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집단

덤프버전 :


항공집단
航空集団(こうくうしゅうだん
Fleet Air Force
설립1961년 9월 1일
국가
파일:일본 국기.svg

소속함대파일:해상자위대기.svg 해상자위대
병종항공부대
인원약 11,000명
소재지사령부: 아츠기 해군 비행장
상급부대자위함대
항공집단 웹사이트

1. 개요
2. 구성
3. 편제
3.1. 제1항공군
3.1.1. 주요간부
3.2. 제2항공군
3.3. 제4항공군
3.4. 제5항공군
3.5. 제21항공군
3.6. 제22항공군
3.7. 제31항공군
3.8. 독립전대
4. 주요간부
4.1. 역대 항공집단사령관(해장)



1. 개요[편집]


해상자위대함대급 부대이다. 해군 항공대 역할을 하는 부대로 자위함대의 하위 부대이지만 지휘관은 똑같이 해장(중장)이다, 주로 초계기대잠초계헬기, 구조헬기 등을 운용한다. 대한민국 해군과 비교하면 해군항공사령부에 상당한다.

항공집단은 일본의 영해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초계기에 의한 항로상 초계, 괴선박의 감시등의 역할을 하고있다. 또 비행정과 구조헬기에 의한 해상구조 등의 임무도 수행한다. 또 소해헬기와 수송기부대도 소속되어 있다. 항공집단 사령부는 아츠기 해군 비행장(가나가와현 아야세시 무번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항공군(항공군 사령부, 항공대, 정비보급대, 항공기지대)을 주체로 한다. 항공집단 사령관은 해상자위대로 충당되고 있다. 또한 조종사와 전술항공사의 양성은 항공집단이 아니라 방위장관 직속 교육항공집단(教育航空集団)에서 행한다.

2. 구성[편집]


전단급 부대인 군(群)이 하위 부대이다. 다른 함대급 부대들이 전단급 부대인 대군(隊群)을 두는 것과 달리 군을 둔다. 영어로는 Wing으로 표시하며 이는 비행단이다. 지휘관은 해장보(소장)이다. 공자대에서는 Wing을 항공단으로 표시하며 전대를 군으로 두기 때문에 해자대와 공자대의 군(群)은 부대 규모가 다르다.

파일:external/www.mod.go.jp/sh-60k.jpg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3bf89655.jpg

종류기종수량
대잠헬기SH-60J/SH-60KSH-60J 103기 / SH-60K 48기(생산 중)
소해헬기MH-53E/MCH-101MH-53E 7기 / MCH-101 8기(생산 중)
회전익 수송기CH-101[1]3기
고정익 수송기C-130R[2]6기
회전익 수색구조기UH-60J39기
수륙양용 구난정US-1A/US-2US-1A 4기 / US-2 5기
대잠초계기P-3C/P-1P-3C 73기 / P-1 33기(생산 중)
전자전EP-3/OP-3[3]/UP-3D[4]EP-3 5기 / OP-3 5기/ UP-3D 3기
장비시험평가기UP-3C1기
다목적기YS-11T10기

대잠 초계기만 100기가 넘어가는데다 이외에도 훈련기, 연락기, 경수송기, 훈련 지원기 등 수백기가 더 있다(...). 고정익 항공모함도 없는 주제에 이처럼 항공전력을 굉장히 강력하게 운용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대잠전을 위한 것으로, 실제로 대잠전력에 있어서 해상자위대는 미군에 이은 세계 2위라는 평가를 받는다. 항해 병과에 비할 바는 못 되지만 항공 출신 막료장도 꽤 있을 정도.

또한 이즈모급 다용도 운용모함항공모함 개조가 결정되면서 대잠전을 수행해 왔던 기존의 지상배치 비행단과는 별개로 새롭게 항모비행단을 창설할 가능성 역시 생겼다. 다만 해상자위대의 독자적인 항모비행단을 창설하는 대신 항공자위대 소속의 F-35B 운용 전투비행대대를 해상자위대의 항모전단에 파견하는 형식으로 함재기를 운용할 가능성도 크기는 하다.


3. 편제[편집]



3.1. 제1항공군[편집]


제1항공군
第1航空群(だいいちこうくうぐん
Fleet Air Wing 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JMSDF_Fleet_Air_Wing_1_Headquarters_2010s.jpg
설립1953년 12월 1일
재편성1961년 9월 1일
국가일본
소속함대해상자위대
군대편제
병종/임무해상자위대항공/항공임무
소재지규슈지방 가고시마현 가노야시
상급부대항공집단
홈페이지

가고시마 가노야(鹿屋)에 주둔한다. 1953년 12월 1일에 창설했고 1961년 9월 1일에 재편성했다. P-3C기 20기 정도를 운용한다.

비행전대에 상당하는 제1항공대(第1航空隊)[5]군수전대에 해당하는 제1정비보급대[6], 기지전대에 상당하는 가노야항공기지대[7]로 구성된다. 제1항공대는 다시 제11비행대와 제12비행대로 구성되는데 비행대는 한국의 비행대대에 상당한다.


3.1.1. 주요간부[편집]


직급명계급이름임기전직
제1항공군 사령관해장보나카무라 토시히코2017년 3월 27일해상막료감부 지휘정보 통신부 정보과장
수석막료1등해좌이노우에 류조2015년 8월 4일제1항공대 사령관
제1항공대 사령관1등해좌혼무라 가쿠2017년 8월 1일제203교육항공대 사령관
제1정비보급대 사령관1등해좌모리 타카히로2016년 12월 1일제203정비보급대 사령관
가노야항공 기지대 사령관1등해좌오카다 유키타케2016년 8월 1일제24항공대 사령관



3.2. 제2항공군[편집]


아오모리현 하치노헤(八戸)에 주둔한다. 1957년 3월 16일에 창설되었고 1961년 9월 1일에 재편성했다. P-3C기 10기 정도를 운용한다. 제2항공대 휘하에 제21비행대와 제22비행대를 두고 있다.


3.3. 제4항공군[편집]


가나가와현 아쓰키(厚木)에 위치하며 1962년 9월 1일에 창설되었다. P-3C기 20기 정도를 운용한다. 제3항공대 휘하에 제31비행대와 제32비행대를 두고 있다.


3.4. 제5항공군[편집]


오키나와 나하에 위치하며 1981년 7월 15일에 창설되었다. P-3C기 20기 정도를 운용한다. 제5항공대 휘하에 제51비행대와 제52비행대를 두고 있다.


3.5. 제21항공군[편집]


치바현 다테야마(館山)에 위치하며 1953년 9월 16일에 창설, 1961년 9월 1일에 재편성됐다. SH-60J, SH-60K 40기를 운용한다. 휘하에 항공대가 좀 많아 21항공대(휘하 211, 212비행대), 23항공대(휘하 231비행대), 25항공대(휘하 251비행대), 73항공대(휘하 73비행대)가 있다.


3.6. 제22항공군[편집]


나가사키 오무라(大村)에 위치한 부대이다. 제22항공대(휘하 221, 222비행대), 제24항공대(휘하 241비행대), 72항공대(휘하 72비행대)가 있다. SH-60J, SH-60K 40기를 운용한다.


3.7. 제31항공군[편집]


야마구치현 이와쿠니(岩国)에 위치한 부대로 전자전기 10대를 운용한다. 휘하에 71항공대(휘하 71비행대), 81항공대(휘하 81비행대), 91항공대(휘하 91비행대)가 있다.


3.8. 독립전대[편집]


기타 독립전대로 51항공대, 61항공대, 111항공대가 있다.


4. 주요간부[편집]


직급명계급이름임기전직
항공집단사령관해장스기모토 타카유키2017년 8월 1일 ~ 현직요코스카 지방 총감부 막료장
막료장해장보이토 슈토2016년 7월 1일 ~ 현직해상막료감부 총무부 총무과장
훈련주임막료1등해좌이시카와 이치로2016년 8월 1일 ~ 현직제21항공군 사령부 수석 막료
후방주임막료1등해좌니시카와 카츠히로2016년 8월 1일 ~ 현직항공집단 사령부 근무


4.1. 역대 항공집단사령관(해장)[편집]


연호이름임기출신

01야마다 류지1961년 9월 1일 ~ 1963년 4월 30일해병58기
02오오노 요시타카1963년 5월 1일 ~ 1963년 12월 15일해병59기
03아이오이 타카히데1964년 12월 16일 ~ 1965년 12월 15일해병59기
04오카모토 세토시1965년 12월 16일 ~ 1967년 12월 31일해병60기
05이부키 쇼이치1968년 1월 1일 ~ 1968년 12월 31일해병62기
06우치다 유타카1969년 1월 1일 ~ 1971년 1월 15일해병64기
07안토 노부타케1971년 1월 16일 ~ 1972년 12월 15일해병65기
08사메지마 히로이치1972년 12월 16일 ~ 1973년 11월 30일해병66기
09히다 사네유키1973년 12월 1일 ~ 1975년 6월 30일해병67기
10야이타 코지1975년 7월 1일 ~ 1977년 6월 30일해병69기
11미야자와 마사스케1977년 7월 1일 ~ 1979년 1월 31일해병71기
12카도마츠 야스히코1979년 2월 1일 ~ 1980년 2월 14일해병72기
13아오노 츠요시1980년 2월 15일 ~ 1983년 3월 15일해병73기
14시게노 마사오1983년 3월 16일 ~ 1984년 1월 16일해병75기
15코가 켄이치로1984년 1월 17일 ~ 1985년 7월 31일구마모토대 3기
16히가시야마 슈이치로1985년 8월 1일 ~ 1986년 6월 16일도쿄해양대 4기
17테라이 아타고1986년 6월 17일 ~ 1987년 7월 6일해상보안대 6기
18마츠모토 카츠히코1987년 7월 7일 ~1989년 8월 30일방위대1기
19오카다 츠요시1989년 8월 31일 ~ 1991년 3월 15일방위대1기



20사이토 마타사부로1991년 3월 16일 ~ 1992년 3월 15일방위대2기
21오카다 아츠시1992년 3월 16일 ~ 1993년 6월 30일방위대5기
22마츠모토 테츠오1993년 7월 1일 ~ 1995년 6월 29일방위대5기
23스기야마 야스키1995년 6월 30일 ~ 1996년 6월 30일방위대8기
24후지다 코세이1996년 7월 1일 ~ 1997년 6월 30일방위대9기
25나카마 토오루1997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방위대10기
26우키타니 츠토무1998년 7월 1일 ~ 2000년 3월 29일방위대12기
27츠노다 요우조2000년 3월 30일 ~ 2002년 3월 21일방위대11기
28오구니 시게2002년 3월 22일 ~ 2003년 3월 26일방위대13기
29타카하시 토오루2003년 3월 27일 ~ 2005년 3월 27일가나가와대21기
30아카호시 케이지2005년 3월 28일 ~ 2007년 3월 27일방위대17기
31마츠오카 사다요시2007년 3월 28일 ~ 2009년 3월 23일방위대18기
32쿠라모토 켄이치2009년 3월 24일 ~ 2010년 7월 24일방위대19기
33하타나카 히로키2010년 7월 25일 ~ 2012년 12월 4일방위대22기
34시게오카 야스히로2012년 12월 4일 ~ 2014년 3월 27일방위대25기
35사토 마코토2014년 3월 28일 ~ 2015년 8월 3일방위대26기
36마나키 노부마사2015년 8월 4일 ~ 2017년 7월 31일방위대26기
37스기모토 타카유키2017년 8월 1일 ~ 현직방위대29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17:32:10에 나무위키 항공집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량 해자대 소속 극지 쇄빙선 AGB-5003 시라세에 배치, 해자대 함정들은 남아도는 SH-60 시리즈를 수송기로 사용함[2] 미국에서 중고구입, 향후 C-2로 대체예정[3] 전자전 정찰기[4] 전자전 지원 및 시험 및 훈련기[5] 항공대는 본부대와 휘하 비행대, 열선정비대(列線整備隊)로 구성된다.[6] 정비보급대는 본부대와 항공기정비대, 전자정비대, 무기정비대, 조사대, 보급대 등으로 구성된다.[7] 본부대와 관리대(시설대), 경위대(헌병대), 운항대(수송대), 경리대(보급대), 후생대, 항공위생대(의무대) 등. 이상의 구성은 아래의 항공군도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