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신웅

덤프버전 :

이름황신웅
닉네임X-bow master[1][2]
생년월일2001.09.14
출신지경기도 안양시
학력양명고등학교 졸업
종목클래시 로얄
최고 트로피8134
소속 팀KING-ZONE DragonX
(2018.?.?~2018.12.31)

OP.GG SPORTS
(2019.4.17~2019.11.27)
FAV Gaming
(2020.03.06~2021.02)

ZETA DIVISION
(2021.02.16 ~2021.10.01)
SNS트위터
1. 개요
2. 상세
3. 플레이 스타일
4. 수상 기록
5. 역대 성적
5.1. 2017년
5.2. 2018년
5.2.1. CRL ASIA 2018 S1
5.2.2. CRL ASIA 2018 S2
5.2.2.1. 성적
5.3. 2019년
5.3.1. CRL ASIA 2019 S1
5.3.1.1. 성적
5.3.2. CRL ASIA 2019 S2
5.3.2.1. 성적
5.4. 2020년
5.4.1. Special Season
5.4.1.1. 성적
5.4.2. 가을 시즌
5.4.2.1. 성적
5.5. 2021년
6. 은퇴
7. 은퇴 이후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前 ZETA DIVISION 소속 한국인 클래시 로얄프로게이머인 X-bow master 황신웅에 관해 서술하는 문서이다.

2. 상세[편집]


파일:CRL_2019_S2_Xbm.png

한국 최고의 스타플레이어

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2019 시즌2의 이벤트전에서 X-bow master에게 붙여준 수식어.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년간 리그를 중계했던 OGN이 마지막으로 맡게 되는 시즌을 마무리하면서 리그의 흥행에 큰 몫을 차지한 선수에게 바치는 헌정 수식어라고 볼 수 있다.

클래시 로얄 한국 프로게이머 중 독보적인 인지도와 실력을 가진 선수로, 한국 클래시 로얄판 최초의 슈퍼스타이자[3] 현재까지도 클래시로얄 한국인 프로게이머의 대표격되는 선수다. 아시안 게임 포함 4번의 클래시 로얄 국제 대회에 출전하는 등 커리어면에서도 현재까지 가장 많은 경험을 쌓고 있다.

인기 면에서도 선두를 달린다. 위의 이벤트전에 출전하는 선수는 팬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는데, 9349점으로 1만 명 가까이 차이를 내며 1위를 차지해 뽑혔다.[4] 이후 한국 팀을 떠나 일본의 FAV 소속으로 뛰고 있지만 여전히 한국 팬들의 응원을 열렬하게 받고 있으며, 이것이 FAV 팀에 대한 응원으로 확산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수비적인 플레이가 기본인 클래시 로얄 대회에서 공격적인 플레이를 많이 하면서도[5] 특유의 센스로 좋은 경기 결과들을 낸다. 한번 공격 주도권을 잡으면 숨쉴틈도 없이 몰아치며 상대를 압박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그래서 하이라이트 영상 메인이 X-bow master가 될 경우 재밌는 명경기나 극적인 올킬 등이 나와 조회수가 높게 나오며, 덕분에 해외에서도 이름이 꽤 알려져 있다.[6]

단점은 공격을 가는 각은 최고지만 그에 반해 수비는 조금 아쉬운 편이다. 유독 토네이도로 수비를 할 때 실수가 많은 편.

4. 수상 기록[편집]


우승 경력
클래시 로얄
클래시 로얄 크라운컵 코리아
Beaver대형석궁장인
--
2018 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 시즌2 우승
PONOSKING-ZONE DragonXPONOS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 2020 스페셜 시즌 우승
대회 개최FAV GamingNova Esports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 2020 스페셜 시즌 FINAL MVP
파이널 MVP
시상 출범
황신웅
(FAV Gaming)
Lciop
(Nova Esports)

5. 역대 성적[편집]




5.1. 2017년[편집]


크라운 챔피언십에 대형석궁장인이라는 닉네임으로 출전했다. 한국 1위로 글로벌 시리즈에 진출했다.

5.2. 2018년[편집]


클래시 로얄 첫 프로리그 클래시 로얄 리그 아시아에 King-Zone DragonX 소속으로 출전했고[7] 시즌 내내 팀의 에이스로서 캐리했다.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한국 국가대표로 선발됐으나, 동아시아 지역예선에서 탈락했다.

5.2.1. CRL ASIA 2018 S1[편집]


1vs1을 완전히 전담하며 정규시즌 10승 4패(set)[8]라는 기록을 세우고 킹존은 한국 1위로 플레이오프를 진출했다. 플옵에서도 일본 2위였던 PONOS를 상대로 혼자 1, 4세트를 2:1으로 가져갔으나 2, 3세트 내리 패배하며 5세트 KOH[9]로 간다. KOH에서도 상대 tengod의 올킬을 막고 역 올킬 직전까지 가지만 PONOS의 에이스 MIKANBOYA에게 패배하며 PONOS가 결승으로 가고 킹존은 최종 3위로 마무리한다.한마디로 혼자 9인분 했는데 10인분 못해서 졌다.

5.2.2. CRL ASIA 2018 S2[편집]


전 시즌 우승팀 PONOS를 상대로 올킬 하이라이트
초반 2vs2로 출격했으나 성적이 좋지 않자 이후 1v1을 도맡았다. 전 시즌과 마찬가지로 팀의 에이스로서 개인전, KoH를 하드캐리하며 팀을 결승으로 올렸다.
결승 Bren Esports전에서도 1세트 2v2를 패배했지만 2세트에서 에이스 Manonggipi 상대로 승리, 이후 3, 4세트에서 Big daddy와 Ho가 승리하면서 킹존은 3대1로 우승, 2018 클래시로얄 월드파이널 진출권을 얻었다. 월드파이널에서도 6강 Teaam Queso와의 경기에서 캐리하면서 승리했지만 4강 Nova Esports에게 패하면서 일정을 마무리했다. 그 와중에도 상대 팀의 에이스인 Lciop을 2대0으로 잡아내며 KoH까지 끌고가는 등 분전했다.

5.2.2.1. 성적[편집]

최종 순위: 1st place

1vs1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MIKANBOYAPONOS SPORTS일본2:1 win
Benzer RidelChaos theory동남아시아1:2 loss
PiramekiDetonatioN Gaming일본2:0 win
TNTOGN ENTUS한국1:2 loss
sinchuSANDBOX한국2:0 win
BeaverSANDBOX한국2:0 win
Manong JhipeeBren Esports동남아시아2:1 win

KOH[10]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KKGamewith일본win
RolaporonPONOS SPORTS일본win
MIKANBOYAPONOS SPORTS일본win
Raiki jonesPONOS SPORTS일본win
Master Hongahq esports club동남아시아win
tempuraDetonatioN Gaming일본win
kooDetonatioN Gaming일본win
PiramekiDetonatioN Gaming일본loss
one crownOGN ENTUS한국loss

1vs1: 5W 2L
KOH: 7W 2L(1 All kill)



5.3. 2019년[편집]



5.3.1. CRL ASIA 2019 S1[편집]


Talon전 패배위기에서 등판해 역 올킬로 팀을 살려낸 장면.
OP.GG SPORTS로 이적했다.[11] 개막전 탈론의 Master Hong을 상대로 1vs1, KOH에서 승리하면서 순항하는 듯 보였으나 슬럼프가 왔는지 이후 연패하면서 작년만큼 압도적인 모습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그래도 같은 조의 중하위권 팀들[12]이 더 상태가 안좋다보니 플레이오프는 무난하게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 Talon전에서 3세트까지 끌려간 끝에 2대0까지 몰린 상황, KOH 올킬을 당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마지막 주자로 나와 역올킬을 해내며 팀을 2라운드로 이끌었다. 그러나 다음 라운드 Bren Esports전을 패배하며 탈락했다.

5.3.1.1. 성적[편집]

최종 순위: 6th place

1vs1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Master HongTalon동남아시아2:1 win
JaiiBren Esports동남아시아1:2 loss
TNTOGN ENTUS한국1:2 loss
BenzerChaos theory동남아시아0:2 loss
JackFAV Gaming일본1:2 loss
Yugi_artTalon동남아시아1:2 loss
JaiiBren Esports동남아시아0:2 loss

KOH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Master HongTalon동남아시아win
SadoSANDBOX한국loss
MaluntinKIX동남아시아loss
MIKANBOYAPONOS일본loss
JackFAV Gaming일본win
KENTUSMESHIFAV Gaming일본loss
XiakeTalon동남아시아win
Yugi_artTalon동남아시아win
SBTalon동남아시아win


1vs1: 1W 6L
KOH: 5W 4L(1 All Kill)



5.3.2. CRL ASIA 2019 S2[편집]


S2에서도 S1에서의 부진을 이겨내지 못했다. 본인이 2v2로 출전하고 HuNi를 비롯한 2v2 선수들이 1v1에 대신 나가는 등 우여곡절끝에 플레이오프에는 올라갔다. 정규시즌에 한번 패배했던 DragonX를 상대로 복수에 성공했지만, 이후 FAV와 Chaos Theory에게 연달아 패배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월드파이널 진출에 실패하면서 작년보다 조금 일찍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2019년 마지막 공식전인 이벤트전에서는 한국의 슈퍼스타 수식어를 달고 Benzer Ridel에게 승리하면서 유종의 미를 거뒀다.

여러모로 작년의 압도적인 모습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시즌이었다. 팀의 2v2 성적이 한국팀 중에서도 가장 낮은 편이다 보니 압박감을 느낄 수 밖에 없었고, 본인도 친정팀의 Line, OGN Entus의 TNT, Chaos의 Benzer, FAV의 Jack 등 라이벌들에게 패배를 계속 적립하다보니 호성적이 나오기 힘들었다.

5.3.2.1. 성적[편집]

최종 순위: 5th place

1vs1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DandelionOGN ENTUS한국1:2 loss
JackFAV Gaming일본0:2 loss
iSlawSandbox Gaming한국1:2 loss
KKGamewith일본2:0 win
JackFAV Gaming일본2:1 win
iSlawSandbox Gaming한국2:0 win
RolaporonGamewith일본2:0 win
LineDragonX한국1:2 loss
JackFAV Gaming일본0:2 loss

KOH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KENTUSMESHIFAV Gaming일본win
JackFAV Gaming일본win
DandelionOGN ENTUS한국loss
BlossomGamewith일본win
RolaporonGamewith일본win
NuriDragonX한국win
LineDragonX한국win
Trainer DexterzChaos theory동남아시아win
CarrollusChaos theory동남아시아loss
1vs1: 4W 5L
KOH: 7W 2L


5.4. 2020년[편집]



5.4.1. Special Season[편집]


결승전에서 승리를 결정짓는 마지막 세트.[13]
일본의 FAV Gaming으로 이적하면서 일본 클래시 로얄팀 최초의 외국인 용병이 되었다. 이적 후 첫 시즌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14] 스페셜 시즌에서 팀의 Kentsumeshi와 더불어 매우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정규 시즌에는 4승3패로 마무리. 포스트 시즌에는 중국의 W.EDGM에게 리버스 스윕을 당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졌으나, 이후 Talon Esports,[15] PONOS, KIX를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에서도 출전한 두 세트를 모두 승리하는 등 하드캐리하면서 W.EDGM을 상대로 3대0 스윕으로 복수하며 도장깨기에 성공, 이적 첫 시즌만에 우승에 성공했다. 결승 MVP도 받으며 자신의 위상을 증명했다.

여러 가지 방면에서 의미있는 시즌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우선 작년의 부진을 털어내고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면서 폼은 일시적이지만 클래스는 영원하다는 것을 증명했고, 일본 클래시로얄 팀 최초로 외국인 용병으로 참가해 우승에 성공했으며, 그동안 아시아 리그에 비해 더 강하다는 평가를 받은 중국 리그의 팀들을 상대로 처음엔 고전했지만 끝내 복수하면서 우승에 성공했다.


5.4.1.1. 성적[편집]

최종 순위: 1st place

1vs1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RADPONOS일본2:1 win
LciopNova Esports중국2:1 win
HigherW.EDGM중국1:2 loss
BlizzardTalon동남아시아2:1 win
YAKITORIPONOS일본2:0 win
onionKIX Team동남아시아2:1 win
HigherW.EDGM중국2:0 win

KOH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solomanW.EDGM중국win
HigherW.EDGM중국win
KKPONOS일본win
'YAKITORIPONOS일본win'''
RADPONOS일본win
BenZer RidelKIX Team동남아시아win
iSlawKIX Team동남아시아loss
AUKTT Gaming중국loss
BkingNova Esports중국loss
GeraltTalon동남아시아win
BlizzardTalon동남아시아win
KKPONOS일본loss
BenZer RidelKIX Team동남아시아loss
solomanW.EDGM중국win
HigherW.EDGM중국win


1vs1: 6W 1L
KOH: 10W 5L(1 All kill)

5.4.2. 가을 시즌[편집]


2020년 두 번째 시즌인 클래시 로얄 리그 이스트 가을시즌 첫 경기에서도 결승에서 맞붙었던 W.EDGM의 Higher를 상대로 3세트를 승리하면서 기세를 보여줬다. 다만 그 후 TTG의 Nuomici에게 3:0으로 패배했고 신예 선수인 Hajime가 막강한 폼으로 신 에이스의 모습을 보여줬기에[16]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의문.

그러나 이후 경기에서 2v2 성적이 최하위 수준으로 바닥을 치고, X-bow master 본인도 KOH 연패를 하면서 팀 성적이 지난 시즌에 비해 많이 내려가있는 상황이다. 심지어 자기 팀이 트롤링을 하지도 않았음에도 말이다. 어째 대석장 팀은 항상 2vs2가 문제냐 자체 밸런스 조정 결국 전반전을 1승 6패의 최하위 성적으로 마무리했다.[17]

다행히 후반전 첫 경기(6주 1일차)에서 노바의 AUK를 잡으면서 KOH 연패를 끊었다. 또 걱정거리였던 2v2도 Kitassyan-Jack이 새롭게 듀오를 결성하면서 승률이 조금 안정되었다. 6주 2일차에서도 TTG의 누오미치를 잡아내면서 KOH 2연승을 기록, 서서히 폼이 돌아오는 모습이다.

7주 1일차에서 1라운드때 승리한 Higher를 상대로 2:0으로 패배하면서 다시 최하위로 내려갔다[18]

9주 1일차 경기에서 PONOS를 상대로 KOH에 출전해 신성 Mugi[19]를 이겼으나 YAKITORI에게 패배, 그대로 올킬 당하며 FAV가 KOH 패배를 가져간다.[20]

3일차는 탈론전, KOH에서 2승한 게롤트를 상대로 승리했으나 라인에게 패하며 정규 시즌 경기를 마무리했다.

FAV의 최종 승패는 5승 9패, 순위는 6위로, 다행히 중국의 TTG와 한국팀 Team Timing을 아슬아슬한 득실차로 따돌리면서 플레이오프 막차에 올라탔고 첫 매치 상대는 KIX로 확정됐다.

정규 시즌에서는 1vs1, KOH 모두 작년에 비하면 많이 내려갔지만 밥값은 해줬고, 시즌 초 팀의 구멍이았던 2vs2가 잭타샨(Jack+Kitassyan)듀오의 힘으로 다시 살아나면서 비록 플레이오프 순위는 마지막이었지만 앞으로 더 나아질 가능성은 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1v1에 총 3번 출전해서 전패를 하면서 입상 실패의 원흉이 되고 말았다.[21] Hajime와 kitassyan이 선전을 보여준 것과 대비되면서 자신감이 많이 떨어진 것도 화면을 통해 비춰지는 상황이라, 월드 파이널을 앞둔 시점에서 자신감과 폼 회복이 절실한 상황이다.

월드 파이널에서는 나빠진 폼 때문인지 한 경기도 나오지 못했고, Team Queso에게 3대2 패배를 당해 8강에서 마무리했다.

5.4.2.1. 성적[편집]

최종 순위: 4위

1vs1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HigherW.EDGM중국2:1 win
NuomiciTT Gaming중국0:2 loss
HigherW.EDGM중국0:2 loss

KOH
상대 선수상대 팀국적결과
NuriTeam timing한국win
SadoTeam timing한국win
NuomiciTT Gaming중국loss
KKPONOS일본loss
LciopNOVA Esports중국loss
LineTalon동남아시아loss
AUKNOVA Esports중국win
NuomichTT Gaming중국win
MugiPONOS일본win
YAKITORIPONOS일본loss
GeraltTalon동남아시아win
LineTalon동남아시아loss


5.5. 2021년[편집]


2월 ZETA DIVISION으로 이적했다.

1vs1(set): 1W 2L
KOH(game): 6W 6L

2021년 10월 1일 자신의 유튜브 커뮤니티 게시물로 ZETA DIVISION을 탈퇴했음을 밝혔다.

2021년 10월 9일 스타챔피언쉽에 출전해서 중국에 Auk에게 2:1로 패했다. 첫판에 나램으로 승리를 따낸뒤 두번째판에서 고드릴덱을 들고 왔지만 불리한 상성으로 패했다.

세번째 판에서는 첫판과 같은덱인 나램덱을 들었지만 상대가 로얄훈련병을 채용하면서 아쉽게 패했다.


6. 은퇴[편집]


2021년 10월 10일 새벽 2시경 자신의 유튜브 영상으로 4년동안의 프로선수생활을 접고 은퇴한다고 밝혔다.


7. 은퇴 이후[편집]


열심히 공부중이라고 한다.

자신의 트위터로 교토에 위치한 한 대학교에 진학하였다고 밝혔다.

8. 기타[편집]


FAV Gaming 입단 인터뷰에 의하면 CRL West 프로 리그팀인 Immortals에 지원[22]했지만 학업 때문에 포기했다고 밝혔다.

일본어와 영어가 상당히 유창하다. 특히 일본어의 경우 Fav Gaming 시절에 대회준비로 인해서 일본으로 출국해서 합숙훈련을 하며 상당히 많이 늘은것으로보인다.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하이프레시 블레이드의 아카데미 코치에 동명이인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1:12:25에 나무위키 황신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前 대형석궁장인. 공식 리그인 CRL이 시작되면서 영어 닉네임으로 변경[2] 일본에선 Bow의 일본어 발음 보우(ぼう)와 사람을 부르는 칭호 짱(ちゃん)을 합쳐 보우짱(ぼうちゃん)이라고 부른다.[3]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윤겔라 역시 최초의 슈퍼스타 포지션이지만 이쪽은 나이가 나이다보니 해설로 전향했다.[4] 당시 결승에 오른 OGN ENTUS의 TNT와 FAV Gaming의 Jack 등 인기 선수 몇 명이 투표 대상에서 제외된 점을 감안해도 굉장히 큰 표 차이다.[5] 경기 시작 후 첫 카드를 먼저 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6] 클래시 로얄 리그 월드 파이널 스레드와 같은 글을 봐도 (시청 보상 등 다른 댓글을 제외하면) 거의 이슈 메이커 수준이다.[7] 첫 프로를 선발하는 트라이아웃 코리아 당시 모든 팀이 원하는 선수였다.[8] 경기 수가 팀당 11경기였다[9] 3vs3 올킬전[10] 볼드체는 올 킬[11] S1 당시 팀명은 OP Gaming이었다가, S2 개막을 앞두고 OP.GG Sports로 팀명이 변경되었다.[12] SANDBOX와 데토네이션[13] 이날 X-bow master는 1세트 1대2로 지고있는 상황에서 내리 2점을 따 역전승을 거두고, 3세트도 2대0으로 이기면서 4전 4승 전승을 거두고 Final MVP를 받았다.[14] 기존의 아시아리그와 중국리그가 통합했다.[15] 동남아팀이지만 소속 선수들은 모두 한국인이다. Talon 팀이 탈락하면서 대석장은 본의아니게 해당 시즌에 살아남은 유일한 한국인이 되었다.[16] 무려 데뷔전에서 올킬을 해버렸다.[17] 같은 처지였던 W.EDGM은 2승 5패로 꼴찌를 면했다.전시즌 1 2위가 나란히 7 8위다[18] 그런데 이 경기에서 하지메가 올킬을 기록, 올킬 3회를 기록했다.[19] 별명이 클래시 로얄의 Faker, 단연 이번 시즌 최고의 신예 중 하나로, 시즌 종료시 세계 랭킹 1위 기록, 최고 트로피 수 전 세계 4위(8640), 모든 프로리그를 합해도 2위에다 이 경기 전까지 KOH 1위 자리를 지켰고 1vs1에서도 세트 전승과 게임 9연승(역대 3위)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다음 경기에서 역올킬하면서 KOH 1위를 탈환하고 하지메와 함께 유이한 올킬 3회를 기록했다.[20] YAKITORI는 이 경기로 KOH 연속 2회 올킬과 KOH 전체 승률 1위 기록을 세웠고(다음 경이에서 2위로 내려간다) 포노스는 2회 올킬러만 3명(KK, YAKITORI, Mugi)을 보유하게 되었다.[21] 하필이면 4강 NOVA전 마지막 5세트 단두매매치에서 패하는 바람에 3-4위전으로 떨어졌는데, 3-4위전 W.EDGM전에서도 마지막 5세트에 출전하고 패하는 바람에 모양새가 더욱 역적이 되고 말았다.[22] OP.GG Sports로 이적하기 전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