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잘 침

부수
나머지 획수


, 11획


총 획수


14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ね-る, ね-かす,
みたまや, みにく-い, や-める






표준 중국어


qǐ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寢은 '잘 침'이라는 한자로, '자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5BE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VME(十女一水)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 수록된 형태는 지금은 이체자로 취급하는 寑(U+5BD1)으로, 훈을 나타내는 (집 면)과 음을 나타내는 (침노할 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옛 자형에서는 侵 대신 빗자루를 뜻하는 帚(비 추)만 들어가 있다. 이에서 집을 빗질하고 쉰다는 자원이 나온다.[1] 현재 자형은 寑의 人을 이 대신한 격인데, 대개 爿은 사람이 잘 때 눕는 평상으로 해설한다.[2]

설문해자에는 또 다른 글자로 㝲(U+3772)가 수록되어 있다. 宀(집 면)+疒(병들 녁)+夢(꿈 몽)이 합한 㝱(사실 설문해자에서 이걸 夢과 다른 글자 취급해서 그렇지 夢의 이체자다)과 帚(비 추)가 합한 글자로, '병들어 누울 침'으로 풀이하여 寢과는 다른 글자로 해설한다. 그러나 강희자전에서는 이 구분을 무의미하다고 보아, 㝲을 寢의 동자로 취급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4. 유의자[편집]




5. 상대자[편집]


  • (깨달을 각, 깰 교)
  • (깰 성)
  • (잠 깰 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잘 매)
  • (잠 깰 오)
  • (잠길 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6:18:2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18037.html[2] http://www.hanzi567.com/show/3766.html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