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일시 :

현대 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현대 한글 겹자모
자음
쌍자음
· · · ·
겹받침
· · · · · · · · · ·
모음
· · · · · · · · · ·
옛한글 자모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2. 과거 어휘
3. 인터넷 축약어


1.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편집]



이름
비읍
분류
자음(예사소리)
음성
어두
b[1]
[예사소리]
어중
b[2]
종성
p[3]
종성+모음앞
b[4]
자음동화
m[5]
경음화
p[6]
격음화
[7]

한글 자모의 여섯 번째 글자. 비읍이라고 읽는다. 두 입술을 다물었다가 벌려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려 내는 양순 파열음. 종성일 때는 입 안의 공기를 밖으로 터트리지 않고 발음한다. 된소리로는 이 있으며 쌍비읍이라고 부른다. 북한에서는 된비읍이라고 부르는데, 조선어 신철자법 제정 당시에는 삐으ퟦ[8]으로 불렀다.

번호판에 가장 많이 쓰이는 자음이다. 바, 배는 영업용, 버, 보, 부는 자가용 차량에 쓰인다.


2. 과거 어휘[편집]


용비어천가 등의 문헌에서는 속격으로 ㅅ 대신 여러 다른 자음들이 쓰이기도 했다. ㅁ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류에 붙어 ㄷ, ㅂ, ㅅ, ㅈ, ㅊ, ㅎ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쓰였다.


3. 인터넷 축약어[편집]


영단어 bye bye의 축약어로 쓰인다. 대개 ㅂㅂ 또는 ㅂㅇ 또는 ㅂ2, ㅃㅇ 등으로 쓰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3:43:5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예사소리] 관습적으로 무기음으로 표기하나, 사실 현대 서울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ㅍ과는 멀지만 더 가까운 기식을 가지며, ㅍ과 차별되는 주요 변별 자질은 낮은 음조(F0)이다.[2] 도깨[3] 쟁이[4] 을[가'''블'''\][5] 네치킨['''굼'''네치킨\][6]기[곱'''빼'''기\][7] 히다[자'''피'''다\][8] 으+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