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오랑캐 이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えびす, えみし, ころ-す,
たい-らか, たい-らげ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夷는 '오랑캐 이'라는 한자로, '오랑캐', '평평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U+593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大弓(KN)으로 입력한다.


矢(화살 시)와 己(몸 기)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오랑캐
    • (오랑캐 곤, 섞일 혼)
    • (오랑캐 만)
    • (오랑캐 융)
    • (오랑캐 적)
  • 평평하다
    • (평평할 견)
    • (평평할 노)
    • (평평할 만)
    • 𣱈(평평할 민)
    • (평평할 척)
    • (평평할 평)
    • (평평할 피)


5. 상대자[편집]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7. 여담[편집]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1651년(효종 2년) 1월 27일 청나라가 진주사의 표문에 적힌 夷(건청곤이, '하늘은 맑고 땅은 골라졌다')라는 구절을 가지고 청이(淸夷, 청나라 오랑캐)라 비꼬았다고 문제삼자 조선 측에서 오랑캐가 아닌 '고르다', '평평하다'라는 뜻이라고 해명하느라 애먹은 일화를 소개하고 있다.[1][2]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2:40:3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사건에 대해서 효종은 '한심하다' 라는 평을 남겼는데 기록에서도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청나라에서 벼슬살이하고 있는 한인(漢人)들에 의한 것이라 하니 그렇게 느낄만도 하다.[2] 참고로 청나라에서는 건륭제 시절에 나중에 이 글자를 쓰기 힘들어지는데 이 건청곤이 사건과 마찬가지로 이 글자가 오랑캐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융, 만, 적, 호, 노 등의 글자들도 비슷한 취급을 받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