廿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廿(BEMANI 시리즈) 문서
廿(BEMANI 시리즈)번 문단을
廿(BEMANI 시리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숫자 한자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廿(이십)
(삼십)
(사십)
()


-
-

1(이백)
()
()
()
()
-

-
-
-
()
()
()
()
()
-
-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廿
스물 입

부수
나머지 획수


, 1획


총 획수


4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ジュウ


일본어 훈독


にじゅう




-


표준 중국어


ni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용례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스물 입(廿).' 스물을 뜻하는 한자다. 유니코드는 U+5EF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廿)로 입력한다.

이 두 번 합쳐져 생긴 회의자다. 비슷한 자로 (서른 삽), (마흔 십) 등이 있다.

이체자로 아래쪽 획이 빠진 卄가 있다. KS X 1001에는 廿이 없고 卄이 있다.

주로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에서 쓰인다.[1] 한국에선 1960년대 초까지는 신문 기사에서 검색되는 등 어느 정도 사용되었지만 그 이후로는 잘 안 쓰이고, 일본에서도 신사나 사찰과 같은 곳에서 옛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쓰는 경우를 빼면 일상에선 二十으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 한국에선 숫자를 한자로 써도 그냥 이십(十)이라고 두 글자로 쓰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廿은 부수이지만 정작 卄은 十 부수이다.

廿
𠥻
스물 입
병 질

자의 옛 자 중에 이 한자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자도 있다. 𠥻(이미지)는 부수에 속한다.


2. 용례[편집]



2.1. 단어[편집]


  • 廿 (20, 하츠카)
  • 廿四年 (24년)


2.2. 인명[편집]




2.3. 지명[편집]


  • 입천정(卄)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92호.
  • 히로시마현 하츠카이치시(廿)
  • 도쿄도 하치오지시 토도리마치(廿)


2.4. 창작물[편집]




3.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4:23:54에 나무위키 廿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Windows 10의 추가달력 기능을 사용하면 음력을 한자로 표시해주는데 이 때 21일부터 29일까지를 廿一~廿九로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