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XP/개발 (r114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Windows XP

Windows XP의 개발 과정을 다룬 문서이다.

1. 개요
2. 상세
3. Windows Codename Neptune
3.1. 빌드 목록
4. Windows Codename Odyssey
5. Windows Codename Whistler
5.1. 빌드 목록
5.1.1. x86
5.1.2. 서비스팩 빌드
5.1.3. x64
5.1.4. IA64
5.2. 가짜 시작음과 종료음
6. 역대 베타 부팅화면


1. 개요[편집]


Windows의 개발
NTNT 5.0Whistler.NET Server
DOSMillennium
Windows XP의 개발 과정을 다룬 문서이다.


2. 상세[편집]


2000에서 부터 XP까지 개발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마이크로소프트1995년부터 Windows 라인업을 95, 98 등으로 이루어진 9x 계열(가정용)과 NT 4.0 등으로 이루어진 NT 계열(기업용)으로 판매했다.

하지만 9x 계열의 경우 잦은 블루스크린, 메모리 누수 등의 여러 문제가 있어 안정성과는 거리가 먼 편이었고 개발도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었다. Windows 98이 그나마 안정성이 있다고 평가받는 건 전작이 은근 삽질한 게 좀 있었다. 95는 분명 최초여서 그런지 잘 팔렸던 건 맞는데, 95번 재부팅해야 그나마 좀 쓸 수 있다는 드립이 있을 정도로 블루스크린이 많았다. 98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95에 비해 블루스크린을 줄이는 데 성공하며 안정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은 것이다. 이 문제는 XP가 한창 개발 중이던 2000년 거하게 터지고 만다.

한편 MS는 1996년에 발표한 Windows NT 4.0가 보안과 버그가 태산인 것과는 별개로 안정성이 호평이라는 것에 주목한다. 확실히 NT는 블루스크린 보기가 힘들었고, 운영체제 자체도 가벼웠던 편이라 가정용으로 포팅하기도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MS는 결국 NT 커널 기반의 가정용 OS를 만들기로 결정했고, 당시 개발 중이던 Windows NT 5.0의 개발진 일부를 빼내어 프로젝트 넵튠(Neptune)이라는 코드네임으로 개발을 시작한다. 이 때가 1999년이었다.


3. Windows Codename Neptune[편집]


파일:external/adcb5b775d92a68702448ce6c999a43d74ca8d3f62fe1eb01c237056c8182d3e.jpg

Neptune 5111의 부팅 스크린

넵튠은 해왕성이라는 뜻이다.

정황상 1999년 6월 이전부터 개발된 것으로 보이며 마이크로소프트는 동년 7월 2일에 개발 사실을 공식 인정했다. 버전은 5.5로 Windows 2000(5.0)보다 0.5 오른 버전이며 빌드는 5000번대를 부여받았다. 이를 보았을 때 이론상에서 Windows XP에서 넵튠의 설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론상으로만 되고 현실로는 씨알도 안 먹힌다는 게 함정 그리고 윈도우 롱혼 베타 2는 5000대 빌드를 사용하나 겹치지는 않는다.5.5.5048,5.5.5384

Windows 2000 퍼스널 에디션으로 개발됐다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넵튠의 빌드를 2000과는 전혀 다른 번호대에 배정했고 버전도 5.0이 아닌 5.5로 업그레이드되어 있다. 게다가 내부 문서에는 추후 서버 에디션까지 만들 계획이었다는 내용이 있다. 이를 보았을 때 마이크로소프트는 Windows 2000과는 다른 새로운 Windows 제품을 출시하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새로운 로그인 화면과 사용자 계정, 도움말 센터가 추가된 것이 관찰됐고, 장기적으로는 서버, 64비트, 유닉스 지원 등이 계획되어 있었다. 정식 버전 출시는 2000년 3월로 계획되어 있었다. 이는 이례적으로 빠른 출시일인데, 보통 Windows 제품군의 개발기간은 2~3년이 소요된다. 2000년 3월이면 1999년 7월 기준으로 1년도 안 돼서 나오는 것이다. 에디션으로는 크게 홈 에디션, 프로페셔널, 서버 이 3개로 나뉘어 출시하기로 기획되어 있었다.

2000년 1월 21일 MS는 개발팀 해체를 공식 발표, 개발팀은 재편되어 휘슬러 개발을 시작하게 된다. 그 외에 일부 프로젝트 밀레니엄(Millennium) 빌드들에서 넵튠의 코드가 검출되거나 일부 영향을 받은 요소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개발팀 일부는 밀레니엄 개발팀으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개발팀 해체 사유는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

넵튠의 마이너 업데이트로 트리톤(Triton)도 개발 중이었다. 여기서 트리톤은 해왕성의 위성을 말하는 것이다.

개발 빌드 중 유일하게 풀린 빌드가 5.5.5111 빌드로 사용자 계정과 로그인 화면, 도움말 센터 등이 있다. 인터넷 좀 뒤져보면 유출된 iso 설치본을 구할 수 있다. 베타버전답게 안정성은 너무 기대하지 말자. 유출 버전은 영문판이지만, Windows 2000 한글판 CD를 넣고 구성 요소 설치를 하면 불안정하지만 한글 입출력까지는 가능해진다. 한국어와 다른 언어가 언어 선택 창에 있지만 한국어는 비활성화되어 있다. 다만 몇몇 언어는 활성화되어 있다.


3.1. 빌드 목록[편집]



볼드체: 사진 유출 등으로 존재가 확인된 빌드취소선: 조작 내지 개발진들이 빌드 번호만 작성한 빌드

공식 릴리즈
정식 출시

빌드 목록은 베타아카이브와 베타위키 등을 참조하였다.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마일스톤 15.50.50001999년 6월 3일경X존재 자체가 매우 불명확하여 커뮤니티에서 이 빌드의 존재를 두고 키배를 벌이기도 한다. #[1]
5.50.5022.11999년 6월 13일 이전X
5.50.5056.1-X2015년 연말 유출되었다며 사진 등을 공개했지만 빌드 5111의 수정 버전으로 판명났다.
5.50.5067.11999년 9월 20일경X밀레니엄 빌드 2380.1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마일스톤 2[2]5.50.5082.11999년 10월 12일~26일경X
5.50.5086.11999년 10월 12일~26일경X밀레니엄 빌드 2404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50.5094.11999년 10월 26일~11월 8일경X밀레니엄 빌드 2416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50.5095.11999년 10월 26일~11월 8일경X넵튠 빌드 5111에서 버전 업 없는 일부 프로그램 코드가 이 빌드로 존재한다.
5.50.5096.11999년 10월 26일~11월 10일경X밀레니엄 빌드 2416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50.5099.11999년 11월 8일~17일경X밀레니엄 빌드 2419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마일스톤 35.50.5111.11999년 12월 10일O개발자 릴리즈로 99년 12월 배포되었다. #
5.50.5111.61999년 12월경O마이크로소프트 채널9 Defrag Tools #143 - Raymond Chen - Microsoft Archives Part 1 영상에서 잠깐 등장한다.[3] 내부 개발 버전이라 5111.1과는 큰 차이는 없다.[4] 여기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5.50.5116.11999년 12월 25일 이전X밀레니엄 빌드 2452~2495 등 여러 빌드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50.5117.11999년 12월 25일 이전X밀레니엄 빌드 2470~3000 등 여러 빌드에서 코드가 검출되었고, 휘슬러 빌드 2211~2223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에서 나왔는데 넵튠이 휘슬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5.50.5118-X휘슬러 빌드 2223~2250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역시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에서 나왔다.
5.50.5119-X휘슬러 빌드 2267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에서 검출되었다.
5.50.5120-X휘슬러 빌드 2430~2454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에서 검출되었다.
5.50.5179.1-X밀레니엄 빌드 2394에서 검출되었다. 하지만 빌드 2394가 나온 것은 1999년 9월경이고 넵튠 빌드 5111이 99년 12월 나온 것으로 볼 때 시간이 전혀 맞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빌드 5079의 오타라거나 버그라는 설이 있다.

제대로 유출된 빌드가 5111 하나뿐이라 전반적인 개발 과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빌드태그가 없기에 코드가 검출됐음에도 컴파일 날짜를 정확히 알 수 없다. 보통 밀레니엄 빌드에서 검출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검출된 빌드의 컴파일 날짜를 기준점으로 보통 잡는다.

휘슬러 빌드 2223부터 검출되는 넵튠 빌드(5118~5120[5])의 경우 버그 보고서 등의 프로그램 문제로 인해 실제 빌드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개발진이 온전한 작동 등의 문제로 인해 버전 번호만 새로 입력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휘슬러의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이 넵튠에서 포팅해왔기 때문. 이후 버그 보고서 프로그램이 교체되며 문제는 해결된다.


4. Windows Codename Odyssey[편집]


많은 사람들이 실제 XP의 모태로 알고 있지만 원래는 NT 6.0의 개발을 맡았던 팀이다. 페이퍼 플랜으로만 남은 개발팀으로 보이는데, 내부 문서에서만 몇 번 언급되고 실제 개발은 들어가지 않은 듯.

MS의 내부 문서에서 언급되는 시작은 바야흐로 1997년 12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MS는 NT 5.0을 개발 중이었다. 이 때 NT 6.0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1998년 들어 계획이 구체화되긴 했지만 아직까지 NT 5.0을 개발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제 개발은 들어가지 않았던 듯 하다.

이후 1999년은 언급이 없고 2000년 2월경 마지막으로 언급되는데 코드네임이 NT 6.0에서 오디세이(Odyssey)로 고쳐져 있다. 개발을 시작한다는 내용이지만 직후 휘슬러 개발팀에 흡수당한다.

휘슬러 개발팀의 직접적 모태라기에는 말이 좀 안되는데, 시기상 휘슬러 개발팀이 가동되기 시작한 것이 1999년 말~2000년 1월 사이이고, 기반 빌드인 2202가 2000년 2월 2일에 컴파일됐다. 그리고 오디세이가 마지막으로 언급된 문서의 작성일자는 2월 22일이다. 은근 까는듯 따라서 별개의 개발팀으로 보는 게 맞다. 사실상 버전이 6.0이므로 비스타의 개발팀의 전신으로 보는게 오히려 맞는 듯하다.


5. Windows Codename Whistler[편집]


파일:external/orig15.deviantart.net/microsoft_codename_windows_whistler_wallpaper_by_pavelstrobl-d86n0h5.png[6]

취소 없이 본격적으로 XP의 개발을 시작한 프로젝트이며 직접적으로 XP의 모태가 된다. 개발은 2000년 1월경부터 시작됐다. 휘슬러(Whistler)의 의미는 사전적으로는 '휘파람을 부는 사람'이라 정의되어 있지만, 사실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의 지명에서 따왔다. 정확히는 그 지역에 위치한 휘슬러-블랙콤 스키장. Windows 7의 코드네임으로 예정됐던 블랙콤(Blackcomb)도 여기에서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Windows Vista의 코드네임도 여기서 영향을 받았는데, 정확히는 이 스키장 정확히 중간에 있는 롱혼(Longhorn)이라는 술집에서 따 온 것이다.

기존 넵튠 빌드에서 실험된 여러 사용자적 요소가 추가됐으며 또 그간 칙칙하고 투박했던 Windows의 테마를 화사하게 바꾸었다. 이 과정에서 로고도 바꾸었다. 바뀐 로고는 공식적으로 2001년 8월 말부터 적용됐다.

이외 서버 에디션도 개발됐다. 이것은 휘슬러가 개발 완료되어 XP로 출시된 2001년 10월까지 휘슬러 코드네임을 쓰다가 11월경 닷넷 서버(.NET Server)로 프로젝트가 분리되어 Windows Server 2003이 된다.

베타 버전 표기에서 빌드태그가 붙기 시작한 첫 버전이다. 빌드태그는 5.1.2296으로만 끝나지 않고 뒤에 컴파일 일자 등이 붙는 방식. 빌드 2296의 빌드태그는 beta1.001024-1157인데 여기서 이 버전이 베타 1이고 컴파일 일자가 2000년 10월 24일 11시 57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빌드태그까지 붙였을 때 버전 표기는 5.1.2296.beta1.001024-1157이다. 이는 전작들에 비해 개발 툴이 업그레이드됐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이 당시는 기대를 많이 받았는데 2000년 당시 펜티엄 4 노스우드와 함께 IT 버블로 인해 침체된 시장을 구원할 구세주로 평가받았다. 가뜩이나 출시 임박한 2001년 9월 그 기대가 최고조에 달했는데, 이유는 9.11 테러로 인해 시장이 시망 상태 비슷하게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다행히 정식출시 후 1년이 지나서야 IT계의 구세주를 넘어 황제가 되긴 했다. 왜인지는 Windows XP 문서에서도 나오듯이 정식출시된 RTM 빌드가 영 좋지 않았기 때문에...

개발 초창기, 마소 내부에서 같이 진행하고 있던 프로젝트 밀레니엄과 영향을 주고받은 정황이 몇 가지 있는데, 초창기 몇몇 빌드에서 Windows Me 기본 바탕화면이 발견된다거나, 빌드 2211에서 밀레니엄 빌드의 특징이 몇몇 나타나는 등의 두드러지는 점이 있다.


5.1. 빌드 목록[편집]


파일:external/i397.photobucket.com/whistler5.gif
빌드 2428~2469까지 사용된 부팅 화면.[7]

볼드체공식 베타 및 RTM
노란색공식 베타
라임색RTM 빌드
취소선조작됐거나 창작된 가짜 빌드
O공식적으로 유출 및 배포된 빌드
배포되지 않고 사진 등만 유출된 빌드
X배포되거나 유출된 적이 없는 빌드

빌드 목록은 베타아카이브 및 베타위키를 참조하였다. Windows Server 2003의 빌드가 섞여 있을 수 있다.


5.1.1. x86[편집]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기반 개발 빌드[8]5.00.2196.1[9]2000년 1월 1일XWindows Server 2003 빌드 3790.1180의 파일 중에서 "awe-prms.exe"라는 파일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Windows 2000의 RTM의 빌드넘버가 2195니까, 이 빌드가 휘슬러의 첫 빌드인 셈이다.
5.00.2197.12000년 1월 6일X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197.1.main.000106-2102.
2000년 1월 7일X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197.1.main.000107-1856
5.00.2198.12000년 1월 12일X
5.00.2199.12000년 1월 20일X
5.00.2200.12000년 1월 25일X
5.00.2201.12000년 1월 31일X
5.00.2202.12000년 2월 2일O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02.1.ntvbl06.000202-1835로, Windows 2000과 거의 차이가 없다. 타임락이 걸려있긴 한데 사용 가능 기한은 444일로, 이후 나온 빌드들의 타임락(180일)보다 2.5배나 더 길다. 약 1년 2개월 가량. 이 빌드는 데스크탑 워터마크에서 자신을 SD Windows 2000 Professional로 식별한다. 여기서 SD는 Microsoft가 당시 배포하고 있던 Source Depot 버전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 빌드가 컴파일된 지 몇 달 후에 랩 이름이 "Lab"(예: "Lab06")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ntvbl" 랩(이 경우 "ntvbl06")에서 빌드한 유일한 알려진 빌드로, 초기 단계로 인해 이 빌드에는 여전히 Windows 2000 브랜드와 NT 5.0 커널 버전이 있다. 이 빌드까지는 Windows 2000의 액티브 데스크톱 배경화면을 사용하는 마지막 빌드이다.
5.00.2203.12000년 2월 3일X
5.00.2204.12000년 2월 12일XWindows XP의 소스 코드 중에서 "sdktools\debuggers\ntsd64\event.cpp"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00.2205.12000년 2월 20일X
5.00.2206.12000년 2월 25일X
5.00.2207.12000년 2월 29일X
5.00.2208.12000년 3월 1일X
5.00.2209.12000년 3월 5일X
사전 베타 15.00.2210.12000년 3월 6일X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10.Lab06_N(jstokes).000306-1822로, 빌드 2223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main 빌드가 아닌 Lab06_N 빌드라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5.00.2211.12000년 3월 9일O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11.main.000309-1512로, 휘슬러(Whistler)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나온 버전이다. 빌드 자체를 "Whistler Windows 2001 Professional"이라고 하며, 아마도 "Whistler Professional"과 " Windows 2001 Professional"이 표시되지만 빌드 문자열을 컴파일할 때 형식 지정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Windows 2000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밀레니엄 빌드의 특징이 여럿 발견되었다. 액티브 데스크톱 RTM에서 사용하는 Windows 2000의 배경화면 대신 밀레니엄의 배경화면으로 교체되었다. 당시 개발 마무리 단계에 있던 윈도우 밀레니엄의 제어판, 도움말 및 지원 센터 프로그램과 넵튠에서 사용한 로그온 UI를 포팅해 왔다. Internet Explorer가 버전 5.5로 업데이트되었고, Winver의 저작권 날짜는 1981-1999년에서 1981-2000년으로 업데이트되었다. 2000년 3월 20일에 유출되었다.
5.00.2212.12000년 3월 10일X
5.00.2213.12000년 3월 11일X
5.00.2214.12000년 3월 12일X
5.00.2215.12000년 3월 13일X
5.00.2216.12000년 3월 14일X
5.00.2217.12000년 3월 15일XWindows XP의 소스 코드 중에서 "\NT\printscan\faxsrv\src\setup\ocm\test\guimodesetup.doc"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00.2218.12000년 3월 26일X
5.00.2219.12000년 3월 30일X
5.00.2220.12000년 3월 16일X빌드태그 Windows 2000 Build 2220.1.main.000316-1926
5.01.2221.12000년 4월 1일X
5.01.2222.12000년 4월 7일X과거 데모로 시연된 적이 있었으며 빌드 태그도 확인되었다(Build 2222.Lab06_N.000407-1900, 이 빌드는 main 빌드가 아닌 Lab06_N 빌드이다).
5.01.2223.12000년 4월 11일O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23.1.main.000411-2307로, Windows 2000과 차이점은 없다. 수많은 기능들이 추가된 대격변 빌드다.

* 로그온 UI의 레이아웃이 약간 변형되었다.
* 워터컬러(Watercolor) 테마의 전선인 비즈니스 테마가 처음으로 탑재되었다.(하지만 이 빌드에 탑재된 Business 테마는 개발 초기에 막 만들어진 소스라 워낙에 조악하고 불안정하여 테마를 띄우도록 설정하면 작업 표시줄과 창 모양이 다 깨져서 나온다.)
* "Welcome to Microsoft Windows(OOBE)" 화면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빌드 2223의 OOBE 화면은 Windows Me의 것을 거의 그대로 포팅해 온 것에 불과하며, 자동으로 뜨는것이 아닌 설치 완료 후 실행 창에 "C:\WINNT\System32\oobe\msoobe.exe /f"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수동으로 실행해야 한다.(Windows Me도 같은 방식으로 oobe를 실행한다. 실행하지 않아도 이용에 문제는 없다.)
* Cleartype 글꼴 렌더링 기능이 처음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기능을 사용하려면 수동으로 활성화해야 한다. 정식 버전(RTM)도 마찬가지다.
* Cleartype 폰트 렌더링 기능 자동 활성화는 롱혼 프로젝트의 개발이 시작되고 나서야 이루어졌다.
* 마지막으로 인텔 80486을 지원한 버전이다.

2000년 4월 17일에 유출되었다. 이것은 SGI Visual Workstation 320 및 540 (HALBORG.DLL) 및 Imaging 프로그램에 대한 HAL을 포함하는 마지막 빌드이며 486 프로세서 및 Windows 95에서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는 마지막 빌드이다. 이제 빌드가 시작 메뉴와 로그인 화면 보호기에서 "Whistler 2001"로 식별된다. 커널 버전이 5.1로 변경되었다. 이 빌드는 Neptune 스타일의 로그인 화면을 업데이트되었다. 이 빌드까지는 Windows 2000의 설치화면을 사용하는 마지막 빌드.
5.01.2224.12000년 4월 중순경XWindows XP SP1 및 Windows Server 2003 소스 코드의 shell\themes\install.txt 파일에서 이 빌드가 언급된다.
5.01.2225.12000년 4월 중순~말경XWinHEC 2000에서 시연된 바 있으며 영상 자료도 존재한다. 로그온 UI가 리뉴얼되었다. 그리고 그 로그온 UI는 빌드 2419까지 사용된다. 영상의 화질이 좋지 않아서 빌드태그는 판독할 수 없다. 빌드태그에는 'main.'이 아니라 'Lab06_N'이라고 적혀 있다는 듯하다.
5.01.2226.12000년 4월 12일X
5.01.2227.12000년 4월 14일X
5.01.2228.12000년 4월 15일X
5.01.2229.12000년 4월 26일X
5.01.2230.12000년 4월 30일X
5.01.2231.12000년 5월 7일X
5.01.2232.12000년 5월 초순XRTM 버전의 System32 폴더의 일부 파일들(홈 네트워크 마법사의 dll 파일 등)으로부터 코드가 검출되었다. #
5.01.2233.12000년 5월 15일X
5.01.2234.12000년 5월 19일X
5.01.2235.12000년 5월 24일X
5.01.2236.12000년 5월 25일X
5.01.2237.12000년 5월 28일X
5.01.2238.12000년 5월 30일X
5.01.2239.12000년 5월 31일X빌드태그 5.1.2239.1.idx01.000531-1103
5.01.2240.12000년 6월 1일X
기술 베타5.01.2241.12000년 6월 4일X
5.01.2242.12000년 6월 8일X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42.1.lab06_N.000608-2223으로, 2021년 4월 베타위키 디스코드에서 스크린샷이 유출되었다.
5.01.2243.12000년 6월 11일X
5.01.2244.12000년 6월 14일X
5.01.2245.12000년 6월 16일X
5.01.2246.12000년 6월 20일X
5.01.2247.12000년 6월 22일X
5.01.2248.12000년 6월 23일X
5.01.2249.12000년 6월 27일X
5.01.2250.12000년 6월 28일O빌드태그는 Windows 2000 Build 2250.1.main.000628-2110로, Windows 2000의 부팅 화면을 볼 수 있는 마지막 버전이다. 이 빌드부터는 더 이상 486 프로세서와 Windows 95에서 업그레이드는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 첫 번째 빌드이며, SGI Visual Workstation용 HAL 320 및 540 (HALBORG.DLL)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Windows 95에서 이 빌드 및 기타 빌드로 업그레이드하는 비공식적인 방법이 여전히 있다. 이미징이 제거되고 이후 빌드에서 "Windows 팩스 및 사진 뷰어"가 될 것으로 대체되었다. 설치화면이 Windows ME의 디자인으로 리뉴얼되었다. 로그인 화면이 다시 업데이트되었으며, 이 디자인은 빌드 2419까지 사용된다. 워터컬러(Watercolor) 테마가 적용된 빌드인데, 그러나 이때 워터컬러(Watercolor) 테마의 이름은 "Professional"이었다. 테마 이름이 "워터컬러(Watercolor)"로 바뀐 것은 2000년 12월, 빌드 2410 때부터이다. 이 테마는 빌드 2419를 끝으로 사라졌으며 베타 버전에서만 나왔기 때문에 일명 '환상의 테마'라고 불린다. 2000년 7월 13일에 릴리즈되었다.
5.01.2251.12000년 7월 1일X
5.01.2252.12000년 7월 7일X
5.01.2253.12000년 7월 12일X
5.01.2254.12000년 7월 21일X
5.01.2255.12000년 7월 23일X
5.01.2256.12000년 8월 1일X
5.01.2257.12000년 8월 10일O2000년 8월 24일에 릴리즈되었다. 이 빌드에는 새로운 부팅 화면과 안전한 종료 화면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Windows 2000 부팅 화면의 유일한 변경 사항은 "Windows 2000 Professional"을 대체하는 "Microsoft Codename Whistler" 이름과 "Built on NT Technology" 태그의 제거이며, 워터컬러 테마가 살짝 다른 형태로 다듬어졌다. Windows 2000의 브랜딩을 사용하는 마지막 부팅 화면이다. 그러나 Windows Whistler Server 빌드 2267에서 Windows 2000 서버의 브랜딩을 사용하는 Windows Whistler Server의 부팅 화면이 반환되었다. 로그인 화면이 종료되는 동안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Please Wait...)" 메시지와 같은 사소한 업데이트를 수신하고 로그인 프로세스 중에 사용자 로그인이 표시된다.
5.01.2258.12000년 8월 7일X
5.01.2259.12000년 8월 8일X
5.01.2260.02000년 8월 15일X빌드태그 2260.0.Lab06_N.000815-1904
MS사 내부 테스트용으로 컴파일된 빌드로 추정된다. 당시 휘슬러 개발팀의 모습을 찍은 영상에서 일원 중 한 명이 빌드 2260에 대해 언급한다.[10] 그리고 이 빌드는 Main 빌드가 아닌 Lab06_N 빌드라는 듯하다.
5.01.2261.12000년 8월 16일X
5.01.2262.12000년 8월 18일X
5.01.2263.12000년 8월 22일X
5.01.2264.12000년 8월 25일O2022년 6월 8일에 유출되었다. 새로운 부팅 화면이 도입되었고(빌드 2416까지 사용됨), 검정색 배경에 양식화된 Windows 플래그로 부팅 화면을 변경한다. 진행률 표시줄이 이제 더 커지고(및 루프) "시작하는 중...(Starting Up...)" 텍스트가 제거되었다. Windows Me에 들어있던 윈도우 무비 메이커 프로그램이 추가되었다. 하지만 시작 메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아 실행 창에 명령어를 따로 입력하거나 Program Files 폴더에서 프로그램을 찾아 실행해야 한다. Windows Me에 들어있던 "시스템 복구" 프로그램을 그대로 포팅해왔는데, 일반적으로는 비활성화 되어있어 활성화 시 특정 명령어를 입력해줘야 한다.
5.01.2265.42000년 8월 말~9월 초순X빌드 2296의 일부 파일들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빌드태그는 미상이다(파일 버전 정보창 조회 결과, 파일 버전은 2265 빌드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나 빌드태그의 컴파일 날짜/시간 부분이 2296의 것으로 수정되어 있었다).
5.01.2266.12000년 9월 1일X
5.01.2267.12000년 9월 9일O빌드태그 2267.1.idx01.000909-1503, 디버그 작업으로 인해 재 컴파일되었다.
5.01.2267.12000년 9월 10일O빌드태그 2267.1.idx01.000910-1316, 2000년 10월 3일에 베타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OOBE 화면이 리뉴얼되었으며, 이제 배경에 "whistler"가 있다.
5.01.2268.12000년 9월 14일X
5.01.2269.12000년 9월 15일X
5.01.2270.12000년 9월 18일X빌드태그 2270.1.main.000918-1652
5.01.2271.12000년 9월 20일X
5.01.2272.12000년 9월 22일X빌드태그 2272.1.idx01.000922-1936
5.01.2273.12000년 9월 23일X
5.01.2274.12000년 9월 26일X
5.01.2275.12000년 9월 27일X
5.01.2276.12000년 9월 28일O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버전 7로 업데이트되었고, OOBE 화면이 뜨기 전에 나오는 오프닝 영상이 도입되었으며, 설치 화면이 기존 Windows Me의 디자인 대신 파란색 Watercolor 스타일로 리뉴얼되었다. 이 빌드는 main이나 idx01/02 빌드가 아닌 Lab02 빌드이다. 2000년 10월 말에 유출되었다. OOBE 시작 시 "Windows Whistler"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첫 번째 빌드.
5.01.2277.12000년 9월 29일X
5.01.2278.12000년 9월 30일X
5.01.2279.12000년 10월 1일X
5.01.2280.12000년 10월 2일X
5.01.2281.12000년 10월 3일X
5.01.2282.12000년 10월 4일X
5.01.2283.12000년 10월 5일X
5.01.2284.12000년 10월 6일X
5.01.2285.12000년 10월 9일X
5.01.2286.12000년 10월 10일X
베타 15.01.2287.12000년 10월 12일O빌드 2276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지만 간단한 시작 메뉴 맨 위에 있는 인터넷 및 전자 메일 아이콘은 이후 빌드의 아이콘 디자인과 유사하도록 업데이트되었다.
5.01.2288.12000년 10월 13일X
5.01.2289.12000년 10월 14일X
5.01.2290.12000년 10월 15일X
5.01.2291.12000년 10월 16일X
5.01.2292.12000년 10월 17일X
5.01.22932000년 10월 19일X빌드태그 2293.beta1.001019-1606, 빌드 2296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01.2294.12000년 10월 20일X
5.01.2295.12000년 10월 21일X
5.01.2296.12000년 10월 24일O공식 베타 1 빌드로 2000년 10월 31일 릴리즈되었다. 이 빌드에는 한글판도 존재하는데, 한때 구하기 매우 어려운 Windows 빌드의 대명사 중 하나였지만 퍼스널 한정으로 이제 설치 파일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일부 반글화가 되어 있으며, 제어판으로 컴퓨터 테마 변경을 진입할 시 컴퓨터 주제 변경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VMware에서 설치하려면, vmx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고 acpi.present = "FALSE" 를 추가해 주면 된다.[VW]
이 명령어는 ACPI를 비활성화해 주기 때문에 Vista나 7 이전의 윈도우에 적용하면 종료할 때
"이제 컴퓨터 전원을 꺼도 안전합니다."라고 나온다.
다만 이렇게 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VMware Workstation 6.5 기준 하드웨어 호환 버전은 6.0으로 맞추면 된다.
5.01.2297.12000년 10월 25일X
5.01.2298.12000년 10월 26일X
5.01.2299.12000년 10월 27일X
사후 베타 15.01.24002000년 10월 29일X
5.01.2400.12000년 10월 22일X빌드태그 Whistler Build 2400.1.Lab01_N.001022-2228, main이나 idx계열 빌드가 아닌 LabXX_N 계열 빌드이다. Windows XP 서비스 팩 1 소스 코드 중에서 "ds/netapi/svcimgs/ntrepl/test/newfrs.cmd"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01.2400.55122000년 10월 말경XRTM 버전의 System32 폴더의 일부 파일들로부터 코드가 검출되었다.[11]
5.01.24012000년 11월 1일X
5.01.24022000년 11월 12일X
5.01.24032000년 10월 말~11월 초순경XRTM 버전의 System32 폴더의 일부 파일들로부터 코드가 검출되었다.#
5.01.24042000년 11월 13일X
5.01.24052000년 11월 28일XWindows XP의 소스 코드 중에서 "XP2003\nt5src\XPSP1/sdktools/debuggers/ntsd64/event.cpp"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빌드 번호는 Windows XP가 아닌 Windows Me의 빌드임을 나타낼 수 있지만 참조는 Windows NT 디버거에 대한 소스 코드에 "ntsd" 포함되어 있으므로 Windows XP의 빌드만 언급할 수 있다.
5.01.24062000년 11월 30일XWindows Server 2003의 소스 코드 중에서 "remotedesktoputils.h"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01.24072000년 12월 1일X
5.01.24082000년 11월 28일X빌드태그 2408.main.001128-1958
2000년 12월 2일X빌드태그 2408.main.001202-1610
파일:whistler2408.jpg
빌드 2462의 System32 폴더 내 ciaimin.dll 파일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01.24092000년 12월 7일X빌드 2410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01.24102000년 12월 8일O빌드태그 2410.main.001208-1937
여러 가지의 새로운 시각적 요소들을 대거 채택했다. 시작 메뉴의 레이아웃이 살짝 달라졌으며, 내 문서, 내 컴퓨터 등 아이콘들이 리뉴얼되었다. 또한, 이 빌드부터 Watercolor 테마 말고도 "Sample visual test style"이라는 테마가 추가되었다. 색상은 'Chartreuse Mongoose'와 'Blue Lagoon' 두 가지. 이 빌드 뿐만 아니라, 빌드 2416, 2419에서 시스템 폴더 내의 '테마' 폴더에 들어가면 'Luna'라는 폴더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루나 테마가 (개발 팀이 의도했던 타이밍보다 더 일찍)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장용으로 만들어 놓은 테마로 추정되며, 빌드 2419를 마지막으로 이 테마는 워터컬러 테마와 함께 사라진다. 링크 참조]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버전 6.0,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버전 8.0, 윈도우 무비 메이커가 버전 1.1로 업데이트되었다. 2001년 1월 4일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5.01.2410.12000년 12월 12일O빌드태그 2410.1.idx02.001212-1507
지금의 Windows XP Welcome to Microsoft Windows 화면(OOBE)이 최초로 자동 실행되기 시작한 버전으로, OOBE 화면에서 도움말 마법사가 등장하는 첫 빌드이다. 그때는 도움말 마법사가 물음표 모양의 아이콘이 아닌 Merlin이라는 마법사가 캐릭터였다.[12] 찾기 등에서 나오는 강아지 캐릭터를 바꿀 때 나오는 그 마법사이다.
5.01.24112000년 12월 14일X빌드태그 2411.lab06_n.001214-1954
5.01.24122000년 12월 16일X
5.01.24132000년 12월 18일X빌드태그 2413.main.001218-1815
5.01.24142000년 12월 20일X
5.01.24152000년 12월 22일X빌드태그 2415.main.001222-1745
2001년 1월 2일X빌드태그 2415.lab06_N.010102-1932
과거 데모로 시연되었다.# / ##
CES 2001에서 이 빌드로 Luna 테마를 시연했다. 최초로 루나 테마가 적용된 빌드이기도 하다. 그러나 베타 2(빌드 2428)부터 적용된 루나 테마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이 버전에 포함된 루나 테마는 유출되지 않았으며, 다음 빌드인 2416에는 워터컬러 테마가 포함되어 있다.
5.01.24162001년 1월 4일O빌드태그 2416.idx01.010104-1958, Outlook Express가 버전 6.0으로 업데이트되었고, OOBE 화면이 Luna 테마와 비슷한 스타일로 리뉴얼되었다. "Activate Windows(Windows 정품 인증)" 프로그램이 처음으로 도입된 빌드이다. 그러나 첫 화면에서 '다음' 버튼을 누르면, 곧바로 "축하합니다! 이제 정품 인증이 끝났습니다."라는 메세지가 뜨며 그냥 프로그램이 끝난다. 빌드 2428에서 제대로 된 정품 인증 프로그램을 심어놓기 전까지는 그냥 껍데기만 있는 유명무실한 프로그램이었다. Windows ME의 인터넷 게임들이 이 빌드에서 추가되었다. 2001년 1월 16일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2001년 1월 5일X빌드태그 2416.Lab03_N.010105-1943, 빌드 2419의 일부 파일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win)main이나 idx01/02 빌드가 아닌 Lab03_N 빌드이다.
5.01.24172001년 1월 11일X두 가지 빌드는 결번.
5.01.24182001년 1월 12일X
5.01.24192001년 1월 13일O빌드태그 2419.idx02.010113-1154
설치 테마와 OOBE 화면이 지금의 Windows XP 형식으로 확정된 빌드로, 부팅 스크린도 리뉴얼되었으며 색상 막대기 로딩 바가 추가되었다. Windows Me의 스파이더 카드놀이(Spider Solitaire)와 하트(Hearts)가 추가되고 Internet Games에 새로운 아이콘이 추가되었다. 이 빌드는 워터컬러(Watercolor) 테마와 샘플 비주얼 테스트 스타일(Sample visual test style) 테마를 사용하는 마지막 버전이다. Winver의 저작권 날짜는 1981-2000년에서 1981-2001년으로 업데이트되었으며, 빌드 2600.3180까지 유지되었다. 2001년 1월 23일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2001년 1월 15일O빌드태그 2419.idx02.010115-1412, 디버그 버전이다.
사전 베타 25.01.24202001년 1월 16일XXP SP1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01.24212001년 1월 19일X
5.01.24222001년 1월 20일X
5.01.2422.12001년 2월 1일XXP SP1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빌드 2276처럼 Lab02_N 빌드이다. 아마 몇몇 사람들은 여기서 의문점을 가지게 되는데, 2428은 1월 29일에 컴파일되었는데, 왜 2422 빌드는 1월 중순이 아니라 2월 1일에 컴파일 되었다고 나와 있냐는 것이다. "2001년 1월 21일"의 오타라는 설도 있으나 정확한 건 알 수 없다.
5.01.24232001년 1월 21일X빌드태그 2423.Lab06_N.010121-1807, 몇몇 스크린샷들이 "베타2 핵심 기술 가이드"라는 프로그램에서 유출되었다. 이 빌드부터는 빌드 2428과 동일한 Luna 테마와 Red moon Desert(붉은 달 사막)를(을) 기본 배경 화면으로 사용하는 첫 번째 빌드가 있다.
5.01.24242001년 1월 22일X
5.01.24252001년 1월 23일X
5.01.24262001년 1월 24일X빌드태그 2426.main.010124-2315, 몇몇 스크린샷들이 "베타2 핵심 기술 가이드"라는 프로그램에서 유출되었다.
5.01.24272001년 1월 27일X
5.01.24282001년 1월 29일O새로운 루나 테마와 함께 Windows의 새로운 로고를 선보인 빌드로, 일반인이 알고 있는 Windows XP의 모습이 거의 다 갖춰졌다. 워터컬러 테마와 샘플 비주얼 테스트 스타일 테마가 이 빌드에서 삭제되었다. 붉은 달 사막이 기본 배경 화면으로 설정되었다. 그 이외에도 리뉴얼된 부트 스크린과 아이콘 등을 적용하는 등 새로운 시각적 요소들이 대폭 도입되었다. 부팅화면 밑에 Beta 2 Release(베타 2 릴리즈)가 추가되었고, 부팅화면에서 저작권 텍스트가 © Copyright 1985-2001 Microsoft Corporation이 표시되었다. 이쯤 되면 기본적인 틀을 제외하고 전부 다 갈아 엎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며, 로그인 화면이 개편되어 이제 RTM과 유사한다. 2001년 2월 13일 테스터에게 릴리즈되었다.
5.01.24292001년 3월 92일X빌드태그 2429.idx03.010392-1900
5.01.24302001년 1월 30일O2429번 빌드는 결번(의도적으로 빌드 넘버 스킵)이거나 2428 빌드가 컴파일된 날에 같이 만들어졌으리라 추측된다.
5.01.24312001년 1월 31일X2431번 빌드는 결번.
5.01.24322001년 2월 3일윈도우 탐색기의 메뉴의 아이콘들의 크기가 조금 작아졌으며, 뒤로/앞으로 버튼의 모양이 심플하게 다듬어졌다. 비공식적으로 데모로 시연된 적은 있으나, 유출된 적은 없다.
5.01.24332001년 2월 6일O이 빌드까지는 CD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마지막으로 알려진 빌드.
5.01.24342001년 2월 7일X
5.01.24352001년 2월 8일빌드태그 2435.Lab06_N.010208-1730

이 빌드의 스크린샷은 빌드 2465 에서 2475 까지의 Windows XP 둘러보기에 나타났다. 이 빌드는 다른 연구소에서 빌드한 동일한 기간의 빌드와 달리 Whistler가 아닌 "Windows XP"로 식별된다.
5.01.24362001년 2월 9일X빌드태그 2436.main.010209-1706
파일:2436.png
빌드 2465에서 코드를 검출해 냈다.
5.01.24372001년 2월 10일빌드태그 2437.main.010210-1820
5.01.24382001년 2월 12일빌드태그 2438.main.010212-1914

빌드 2465~2475 버전에 내장되어 있는 'Windows XP 둘러보기' 프로그램의 베타 버전에서 위 빌드의 스크린샷이 여러 장 들어 있었다. 이 빌드는 배포 목적이 아닌 내부 테스트용 빌드였던 듯하다.
2001년 2월 13일빌드태그 2438.Lab06_N.010213-1700

이 빌드의 경우 빌드태그 위에 적힌 운영 체제 레이블이 잠깐 'Windows Whistler'에서 'Windows XP'로 바뀌었었다. 이때는 아직 출시명이 확정되지 않은 시점이었는데, 이때 이미 정식 출시명을 'XP'라 하기로 잠정적으로나마 결정해 놨던 모양이다.
5.01.24392001년 2월 14일X빌드태그는 미상이다. 개발팀/MS사 내부 테스트용 빌드로, 속도 향상과 버그 수정 및 약간의 UI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외부로 유출되기도 했으나 얼마 못 가 유실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5.01.24402001년 2월 15일빌드태그 2440.Lab06_N.010215-1724
빌드 2465~2475 버전에 내장되어 있는 'Windows XP 둘러보기' 프로그램의 베타 버전에서 해당 빌드의 스크린샷이 유출되었다.
5.01.24412001년 2월 16일빌드태그 2441.main.010216-1859
Developing for Windows XP Visual Styles라는 글에서 스크린샷이 유출되었다.
5.01.24422001년 2월 17일O아주 오래 전에 중국어 간체판으로 유출되었고, 유튜브에 설치 영상이 업로드되었으나 지금은 해당 영상이 삭제되었다. # 그 뒤 오랫동안 유실되었다고 알려졌으나 2020년 BetaWorld에서 해당 유출본을 가지고는 있지만, 공유하지 않겠다고 했으나, 2021년 8월 15일에 유출되었다. (설치 영상 #1 #2) 빌드 2428에서 처음 도입된 당시의 새로운 Windows 플래그를 사용하도록 설치화면 및 OOBE의 브랜딩이 수정되었다.
5.01.24432001년 2월 21일X세 가지 빌드는 결번.
5.01.24442001년 2월 22일X
5.01.24452001년 2월 23일X
5.01.24462001년 2월 24일O2001년 3월 5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이 빌드는 Red moon Desert가 기본 배경 화면으로 설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 빌드와 기능적으로 다르지 않다.
5.01.24472001년 2월 25일X
5.01.24482001년 2월 26일X
5.01.24492001년 2월 27일X
5.01.24502001년 2월 28일X
5.01.24512001년 3월 1일X
5.01.24522001년 3월 2일X
5.01.24532001년 3월 3일X
5.01.24542001년 3월 6일O
5.01.24552001년 3월 7일X빌드태그 Windows Whistler Build 2455.main.010307-1659, 서버 2003 베타(당시 휘슬러 서버)에서 동일한 빌드가 존재한다.
5.01.24562001년 3월 8일빌드태그 2456.main.010308-????
5.01.24572001년 3월 9일O2456번 빌드는 결번(의도적으로 빌드 넘버 스킵)이거나 2455 빌드가 컴파일된 날에 같이 만들어졌으리라 추측된다. 2006년 6월 4일에 유출되었다.
5.01.24582001년 3월 10일빌드태그 2458.main.010310-1552
공식 베타 2 릴리즈를 앞두고 2001년 3월 14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2001년 3월 11일X
빌드태그 2458.Lab01_N.010311-2200
WinHEC 2001에서 시연하는 동안 볼 수 있다.
5.01.24592001년 3월 12일O2016년 12월 19일에 유출되었다.
5.01.24602001년 3월 13일X빌드태그 2460.main.010313-????
베타 25.01.24612001년 3월 14일빌드태그 2461.main.010314-????
5.01.24622001년 3월 15일O공식적으로 최종판의 이름이 Windows XP로 결정난 버전이지만 여전히 Whistler라고 나온다. WinHEC 2001에서 시연되었다.
공식 베타 2 릴리즈로 2001년 3월 19일 WinHEC 2001을 통해 릴리즈되었다.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아랍어, 러시아어, 중국어 간/번체 등 다양한 언어로 유출되었고, 빌드 2296처럼 한글판도 존재한다. 예전에는 베타아카이브 FTP 서버에 액세스해서 구하는 방법밖에 없었는데, 베타아카이브 FTP 서버는 액세스 권한을 취득하는 절차가 매우 까다롭다. 과거에는 10개 이상 도움이 되는 글을 작성함으로써 FTP 접속 권한을 취득할 수 있었으나 언젠가부터 "FTP 서버 접근 권한을 취득하려면 그곳에 없는 파일을 하나 이상 기여해야 된다."로 규칙이 바뀌었다. FTP 서버에 업로드된 파일 리스트는 FTP 관리자인 mrpijey의 홈페이지에 나와 있다. 베타아카이브 FTP 서버를 미러링하는 곳도 있는데, 사이트 디자인이 상당히 기괴하다.[13] 이젠 베타아카이브 FTP 서버까지 가지 않아도
프로페셔널, 퍼스널은 여기서(MSDN 통합 CD는 여기서) 구할 수 있다. 유독 휘슬러 MSDN CD중 퍼스널, 프로페셔널 버전만 CD에
Windows® XP Home Edition Beta 2,
Windows® XP Professional Beta 2

라고 적혀 있다. 꼭 통합 CD만 그런 건 아닌 듯하다.[14] 서버 버전은 Whistler라고 나온다. (# , ##)], 서버, 어드밴스드 서버는 각각 여기와, 여기서 파일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데이터센터 서버는 한글판이 존재하지 않는 건지 나오지 않는다.
한글판 기준으로 2296과는 다르게 위의 명령어를 적용하지 않아도 설치가 된다.[VW]
또 일부 언어판의 시스템 종료 화면에 결함이 있는데, 한국어는 강제개행이 되고#, 아랍어와 히브리어는 글자가 반전되고, 러시아어와 프랑스어는 글자가 겹친다.러시아어, 프랑스어 영어로 설치한 후 MUI를 설치해도 마찬가지이다.
5.01.24622001년 3월 15일O빌드태그 2462.main.010315-1720
Check/디버그 버전이다. 워터마크 아랫쪽에 윈도우 폴더 경로가(보통 C:\Windows이며, 윈도우가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다름) 쓰여 있다.[15] 또 한글판이 없어서 한글로 쓰고 싶다면 MUI를 설치해야 한다.다운받기참조
5.01.24632001년 3월 28일풀 인스톨러가 손상되었으므로 정상적인 설치가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나 빌드 2462의 파일을 빌려서 정상적으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2020년 1월 31일 풀 인스툴러가 손상되지 않은 온전한 버전이 유출되었다.
5.01.24642001년 4월 5일빌드태그 Windows Whistler Build 2464.main.010405-1517, 버그 리포트 작성 프로그램의 아이콘의 모양이 이전 빌드의 것과 살짝 달라졌다. 그 외에 이전 빌드들과의 차이는 거의 없다. 이 빌드까지는 기본 배경화면인 붉은 달 사막 배경 화면을 사용하는 마지막 빌드이며, Windows 2000 및 Windows Whistler의 참조가 있는 마지막 빌드.
5.1.24652001년 4월 10일빌드태그 2465.main.010410-1500
공식적으로 코드네임 대신 확정된 제품명(XP)이(가) 쓰이기 시작한 빌드로, 대부분의 시각적 요소들과 프로그램들이 업데이트되어 RTM 버전과 거의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루나 테마가 RTM 버전의 것처럼 다듬어져 오리지널 루나 테마(파란색)의 시작 버튼의 색깔이 살짝 달라졌으며, 은색과 금색 루나 테마가 이 빌드에서 추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익스플로러,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 프로그램들의 아이콘들이 RTM 버전처럼 업데이트되었고, 새로운 버전의 윈도우 무비 메이커와 미디어 플레이어가 탑재되었다. 그리고 시스템 정보 창의 버전 표기란에 빌드 넘버(ex:5.01.2465) 대신 Version 2002라는 문구가 표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부팅 화면과 명령 프롬프트 창 상단에 표기된 시스템 정보 레이블(Microsoft Windows 2000[Version 5.1.2465]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Windows 정품 인증 프로그램 등 Windows Whistler와 Windows 2000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는 곳이 있으며, 부팅 화면도 Windows Whistler다. 기본 배경화면이 초원 배경화면으로 변경되었다. 로그인 화면이 RTM 버전처럼 업데이트되었다.
2001년 4월 12일빌드태그 2465.idx01.010412-2007
2001년 4월 26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새로 설치 시 설치 마무리 단계에서 OOBE 화면이 동작하지 않으며, OOBE 첫 페이지에 사이버 마법사 캐릭터 멀린(Merlin)이 없는 버그가 있다. 낮은 버전에서 업그레이드 설치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 문제이다.
5.1.24662001년 4월 15일X빌드태그 2466.main.010415-2215
5.1.24672001년 4월 18일2466번 빌드는 결번(의도적으로 빌드 넘버 스킵)이거나 2465 빌드가 컴파일된 날에 같이 만들어졌으리라 추측된다. 설치 화면과 OOBE 화면이 RTM 버전처럼 리뉴얼되었다. OOBE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빌드 2469부터 다시 작동한다.
5.1.24682001년 4월 23일
빌드태그 5.1.2468.main.010423-2034
핀란드어 언어본만 스크린샷이 있다.
5.1.24692001년 5월 8일OWindows Whistler의 부팅 화면을 볼 수 있는 마지막 버전. 이제 OOBE가 다시 작동하고 이때 예전의 사이버 마법사 캐릭터 멀린(Merlin) 대신 그 물음표 아이콘이 뜬다. 이것은 Stan LePard가 작곡한 Windows Welcome Music을 포함하는 Windows XP의 환영 음악인 title.wma이다. 그러나 파일 자체는 Windows Server 2003 빌드 2467에 도입되었다. 일부 아이콘은 대부분 트레이 아이콘으로 대체되었다. 2001년 5월 12일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5.1.24702001년 5월 2일
사전 RC 1
(시험판 후보)
5.1.24712001년 5월 3일X
5.1.24722001년 5월 5일XWindows Server 2003의 소스 코드 중에서 "\NT\enduser\windows.com\winupd\lib\sysinfo.cpp"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두 번 언급되었다.
5.1.24732001년 5월 7일X
5.1.24742001년 5월 8일O부팅 화면이 리뉴얼되었다. RTM의 것과 거의 비슷하게 생겼으나 이른바 색상 막대기 로딩 바 대신 loading...이라는 문구가 반짝이는 화면이다. 2001년 5월 17일에 내부적으로 출시되었다.
5.1.24752001년 5월 14일OWindows 2000의 부팅음이 나는 마지막 버전이자 설치가 끝나고 Welcome to Microsoft Windows라는 화면이 나오기 전에 화면인 Please Wait(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라는 화면이 나올 때 마지막으로 Windows Whistler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부팅 화면은 Windows XP다. 2001년 5월 24일 테스터에게 릴리스되었다.
5.1.24762001년 5월 15일X빌드 2406과 함께 Windows Server 2003의 소스 코드 중에서 "remotedesktoputils.h"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1.24772001년 5월 18일X
5.1.24782001년 5월 19일X
5.1.24792001년 5월 21일X
5.1.24802001년 5월 22일XXP Expert Zone event의 Q&A에서 언급됐다.
5.1.24812001년 5월 23일O빌드태그 5.1.2481.main.010523-1905
드디어 그 유명한 Windows XP의 부팅음이 나는 첫 버전으로, 이 빌드부터는 휘슬러의 흔적을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부팅 화면이 RTM과 동일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저작권 텍스트가 Copyright © 1985-2001 Microsoft Corporation으로 교체되어 왼쪽으로 이동되었다. loading...이라는 문구가 반짝이는 텍스트 대신 회전 막대 진행률을 포함하도록 부팅 화면이 업데이트되었다. 그리고 Windows XP의 효과음들이 포함된 첫 버전이다. Tour Windows XP(윈도우 XP 둘러보기)가 이 빌드에서 추가되었고, Homestead와 Metallic이라는 이름으로 올리브 그린과 실버 루나 테마가 이 빌드에서 추가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Windows 2000의 소리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Windows XP의 부팅 소리를 들으려면 사운드 설정을 따로 해주어야 한다. 2001년 6월 1일 내부적으로 출시되었으며 6월 6일 테스터에게 배포되었다.
2001년 5월 24일O빌드태그 5.1.2481.idx01.010524-1743
2022년 6월 29일에 유출되었다.
5.1.24822001년 5월 25일X
5.1.24832001년 5월 26일X
5.1.24842001년 5월 27일X
5.1.24852001년 5월 31일O부팅 화면에서 "Version 2002"를 제거했다. Homestead 및 Metallic 테마는 이제 각각 Olive Green 및 Silver라고 불리며 RTM에서 지속된다. Windows 2000의 효과음들이 이 빌드에서 삭제되었다.
5.1.24862001년 6월 2일O2001년 6월 15일 테스터에게 배포되었다.
5.1.24872001년 6월 3일X
5.1.24882001년 6월 5일X
5.1.24892001년 6월 6일X빌드태그 5.1.2489.main.010606-1614
5.1.24902001년 6월 7일X빌드태그 5.1.2490.main.010607-1817
5.1.24912001년 6월 8일X
5.1.24922001년 6월 11일X빌드태그 5.1.2492.main.010611-1357
5.1.24932001년 6월 12일O서버 2003 베타(당시 휘슬러 서버)에서 동일한 빌드가 존재한다.
5.1.24942001년 6월 13일O2001년 6월 21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안전 종료 화면과 최대 절전 모드 화면을 RTM에 표시되는 화면으로 변경했다.
5.1.24952001년 6월 14일O원래 알 수 없는 이유로 TweakUI로 수정된 빌드.
5.1.24962001년 6월 15일X빌드태그 5.1.2496.main.010615-????
독일어 언어본만 유출되었다.
5.1.24972001년 6월 16일X빌드태그 5.1.2497.main.010616-1657
5.1.24982001년 6월 18일O이 빌드의 예상되는 Professional SKU는 2011년 4월 28일에 유출되었으며, 2018년 8월 30일에 Home Edition SKU로 밝혀졌기 때문에 참조되었다. 구 SKU의 실제 ISO는 결국 2020년 10월 24일에 나타났다.
5.1.24992001년 6월 19일O이 버전에서는 User32.dll을 찾을 수 없다는 설치 과정에 버그가 났다. 이 말고도 userenv.dll, oembios.bin 파일들이 없거나 깨진 상태로 설치되어 0xc0000135 블루스크린이 뜬다.
5.1.25002001년 6월 20일X빌드태그 5.1.2500.main.010620-????
5.1.25012001년 6월 21일X빌드태그 5.1.2501.main.010621-1759
빌드 2502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1.25022001년 6월 22일O2001년 6월 29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5.1.25032001년 6월 23일X
5.1.25042001년 6월 25일O2503번 빌드는 결번(의도적으로 빌드 넘버 스킵)이거나 2502 빌드가 컴파일된 날에 같이 만들어졌으리라 추측된다.
RC 1
(출시 후보 1)
5.1.25052001년 6월 26일O공식 RC1 버전으로, 2001년 7월 5일에 공개되었다. 휘슬러 한글판 중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빌드다.
5.1.25052001년 7월 1일X빌드태그 2505.0.Lab01_N(davec).010701-1017
XP 소스코드에 이 빌드의 부트 로더 파일이 있다.
5.1.25062001년 6월 27일X
5.1.25072001년 6월 28일X
5.1.25082001년 6월 29일X
5.1.25092001년 7월 2일O이 빌드는 기본적으로 손상되었으며, 정상적인 설치가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나 빌드 2505의 파일을 빌려서 정상적으로 설치하는 방법도 있었다.
5.1.25102001년 6월 30일X
사전 RC 2
(시험판 후보 2)
5.1.25112001년 7월 1일X
5.1.25122001년 7월 3일X
5.1.25132001년 7월 4일X
5.1.25142001년 7월 7일X
5.1.25152001년 7월 8일X
5.1.25162001년 7월 11일X
5.1.25172001년 7월 13일O"Version 2002"는 OOBE 이전 화면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으며, 빌드 2531과 마찬가지로 설치 프로그램은 이제 Tahoma 대신 Arial을 사용한다.
5.1.25182001년 7월 14일XXP SP2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5.1.25192001년 7월 15일X
5.1.25202001년 7월 17일O2001년 7월 24일에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RTM의 워터마크에서 "Home Edition"이라고 하는 최초의 빌드다.
5.1.25212001년 7월 18일X
5.1.25222001년 7월 19일
빌드태그 5.1.2522.0.main.010719-1909
RTM 버전의 Tours\htmlTour의 desktop_screen_shot.jpg라는 파일에서 스크린샷이, RTM 버전의 gpkcsp.dll, gpkrsrc.dll 파일에서 코드가 검출되었다. 한국어 스크린샷만 표시되었다.
5.1.25232001년 7월 20일X
5.1.25242001년 7월 22일X
RC 2
(출시 후보 2)
5.1.25252001년 7월 23일O빌드태그 5.1.2525.xpclient.010723-1719
"xpclient" 지점에서 가장 먼저 알려진 빌드다.
5.1.25262001년 7월 24일O공식 RC2 버전으로 2001년 7월 27일에 공개되었다. 임베디드 버전도 있다.
5.1.25272001년 7월 25일X
5.1.25282001년 7월 27일X
5.1.25292001년 7월 28일X
5.1.25302001년 7월 29일X
5.1.25312001년 7월 30일O설치 프로그램에서 다시 Tahoma 대신 Arial을 사용한다. 명령 프롬프트는 Lucida Console로 설정되고 글꼴 크기는 18px로 설정된 아쿠아 큰 텍스트가 있는 흰색 배경으로 기본 설정된다.
5.1.25322001년 7월 31일O이 빌드까지는 기본적으로 Windows XP 배경 화면을 사용하는 마지막 빌드.
5.1.25332001년 8월 1일X빌드태그 2533.xpclient.010801-????
5.1.25342001년 8월 2일X빌드태그 2534.xpclient.010802-????
사전 RTM5.1.25352001년 8월 3일O배경 화면을 이전에 빌드 2465부터 빌드 2481에서 사용되었던 Bliss(초원) 배경화면으로 다시 변경했으며, 빌드 2485부터 빌드 2532 빌드에 사용된 Windows XP를 대체했다. 2001년 8월 8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5.1.25362001년 8월 4일이 빌드의 스크린샷은 "newXP_MOBILITY.swf"에 있는 프로모션 CD에서 찾을 수 있다. KB311201에 따르면 베타 제품 키를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빌드.
5.1.25372001년 8월 5일XWindows XP 서비스 팩 1 소스 코드 중에서 "enduser/mapistub/fixmapi/fixmapi.rc"라는 소스 코드에서 이 빌드가 언급되었다.##
5.1.25382001년 8월 6일X
5.1.25392001년 8월 7일X
5.1.25402001년 8월 8일X
5.1.25412001년 8월 9일X
5.1.25422001년 8월 11일O공식 사전 RTM 버전으로, 2001년 8월 15일 테스터에게 출시되었다. 이 빌드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제품 키를 사용할 수 있다. Windows 정품 인증 유예 기간이 14일에서 30일로 늘어났다.
5.1.25432001년 8월 10일X
5.1.25442001년 8월 11일X
5.1.25452001년 8월 12일X
5.1.25462001년 8월 13일X
5.1.25472001년 8월 14일X
5.1.25482001년 8월 13일X
5.1.25492001년 8월 14일X
5.1.25502001년 8월 15일X
5.1.25512001년 8월 16일X
5.1.25522001년 8월 17일X
5.1.25532001년 8월 18일X
5.1.25542001년 8월 19일X
5.1.25552001년 8월 20일X
5.1.25562001년 8월 21일X
5.1.25572001년 8월 22일X
5.1.25582001년 8월 23일X
5.1.25592001년 8월 15일X
5.1.25602001년 8월 16일X
5.1.25612001년 8월 17일X
5.1.25622001년 8월 6일X빌드태그 5.1.2562.xpclient.010806-1527
폴란드어 언어본만 유출되었다.
5.1.25632001년 8월 18일X
5.1.25642001년 8월 19일X
5.1.25652001년 8월 20일X
5.1.25662001년 8월 21일X
5.1.25672001년 8월 22일X
5.1.25682001년 8월 23일X
5.1.25692001년 8월 24일X
5.1.25702001년 8월 25일X
5.1.25712001년 12월 54일X빌드태그 2571.xpclient.011254-1551
5.1.25722001년 12월 24일X빌드태그 2572.xpclient.011224-1722
5.1.25732001년 8월 28일X
5.1.25742001년 8월 29일X
5.1.25752001년 8월 30일X
5.1.25762001년 8월 31일X
5.1.25772001년 9월 1일X
5.1.25782001년 9월 2일X
5.1.25792001년 9월 3일X
5.1.25802001년 8월 15일X빌드태그 2580.xpclient.010815-1955
5.1.25812001년 9월 5일X
5.1.25822001년 9월 6일X
5.1.25832001년 9월 7일X
5.1.25842001년 20월 38일X빌드태그 2584.xpclient.012038-1542
5.1.25852001년 9월 9일X
5.1.25862001년 9월 10일X
5.1.25872001년 9월 11일X
5.1.25882001년 9월 12일X
5.1.25892001년 9월 13일X
5.1.25902001년 8월 16일X빌드태그 2590.xpclient.010816-1513
5.1.2591X빌드태그 2591.xpclient.010816-????
5.1.2592X빌드태그 2592.xpclient.010816-1638
5.1.25932001년 9월 17일X
5.1.25942001년 9월 18일X
5.1.25952001년 9월 19일X
5.1.25962001년 9월 20일X
5.1.25972001년 9월 21일X
5.1.25982001년 9월 22일X
5.1.25992001년 9월 23일X
RTM5.1.26002001년 8월 17일O정식 출시 버전으로 2001년 8월 24일에 공개되었고, 약 두달 후 동년 10월 25일에 출시되었다.
5.1.2600.412001년 8월 27일O도시바의 USB 2.0 드라이버 지원 업데이트
가짜 빌드5.1.23092000년 10월 47일X컴파일 시기가 2000년 10월 47일 12시 79분으로 해괴하게 조작되어 있다. 굳이 실제 시각으로 변환하면 2000년 11월 16일 13시 19분인데, 빌드 2400보다 더 늦게 나온 격이다.
5.1.23172000년 11월 5일X
Post-RTM
사후 개발 빌드[16]
5.1.26012001년 7월 1일XWindows XP Build 2601
5.1.26022001년 7월 2일X
5.1.26032001년 7월 3일X
5.1.26042001년 7월 4일X
5.1.26052001년 7월 5일X
5.1.26062001년 7월 6일X
5.1.26072001년 7월 7일X
5.1.26082001년 7월 8일X
5.1.26092001년 7월 9일X
5.1.26102001년 7월 10일X
5.1.26112001년 7월 11일X
5.1.26122001년 7월 12일X
5.1.26132001년 7월 13일X
5.1.26142001년 7월 14일X
5.1.26152001년 7월 15일X
5.1.26162001년 7월 16일X
5.1.26172001년 7월 17일X
5.1.26182001년 7월 18일X
5.1.26192001년 7월 19일X
5.1.26202001년 7월 20일X
5.1.26212001년 7월 21일X
5.1.26222001년 7월 22일X
5.1.26232001년 7월 23일X
5.1.26242001년 7월 24일X
5.1.26252001년 7월 25일X
5.1.26262001년 7월 26일X
5.1.26272001년 7월 27일X
5.1.26282001년 7월 28일X
5.1.26292001년 7월 29일X
5.1.26302001년 7월 30일X
5.1.26312001년 7월 31일X
5.1.26322001년 8월 1일X
5.1.26332001년 8월 2일X
5.1.26342001년 8월 3일X
5.1.26352001년 8월 4일X
5.1.26362001년 8월 5일X
5.1.26372001년 8월 6일X
5.1.26382001년 8월 7일X
5.1.26392001년 8월 8일X
5.1.26402001년 8월 9일X
5.1.26412001년 8월 10일X
5.1.26422001년 8월 11일X
5.1.26462001년 8월 12일X
5.1.26502001년 8월 13일X
5.1.26522001년 8월 14일X
5.1.26562001년 8월 15일X
5.1.26602001년 8월 16일X
5.1.26612001년 8월 17일X
5.1.26622001년 8월 18일X
5.1.26632001년 8월 19일X
5.1.26642001년 8월 20일X
5.1.26652001년 8월 21일X
5.1.26662001년 8월 22일X
5.1.26672001년 8월 23일X
5.1.26682001년 8월 24일X
5.1.26692001년 8월 25일X
5.1.26702001년 8월 26일X
5.1.26722001년 8월 27일X
5.1.26762001년 8월 28일X
5.1.26792001년 8월 29일X
5.1.26802001년 8월 30일X
5.1.26822001년 8월 31일X
5.1.26852001년 9월 1일X
5.1.26862001년 9월 2일X
5.1.26902001년 9월 3일X
5.1.26922001년 9월 4일X
5.1.26962001년 9월 5일X
5.1.26992001년 9월 6일X
5.1.27002001년 11월 25일X빌드태그 5.1.2700.idx02.011125-1520
5.1.27012001년 9월 8일X
5.1.27022001년 9월 9일X
5.1.27032001년 9월 10일X
5.1.27042001년 9월 11일X
5.1.27052001년 9월 12일X
5.1.27062001년 9월 13일X
5.1.27072001년 9월 14일X
5.1.27082001년 9월 15일X
5.1.27092001년 9월 16일X
5.1.27102001년 9월 17일X
5.1.27112001년 9월 18일X
5.1.27122001년 9월 19일X
5.1.27172001년 9월 20일X
5.1.27202001년 9월 21일X
5.1.27212001년 9월 22일X
5.1.27222001년 9월 23일X
5.1.27232001년 9월 24일X
5.1.27242001년 9월 25일X
5.1.27252001년 9월 26일X
5.1.27262001년 9월 27일X
5.1.27272001년 9월 28일X
5.1.27282001년 9월 29일X
5.1.27292001년 9월 30일X
5.1.27302001년 10월 1일X
5.1.27322001년 10월 2일X
5.1.27372001년 10월 3일X
5.1.27422001년 10월 4일X
5.1.27472001년 10월 5일X
5.1.27502001년 10월 6일X
5.1.27512001년 10월 7일X
5.1.27522001년 10월 8일X
5.1.27572001년 10월 9일X
5.1.27602001년 10월 10일X
5.1.27622001년 10월 11일X
5.1.27672001년 10월 12일X
5.1.27692001년 10월 13일X
5.1.27702001년 10월 14일X
5.1.27712001년 10월 15일X
5.1.27722001년 10월 16일X
5.1.27732001년 10월 17일X
5.1.27742001년 10월 18일X
5.1.27752001년 10월 19일X
5.1.27762001년 10월 20일X
5.1.27772001년 10월 21일X
5.1.27782001년 10월 22일X
5.1.27792001년 10월 23일X
5.1.27802001년 10월 24일X
5.1.27812001년 10월 25일X
5.1.27822001년 10월 26일X
5.1.27872001년 10월 27일X
5.1.27922001년 10월 28일X
5.1.27972001년 10월 29일X
5.1.27992001년 10월 30일X
5.1.28002001년 10월 31일X
5.1.28012001년 11월 1일X
5.1.28022001년 11월 2일X
5.1.28032001년 11월 3일X
5.1.28042001년 11월 4일X
5.1.28052001년 11월 5일X
5.1.28062001년 11월 6일X
5.1.28072001년 11월 7일X
5.1.28082001년 11월 8일X
5.1.28092001년 11월 9일X
5.1.28102001년 11월 10일X
5.1.28122001년 11월 11일X
5.1.28182001년 11월 12일X
5.1.28202001년 11월 13일X
5.1.28212001년 11월 14일X
5.1.28222001년 11월 15일X
5.1.28232001년 11월 16일X
5.1.28242001년 11월 17일X
5.1.28252001년 11월 18일X
5.1.28262001년 11월 19일X
5.1.28272001년 11월 20일X
5.1.28282001년 11월 21일X
5.1.28292001년 11월 22일X
5.1.28302001년 11월 23일X
5.1.28322001년 11월 24일X
5.1.28382001년 11월 25일X
5.1.28422001년 11월 26일X
5.1.28482001년 11월 27일X
5.1.28492001년 11월 28일X
5.1.28502001년 11월 29일X
5.1.28522001년 11월 30일X
5.1.28552001년 12월 1일X
5.1.28582001년 12월 2일X
5.1.28602001년 12월 3일X
5.1.28612001년 12월 4일X
5.1.28622001년 12월 5일X
5.1.28672001년 12월 6일X
5.1.28682001년 12월 7일X
5.1.28702001년 12월 8일X
5.1.28722001년 12월 9일X
5.1.28732001년 12월 10일X
5.1.28782001년 12월 11일X
5.1.28792001년 12월 12일X
5.1.28802001년 12월 13일X
5.1.28812001년 12월 14일X
5.1.28822001년 12월 15일X
5.1.28832001년 12월 16일X
5.1.28842001년 12월 17일X
5.1.28852001년 12월 18일X
5.1.28862001년 12월 19일X
5.1.28872001년 12월 20일X
5.1.28882001년 12월 21일X
5.1.28892001년 12월 22일X
5.1.28902001년 12월 23일X
5.1.28922001년 12월 24일X
5.1.28982001년 12월 25일X
5.1.28992001년 12월 26일X
5.1.29002001년 12월 27일X
5.1.29012001년 12월 28일X
5.1.29022001년 12월 29일X
5.1.29032001년 12월 30일X
5.1.29042001년 12월 31일X
5.1.29052002년 1월 1일X
5.1.29062002년 1월 2일X
5.1.29072002년 1월 3일X
5.1.29082002년 1월 4일X
5.1.29092002년 1월 5일X
5.1.29102002년 1월 6일X
5.1.29112002년 1월 7일X
5.1.29122002년 1월 8일X
5.1.29192002년 1월 9일X
5.1.29202002년 1월 10일X
5.1.29212002년 1월 11일X
5.1.29222002년 1월 12일X
5.1.29232002년 1월 13일X
5.1.29242002년 1월 14일X
5.1.29252002년 1월 15일X
5.1.29262002년 1월 16일X
5.1.29272002년 1월 17일X
5.1.29282002년 1월 18일X
5.1.29292002년 1월 19일X
5.1.29302002년 1월 20일X
5.1.29322002년 1월 21일X
5.1.29332002년 1월 22일X
5.1.29372002년 1월 23일X
5.1.29392002년 1월 24일X
5.1.29402002년 1월 25일X
5.1.29422002년 1월 26일X
5.1.29462002년 1월 27일X
5.1.29492002년 1월 28일X
5.1.29502002년 1월 29일X
5.1.29512002년 1월 30일X
5.1.29522002년 1월 31일X
5.1.29532002년 2월 1일X
5.1.29552002년 2월 2일X
5.1.29582002년 2월 3일X
5.1.29592002년 2월 4일X
5.1.29602002년 2월 5일X
5.1.29622002년 2월 6일X
5.1.29632002년 2월 7일X
5.1.29642002년 2월 8일X
5.1.29692002년 2월 9일X
5.1.29702002년 2월 10일X
5.1.29722002년 2월 11일X
5.1.29742002년 2월 12일X
5.1.29752002년 2월 13일X
5.1.29762002년 2월 14일X
5.1.29792002년 2월 15일X
5.1.29802002년 2월 16일X
5.1.29822002년 2월 17일X
5.1.29902002년 2월 18일X
5.1.29912002년 2월 19일X
5.1.29922002년 2월 20일X
5.1.29932002년 2월 21일X
5.1.29942002년 2월 22일X
5.1.29952002년 2월 23일X
5.1.29962002년 2월 24일X
5.1.29972002년 2월 25일X
5.1.29982002년 2월 26일X
5.1.29992002년 2월 27일X
5.1.30002002년 2월 28일X
5.1.30012002년 3월 1일X
5.1.30022002년 3월 2일X
5.1.30032002년 3월 3일X
5.1.30042002년 3월 4일X
5.1.30052002년 3월 5일X
5.1.30062002년 3월 6일X
5.1.30072002년 3월 7일X
5.1.30082002년 3월 8일X
5.1.30092002년 3월 9일X
5.1.30102002년 3월 10일X
5.1.30112002년 3월 11일X
5.1.30122002년 3월 12일X
5.1.30132002년 3월 13일X
5.1.30142002년 3월 14일X
5.1.30152002년 3월 15일X
5.1.30162002년 3월 16일X
5.1.30172002년 3월 17일X
5.1.30182002년 3월 18일X
5.1.30192002년 3월 19일X
5.1.30202002년 3월 20일X
5.1.30212002년 3월 21일X
5.1.30222002년 3월 22일X
5.1.30232002년 3월 23일X
5.1.30242002년 3월 24일X
5.1.30252002년 3월 25일X
5.1.30262002년 3월 26일X
5.1.30272002년 3월 27일X
5.1.30282002년 3월 28일X
5.1.30292002년 3월 29일X
5.1.30302002년 3월 30일X
5.1.30312002년 3월 31일X
5.1.30322002년 4월 1일X
5.1.30332002년 4월 2일X
5.1.30342002년 4월 3일X
5.1.30352002년 4월 4일X
5.1.30362002년 4월 5일X
5.1.30372002년 4월 6일X
5.1.30382002년 4월 7일X
5.1.30392002년 4월 8일X
5.1.30402002년 4월 9일X
5.1.30532002년 4월 10일X
5.1.30632002년 4월 11일X
5.1.30752002년 4월 12일X
5.1.30932002년 4월 13일X
5.1.30992002년 4월 14일X
5.1.31002002년 4월 15일X
5.1.31012002년 4월 16일X
5.1.31022002년 4월 17일X
5.1.31032002년 4월 18일X
5.1.31042002년 4월 19일X
5.1.31052002년 4월 20일X
5.1.31062002년 4월 21일X
5.1.31072002년 4월 22일X
5.1.31082002년 4월 23일X
5.1.31092002년 4월 24일X
5.1.31102002년 4월 25일X
5.1.31112002년 4월 26일X
5.1.31122002년 4월 27일X
5.1.31132002년 4월 28일X
5.1.31142002년 4월 29일X
5.1.31152002년 4월 30일X
5.1.31162002년 5월 1일X
5.1.31172002년 5월 2일X
5.1.31182002년 5월 3일X
5.1.31192002년 5월 4일X
5.1.31202002년 5월 5일X
5.1.31232002년 5월 6일X
5.1.31262002년 5월 7일X
5.1.31302002년 5월 8일X
5.1.31312002년 5월 9일X
5.1.31322002년 5월 10일X
5.1.31332002년 5월 11일X
5.1.31342002년 5월 12일X
5.1.31352002년 5월 13일X
5.1.31362002년 5월 14일X
5.1.31372002년 5월 15일X
5.1.31382002년 5월 16일X
5.1.31392002년 5월 17일X
5.1.31402002년 5월 18일X
5.1.31432002년 5월 19일X
5.1.31502002년 5월 20일X
5.1.31532002년 5월 21일X
5.1.31582002년 5월 22일X
5.1.31672002년 5월 23일X
5.1.31992002년 5월 24일X
5.1.32002002년 5월 25일X
5.1.32012002년 5월 26일X
5.1.32022002년 5월 27일X
5.1.32032002년 5월 28일X
5.1.32042002년 5월 29일X
5.1.32052002년 5월 30일X
5.1.32062002년 5월 31일X
5.1.32072002년 6월 1일X
5.1.32082002년 6월 2일X
5.1.32092002년 6월 3일X
5.1.32102002년 6월 4일X
5.1.32112002년 6월 5일X
5.1.32122002년 6월 6일X
5.1.32132002년 6월 7일X
5.1.32202002년 6월 8일X
5.1.32212002년 6월 9일X
5.1.32222002년 6월 10일X
5.1.32232002년 6월 11일X
5.1.32242002년 6월 12일X
5.1.32252002년 6월 13일X
5.1.32262002년 6월 14일X
5.1.32272002년 6월 15일X
5.1.32282002년 6월 16일X
5.1.32292002년 6월 17일X
5.1.32302002년 6월 18일X
5.1.32312002년 6월 19일X
5.1.32322002년 6월 20일X
5.1.32332002년 6월 21일X
5.1.32342002년 6월 22일X
5.1.32352002년 6월 23일X
5.1.32362002년 6월 24일X
5.1.32372002년 6월 25일X
5.1.32382002년 6월 26일X
5.1.32392002년 6월 27일X
5.1.32402002년 6월 28일X
5.1.32462002년 6월 29일X
5.1.32502002년 6월 30일X
5.1.32532002년 7월 1일X
5.1.32602002년 7월 2일X
5.1.32992002년 7월 3일X
5.1.33002002년 7월 4일X
5.1.33012002년 7월 5일X
5.1.33022002년 7월 6일X
5.1.33032002년 7월 7일X
5.1.33042002년 7월 8일X
5.1.33052002년 7월 9일X
5.1.33062002년 7월 10일X
5.1.33072002년 7월 11일X
5.1.33082002년 7월 12일X
5.1.33092002년 7월 13일X
5.1.33102002년 7월 14일X
5.1.33132002년 7월 15일X
5.1.33232002년 7월 16일X
5.1.33302002년 7월 17일X
5.1.33312002년 7월 18일X
5.1.33322002년 7월 19일X
5.1.33332002년 7월 20일X
5.1.33342002년 7월 21일X
5.1.33352002년 7월 22일X
5.1.33362002년 7월 23일X
5.1.33372002년 7월 24일X
5.1.33382002년 7월 25일X
5.1.33392002년 7월 26일X
5.1.33402002년 7월 27일X
5.1.33532002년 7월 29일X
5.1.33582002년 7월 30일X
5.1.33632002년 7월 28일X빌드태그 3363.Lab06_N.020728-1728
5.1.33802002년 7월 31일X
5.1.33992002년 8월 1일X
5.1.34002002년 8월 2일X
5.1.34012002년 8월 3일X
5.1.34302002년 8월 4일X
5.1.34312002년 8월 5일X
5.1.34322002년 8월 6일X
5.1.34332002년 8월 7일X
5.1.34342002년 8월 8일X
5.1.34352002년 8월 12일X
5.1.34362002년 8월 13일X
5.1.34372002년 8월 14일X
5.1.34382002년 8월 17일X
5.1.34392002년 8월 18일X
5.1.34402002년 8월 19일X
5.1.34412002년 8월 20일X
5.1.34422002년 8월 21일X
5.1.34432002년 8월 23일X
5.1.34442002년 8월 24일X
5.1.34452002년 8월 25일X
5.1.34462002년 8월 31일X
5.1.34472002년 9월 1일X
5.1.34482002년 9월 2일X
5.1.34492002년 9월 5일X
5.1.34502002년 9월 9일X
5.1.34532002년 9월 11일X
5.1.34992002년 9월 20일X
5.1.35002001년 6월 26일X
5.1.35012001년 6월 27일X
5.1.35022001년 6월 28일X
5.1.35032001년 6월 29일X
5.1.35042001년 6월 30일X
5.1.35052001년 7월 10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05.idx02.010710-1030. Windows XP와 거의 차이가 없다. 이 빌드를 통해 Microsoft는 Windows XP에서 사용되는 2xxx 범위에서 빌드 번호를 3xxx로 높였다. 설치 중 왼쪽 상단 로고의 XP 텍스트가 제거되었다.
5.1.35062001년 7월 1일X
5.1.35072001년 7월 2일X
5.1.35082001년 7월 3일X
5.1.35092001년 7월 4일X
5.1.35102001년 7월 5일X
5.1.35112001년 7월 6일X
5.1.35122001년 7월 7일X
5.1.35132001년 7월 8일X
5.1.35142001년 7월 9일X
5.1.35152001년 7월 11일X
5.1.35162001년 7월 12일X
5.1.35172001년 7월 13일X
5.1.35182001년 7월 14일X
5.1.35192001년 7월 15일X
5.1.35202001년 7월 16일X
5.1.35212001년 7월 17일X
5.1.35222001년 7월 18일X
5.1.35232001년 7월 19일X
5.1.35242001년 7월 20일X
5.1.35252001년 7월 22일X
5.1.35262001년 7월 23일X
5.1.35272001년 7월 21일X
5.1.35282001년 7월 20일X
5.1.35292001년 7월 24일X
5.1.35302001년 7월 25일X
5.1.35312001년 7월 30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31.main.010730-1811. 설치 중 왼쪽 상단 로고의 XP 텍스트가 RTM에서 발견된 설치화면이 되돌아갔다.
5.1.35322001년 7월 26일X
5.1.35332001년 7월 27일X
5.1.35342001년 7월 28일X
5.1.35352001년 7월 29일X
5.1.35362001년 7월 30일X
5.1.35372001년 7월 31일X
5.1.35382001년 8월 1일X
5.1.35392001년 8월 2일X
5.1.35402001년 8월 3일X
5.1.35412001년 8월 10일X
5.1.35422001년 8월 4일X
5.1.35432001년 8월 5일X
5.1.35442001년 8월 14일X
5.1.35452001년 8월 10일X
5.1.35462001년 8월 11일X
5.1.35472001년 8월 12일X
5.1.35482001년 8월 13일X
5.1.35492001년 8월 18일X
5.1.35502001년 8월 19일X
5.1.35512001년 9월 17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51.Lab01_N(storbuild).010917-1031
5.1.35522001년 9월 19일X
5.1.35532001년 9월 26일X
5.1.35542001년 9월 23일X
5.1.35552001년 9월 25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55.lab01_n(storbuild).010925-0806
5.1.35562001년 9월 26일X
5.1.35572001년 9월 27일X빌드태그 3557.Lab06_DEV(lamadio).010927-0921
5.1.35582001년 10월 4일X
5.1.35592001년 10월 5일X
5.1.35602001년 10월 6일X
5.1.35612001년 10월 3일X빌드태그 3561.Lab01_N(storbuild).011003-1326
5.1.35622001년 10월 2일X빌드태그 3562.Lab03_N.011002-1958
5.1.35632001년 10월 1일X
5.1.35642001년 10월 19일X
5.1.35652001년 10월 23일X
5.1.35662001년 11월 11일X
5.1.35672001년 11월 13일X
5.1.35682001년 11월 14일X
5.1.35692001년 11월 16일X
5.1.35702001년 11월 17일X
5.1.35712001년 11월 23일X
5.1.35722001년 11월 24일X
5.1.35732001년 10월 24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73.Lab06_DEV(joeball).011024-1359
5.1.35742001년 11월 27일X
5.1.35752001년 11월 28일X
5.1.35762001년 11월 29일X
5.1.35772001년 11월 30일X
5.1.35782001년 12월 1일X
5.1.35792001년 12월 2일X
5.1.35802001년 12월 3일X
5.1.35812001년 12월 5일X
5.1.35822001년 12월 6일X
5.1.35832001년 12월 7일X
5.1.35842001년 12월 8일X
5.1.35852001년 12월 12일X
5.1.35862001년 12월 14일X
5.1.35872001년 12월 17일X
5.1.35882001년 12월 18일X
5.1.35892001년 11월 10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89.Lab01_N(johnstra).011110-2230
5.1.35902001년 11월 10일X빌드태그는 Windows XP Build 3590.main.011110-1652
2001년 11월 18일X빌드태그 3590.Lab01_N.011118-2000
5.1.35912001년 12월 23일X
5.1.35922001년 12월 24일X
5.1.35932001년 11월 29일X빌드태그 3593.Lab01_N(daved).011129-1917
5.1.35942001년 12월 26일X
5.1.35952001년 12월 3일X빌드태그 3595.Lab01_N.011203-0927
2002년 1월 7일X빌드태그 3595.Lab02_N(ntvbl02).020107-1351
5.1.35962001년 12월 28일X
5.1.35972001년 12월 29일X
5.1.35982001년 12월 31일X
5.1.35992002년 1월 7일X빌드태그 3599.Lab02_N(ntvbl02).020107-1351
6.0.36002002년 1월 1일X

마소에서 휘슬러 빌드 목록을 공개한 문서가 없어서 유출본과 코드 검출이 주축으로 기록됐으며, 이 때문인지 컴파일 날짜나 빌드넘버 사이 갭이 있는 경우가 좀 있다.

초기 사전 베타의 경우 빌드 2202~2211~2222, 2257~2267 간 1달여의 갭이 존재한다. 또한 빌드넘버의 간격이 느슨한 편. 2000년 4월 이전까지는 밀레니엄 쪽에 개발을 신경쓰다가 밀레니엄이 개발이 끝나갈 때 쯤 개발진을 휘슬러 쪽으로 이동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베타 1의 경우 대부분의 빌드가 유출되지 않았고, 그나마 빌드 2296은 테스터들에게 배포된 빌드이다. 또 2300번대 빌드가 하나도 기록되지 않았다. 의도적으로 빌드를 2400번대로 조정한 듯 하다. 빌드 2400.1이 10월에 나온 것을 보면 2300번대는 스킵하고 2400번대부터 컴파일했다고 봐도 좋다. 당시 개발이 막 끝났던 Windows Me가 2300번대 빌드를 사용했었기에 빌드넘버 중복을 막기 위해서라는 추측도 있고 여러 추측이 난무한다.

빌드 2419가 2001년 1월 13일에, 빌드 2428이 동년 1월 29일에 컴파일 됐는데, 그 사이에 있는 2422는 2월 1일에 컴파일됐다고 표시되어 있다. XP 소스코드가 유출되기 전까지, 베타아카이브 등 윈도우 운영체제 매니아들이 모이는 커뮤니티에서는 "컴파일된 날짜를 1월 21일로 표기했어야 하는데, 2월 1일로 오타를 낸 것이다"는 주장과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조작된 빌드이다" 라는 주장 등 여러 추측이 난무했었다.

빌드 2465부터 "Windows 둘러보기(Windows Tour)" 라는 프로그램이 도입됐다. C:\\Windows\\Help\\Tour 폴더에 들어가서 'tour.exe' 아이콘을 클릭해 이용할 수 있다. 둘러보기 프로그램 도입은 빌드 2419 시절부터 준비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빌드 2464까지는 둘러보기 프로그램이 들어 있어야 할 폴더에 "HelloWorld" 라는 문구와 우스꽝스러운 배경음악, 그리고 정체 모를 우주인의 사진이 반복해서 나오기만 하는 괴랄한 플래시 영상이 들어있다.[17] 아마 애니메이션 테스트 파일인 듯하다.

ZDNet 등에서 썼던 당시 뉴스 기사에 의하면 2000년 3월 21일 당시 최신 개발자용 빌드로 2207, 최신 내부 테스트 빌드로 2214 등이 있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확인할 길이 없다. 참고로 해당 뉴스기사는 빌드 2211이 유출되어 퍼져나가고 있다는 내용이다.

롱혼과 달리 달리 빌드넘버가 겹치는 경우는 많이 없다. 이는 휘슬러 개발 당시 Microsoft에서 빌드넘버를 부여할 때 엄격하게 규칙을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규칙은 롱혼 개발 초창기 마일스톤 3 때까지 적용된 것으로 보인다.

베타 2까지는 버전 번호가 5.1이 아닌 5.01로 표시됐었다. 그 둘은 같은 버전 번호이다.[18]


5.1.2. 서비스팩 빌드[편집]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SP 1 베타5.1.2600.10242002년 4월 19일X
5.1.2600.10272002년 4월 24일X빌드태그 2600.1027.xpsp1.020424-1943
5.1.2600.10292002년 4월 26일X
5.1.2600.10372002년 5월 8일X
5.1.2600.10382002년 5월 9일X
5.1.2600.10392002년 5월 11일X
5.1.2600.10402002년 5월 13일X
5.1.2600.10412002년 5월 14일X
5.1.2600.10432002년 5월 16일X
5.1.2600.10442002년 5월 17일X
5.1.2600.10452002년 5월 20일X
5.1.2600.10462002년 5월 21일X
5.1.2600.10472002년 5월 22일X
5.1.2600.10482002년 5월 23일X
5.1.2600.10502002년 5월 29일O여기에는 특정 확장명과 함께 기본적으로 사용할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프로그램 액세스 및 기본 프로그램 설정" 제어판 애플릿이 포함되어 있다.
5.1.2600.10602002년 6월 18일X빌드태그 2600.1060.xpsp1.020618-1800
5.1.2600.10652002년 6월 25일O빌드태그 2600.1065.xpsp1.020625-1800
5.1.2600.10782002년 7월 16일O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베타 새로고침
5.1.2600.10812002년 7월 19일O2020년 11월 2일에 유출되었다.
5.1.2600.10972002년 8월 13일X빌드태그 2600.1097.xpsp1.020813-2140
5.1.2600.11022002년 8월 19일X빌드태그 2600.1102.xpsp1.020819-1930
SP 15.1.2600.11062002년 8월 28일O업데이트 개시일은 8월 30일. 2002년 9월 9일에 출시된 Windows XP 서비스 팩 1의 공식 RTM 빌드다! 이 빌드의 소스 코드는 Windows Server 2003의 RTM 빌드와 함께 2020년 9월 23일에 유출되었다. 이 릴리스는 Windows XP Tablet PC Edition 및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의 기반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Windows NT 4.0과 Windows 98의 최초 릴리스에서 업그레이드 경로를 지원하는 마지막 Windows 버전이다.
SP 2 베타5.1.2600.11552002년 12월 17일O빌드태그 2600.1155.xpsp2.021217-1051
5.1.2600.11852003년 3월 13일O빌드태그 2600.1185.xpsp2.030313-1931
이 빌드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버전 5.1.2600.1154로 업데이트한다.
5.1.2600.11942003년 4월 1일O빌드태그 2600.1194.xpsp2.030401-1855
5.1.2600.12042003년 4월 10일O빌드태그 2600.1204.xpsp2.030410-1604
5.1.2600.12132003년 4월 24일O빌드태그 2600.1213.xpsp.030424-1654
5.1.2600.20552003년 12월 15일O빌드태그 2600.2055.xpsp_sp2_beta1.031215-1745
여기에는 사용자가 자동 ​​업데이트를 켤지 여부를 나타내는 설치 재부팅 후 OOBE가 포함된다. 2019년 7월 18일에 유출되기 전까지 서비스 팩 설치 프로그램으로만 사용할 수 있었다.
SP 2 RC15.1.2600.20752004년 2월 2일O이 버전에서는 약간 손상되어 있어 설치과정에 버그가 났다. 이 빌드를 설치하려면 Windows XP 빌드 2600.2055의 빌려서 정상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 베타, 2개
5.1.2600.20822004년 2월 16일O
5.1.2600.20942004년 3월 8일X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 베타, 3개
5.1.2600.20952004년 3월 10일X
5.1.2600.20962004년 3월 11일O
SP 2 RC25.1.2600.21112004년 4월 9일O
5.1.2600.21202004년 4월 23일O
5.1.2600.21262004년 5월 3일O
5.1.2600.21352004년 5월 18일O
5.1.2600.21372004년 5월 20일O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 베타, 1개
5.1.2600.21382004년 5월 22일O
5.1.2600.21422004년 5월 28일O
5.1.2600.21482004년 6월 7일O
5.1.2600.21492004년 6월 10일O
5.1.2600.21602004년 7월 1일OWindows XP Media Center Edition 2005 RC0, 1개
5.1.2600.21622004년 7월 9일O전체 설치 파일이 아닌 빠른 설치 파일이다.
5.1.2600.21792004년 8월 2일O
SP 25.1.2600.21802004년 8월 3일O업데이트 개시일은 9월 17일.
SP 3 베타5.1.2600.31802007년 7월 18일O
5.1.2600.32052007년 8월 31일O
5.1.2600.32442007년 10월 30일O
5.1.2600.32642007년 11월 30일O
5.1.2600.32822007년 12월 27일O
5.1.2600.33002008년 1월 25일O
5.1.2600.33112008년 2월 12일O
5.1.2600.55032008년 3월 6일O
5.1.2600.55082008년 3월 20일O
5.1.2600.55112008년 4월 4일O
SP 35.1.2600.55122008년 4월 13일O업데이트 개시일은 4월 21일.
SP2 사후 업데이트5.1.26002008년 8월 14일X빌드태그 2600.xp_sp2_qfe.080814-1242
5.1.2600.35202009년 2월 6일X
SP3 사후 업데이트5.1.2600.55132008년 4월 13일X
5.1.26002009년 2월 6일X빌드태그 2600.xp_sp3_qfe.090206-1316
5.1.26002010년 2월 16일X빌드태그 2600.xp_sp3_qfe.100216-1510
5.1.26002010년 12월 9일X빌드태그 2600.xp_sp3_qfe.101209-1647
5.1.26002011년 10월 25일X빌드태그 2600.xp_sp3_qfe.111025-1623
5.1.2600.63682013년 3월 7일X
5.1.2600.64192013년 7월 4일X
5.1.2600.64352013년 8월 3일X
5.1.2600.64602013년 10월 9일X
5.1.2600.64622013년 7월 4일X
5.1.2600.65322014년 3월 12일X
5.1.2600.65962014년 7월 6일X
5.1.2600.66042014년 7월 15일X
5.1.2600.66252014년 8월 22일X
5.1.2600.67592015년 2월 5일X

서비스팩 역시 유출본 주축으로 기록됐다. SP1의 유출된 베타 빌드는 3개뿐이며 나머지는 스크린샷 한 장조차 없다. SP2/SP3 베타의 몇몇 빌드는 컴파일에 거의 최소 1달~최대 1년여의 갭이 있다.

서비스팩 사후 업데이트는 Windows Update를 했을 때 업데이트 파일로 제공되는 여러 코드에서 검출된다. 2014년 4월 8일 Windows XP의 지원이 종료될 즈음부터의 업데이트(빌드 2600.6532~2600.6759)는 지원 종료 이후의 XP 사용 컴퓨터들을 위한 최종 업데이트로 보인다. 혹은 MSE의 XP 지원 연장에 대한 일환일 수도 있다. 이들은 업데이트에 대한 마소 공개 문서에서 발견된다.


5.1.3. x64[편집]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베타5.1.35902002년 1월 8일X
5.2.37542003년 1월 23일
5.2.3790.10332003년 7월 7일
5.2.3790.10392003년 8월 7일
5.2.3790.10692003년 9월 5일
5.2.3790.11732004년 3월 18일
5.2.3790.11842004년X
5.2.3790.12182004년 7월 8일O[19]
2004년 7월 26일O[20]
5.2.3790.12472004년 10월 11일O
5.2.3790.12602004년 11월 6일O
5.2.3790.12892004년 12월 2일O
5.2.3790.14212005년 1월 18일O
5.2.3790.14332005년 2월 3일O
RTM5.2.3790.18302005년 3월 24일O
SP 2 RC5.2.3790.28252006년 11월 3일O
SP 25.2.3790.39592007년 2월 16일O


5.1.4. IA64[편집]


개발단계빌드컴파일 일자유출/배포비고
베타 15.1.22852000년 10월 9일
5.1.2296.12000년 10월 24일
사전 베타 25.1.2410.12000년 12월 12일X
5.1.24282001년 1월 29일X
베타 25.1.24622001년 3월 15일O
사전 RC 15.1.24962001년 6월 중순경X
RTM5.1.26002001년 8월 17일O
SP 15.1.2600.11062002년 8월 28일O
베타
(버전 2003)
5.2.37872003년 3월 12일O[21]
RTM
(버전 2003)
5.2.37902003년 3월 24일O[22]


5.2. 가짜 시작음과 종료음[편집]


흔히 휘슬러 부팅음이라고 신비로운 음악이 떠도는데 거짓이다. 실제로는 Windows 98 종료음 역재생 + 윈도우 엔터테인먼트 팩:더 퍼즐 콜렉션 게임 효과음(1옥타브 낮추었다) + Windows 2000 베타 3의 시작음 역재생을 섞어 만든 것이다. 아마 이전 작품과 이후 작품의 베타에서만 쓰인 부팅음이 존재했다는 것[23]과 당시 Windows 사운드의 몽환적인 분위기도 잘 살렸기에 사람들이 속아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종료음 역시도 BeOS의 시작음들 중 하나를 가져와 휘슬러 종료음이라고 속이는 식의 영상이 많으나, 실제로는 시작음과 종료음 모두 Windows 2000 사운드를 그대로 쓰다가 중간부터 XP의 사운드를 적용하였다.


6. 역대 베타 부팅화면[편집]


사전/기술 베타
(Build 2257)[24]
베타 1 ~ 사전 베타 2 초기
(Build 2264 ~ 2416)
사전 베타 2
(Build 2419)
베타 2 ~ 사전 RC1 초기
(Build 2428 ~ 2469)
사전 RC 1
(Build 2474 ~ 2475)
RC 1 이후
(Build 2481 ~ )[25]




[1] 해당 사례는 관리자가 조작이라고 판정하고 스레드를 닫았으나, 해당 스레드의 게시자가 5000 빌드를 진짜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2] 불분명하다.[3] 해당 이미지[4] #[5] 5179는 5079의 오타나 버그라는 설이 유력하다.[6] 저 로고는 엄밀히는 베타 1 시절에 쓰인 부팅화면의 일부이다. 이전에는 2000에다가 Whistler로만 이름이 바뀐 화면이었고, 베타 2부터는 로고가 바뀌었다.[7] 흔히 베타 2로 알려진 빌드들이다. 당장 저 부팅화면 밑에 Beta 2 Release(베타 2 릴리즈)라고 당당히 써져있다.[8] Windows 2000 기반.[9] 빌드 2196의 컴파일 시기 추정 일자.[10] #[VW] A B VMware에서 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 Workstation Pro 기준으로 가상머신을 만들 때 Custom을 선택한 후, Disk Type에서 IDE를 선택한다. # 이 과정이 귀찮다면, 가상 머신을 만들 때 운영 체제를 Windows XP로 맞춰주면 된다.[11] #[12] #[13] 충격 주의[14] #[15] #[16] 빌드 2601부터는 Windows Longhorn 프로젝트의 기반 개발 빌드가 된다.[17] 미션 패치를 일일이 찾아 본 결과 해당 영상의 우주인의 정체는 우주왕복선 챌린저의 미션이었던 STS-41-B에 탑승한 Bruce McCandless의 MMU 시험 사진으로 추정된다.[18] 9x 시절에는 버전 번호를 소수처럼 취급해서 4.1 = 4.10, 4.9 = 4.90이었다. Windows 2000부터는 그러지 않아서 5.01과 5.1이 서로 같은 것이다.[19] 빌드태그 3790.1218.dnsrv.040708-2027[20] 빌드태그 3790.1218.dnsrv_idx01.040726-1300[21] 빌드태그 3787.srv03_rtm.030312-1801[22] 빌드태그 3790.srv03_rtm.030324-2040[23] Windows 2000의 경우 베타에서만 부팅음이 4번 바뀌었다.[24] 빌드 2250까지는 Windows 2000 Professional의 부팅화면을 그대로 사용했다. 참고[25] RTM의 것과 색조가 미묘하게 달라 보이지만 사실 여기에 올라온 gif의 명암이 살짝 높은 것이다. betawiki에서 확인한 결과 2474 이후 로고 색조의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