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쌍자음
· · · ·
겹받침
· · · · · · · · · ·
모음
· · · · · · · · · ·
옛한글 자모


1. 개요
2. 합자
3. 여담



1. 개요[편집]



이름

분류
단모음
음성
i~ɨ

한글의 24번째 낱자이다 모음자이다. 발음은 ''라고 내며, 서울 사투리에서는 평순 고모음 [i]이다.[1] 지역별 방언에 따라 혀의 위치가 약간씩 달라진다.

간혹 감탄사에서는 [ji]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자세한 건 여담 섹션에서 서술.

중세 한국어에서는 중성 모음으로 분류되었지만 현대에는 음성 모음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중성 모음의 개념이 사라졌다.

훈민정음에서는 천지인(天地人)중 人(사람)을 본따 만든 글자로, 하늘(양성, )과 땅(음성, ) 사이에 있는 사람을 본떴으니 중성 모음이라고 설명한다. 이런 성질 덕분에 ㅣ는 양성 모음과 음성 모음에 모두 합쳐질 수 있다.


2. 합자[편집]


다른 모음과 합쳐질 때는 딴이라고도 부른다. 움라우트랑 비슷한 개념. 현대 한국어에서는 ㅣ가 다른 모음과 결합할 때 ㅣ가 반드시 마지막에 온다.
  • 양성 모음
  • 음성 모음


3. 여담[편집]


보통 로마자로는 i로 옮겨 적지만 영어에서 철자 i의 발음이 다양하기 때문에 영어의 철자-발음 대응 관계에 맞춰 ee로 옮기는 경우도 많다.

라틴 문자 L소문자 l이나 i의 대문자 I와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예시] 게다가 후자는 발음마저 같으니. 하지만 이들 모두 기원이 완전히 다르다. 바탕체로 쓰면 셋 다 대충 봐도 구별 가능하지만 죄다 밋밋하게 쓰는 고딕체에선 구별 불가능.

현대 한국어에선 ㄷ, ㅌ 끝소리를 뒤이어서 모음 ㅣ를 포함하는 조사접미사 등의 종속적 관계를 가진 형식 형태소가 나오면, ㄷ, ㅌ이 구개음화하여 ㅈ, ㅊ으로 소리가 바뀌어서 난다. 발음만 바뀌는 것이기 때문에 ㄷ, ㅌ 표기는 그대로 간다. 예를 들면 굳이 → 구지, 같이 → 가치, 밭이 → 바치, 맏이 → 마지 등... 물론 이 구개음화를 피하고 어거지로 ㄷ, ㅌ를 발음하는 사람이 없는 건 아니다.

모음 ㅣ로 인해 앞 음절의 ㅏ, ㅓ, ㅗ, ㅜ, ㅡ가 각각 ㅐ, ㅔ, ㅚ, ㅟ, ㅣ로 바뀌기도 한다(예: 아기 → 애기 등). 이 현상을 ㅣ 역행 동화라고 한다.

감탄사에서는 [ji]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강세가 붙게 되는 감탄사 특성상 i에 강세가 붙어 접근음화하기 때문. 예시로, "잉~ 나한테만 그래"의 '잉'이 [jiːɲː]이다. 원래는 옛한글 ''로 나타냈다는 말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4:05:3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의 /i/보다 전설성이 약하다.[예시] l I ㅣ(L 소문자-i 대문자- 한글 ㅣ 순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