • (눈동자 진)
  • 𦨶[⿰舟关](나 짐)[2]
  • (누에시렁대 짐)
  • (관)
  • 𠈪[⿰亻关](송)
  • 𭑹[⿰女关]
  • 𫕀[⿰⻖关]
  • 𢬈[⿰扌关]
  • 𬀲[⿰日关]
  • 𥒆[⿰石关]
  • 𰣌[⿰男关]
  • 𧧤[⿰言关]
  • 𨈽[⿰身关]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눈썹그릴 대)[3]
  • 𨃗[⿰月⿱𠔉足](가는모양 등)
  • (노/꿰맬 등)
  • (등사 등)
  • (물솟아오를 등)
  • (베낄 등)
  • (오를 등)
  • (향주머니 등)
  • 𠗲[⿰月⿱𠔉冫](쌓인얼음 릉)
  • 𣎎[⿰月⿱𠔉仌](업신여길 릉)
  • /𣎒[⿰月⿱𠔉田](밭두둑 승/증)
  • (이길 승)
  • (잉아 승)
  • (남을 잉/승/싱)
  • (예쁜눈 잉)
  • (줄 잉)
  • (누에시렁대 짐)[4]
  • (물흐르는모양 짐)
  • (권)
  • 𰯙[⿰月⿱𠔉圭]
  • 𭩃[⿰月⿱𠔉夂]
  • 𪱪[⿰月⿱𠔉火]
  • 𭩅[⿰月䄅]
  • 𧜜[⿰月⿱𠔉衣]
  • 𰯈[⿰月拳]


9. 기타[편집]


HSK에 출제되지 않는 한자이지만 중국 사극영상물에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이 한자를 모르는 중국인은 거의 없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0:00:0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예시] 朕邦(우리나라)[A] '조짐(兆朕)'이라는 뜻이 있다.[1] (연이을 련)의 간체자[2] 朕(나 짐)의 동자[3] (눈썹그릴 대)의 동자[4] (누에시렁대 짐)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