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마 준/기술 (r1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카자마 준




1. 참고 링크
2. 기술 특성
3. 기술 목록
3.1. 히트
3.2. 특수 기술
3.3. 딜레이 캐치
3.4. 선 자세 기술
3.5. 앉은 자세 기술
3.6. 이즈모 자세
3.7. 겐지츠(환일) 자세
3.8. 미아레 자세
3.9. 잡기
4. 철권 7 이전 기술 정보




1. 참고 링크[편집]




2. 기술 특성[편집]


  • 자세는 이즈모(출운), 겐지츠(환일), 미아레 3개가 있다.
  • 카자마의 힘(風間(かざま(ちから)
    • 체력을 소비하며 후딜 감소나 대미지 증가, 가드 대미지 추가 속성을 갖는 기술
    • 소비된 체력은 가드 대미지처럼 회복 가능한 피해(흰색 게이지)로 표시되며 히트 상태에서는 아예 체력이 소비되지 않는다.
    • 카자마의 힘을 사용하는 기술은 ★ 표를 추가하고 입는 대미지량에 비례해 ★, ★★, ★★★ 세 종류로 표기함[1]


3. 기술 목록[편집]




3.1. 히트[편집]


  • 히트 강화점
    • 체력을 소비하지 않고 카자마의 힘(체력 소비 기술) 사용 가능
    • 파워가 상승한 6AP (감념상벽)[2] 사용가능

  • 히트 버스트
    • RP+LK: 2RP (나루미)모션으로 내려친다. 44입력으로 공격을 캔슬할 수 있다.

  • 히트 인게이저
    • AP (순경)
    • 6RPAP (아메노하바키리노츠루기/천우우참검)
    • 횡 RK (카구라/신악)
    • 이즈모 LK (서운연각)
    • 미아레 RP (아메노누보코/천소모)

  • 히트 스매시
    • 히트 중 RP+LK (요모츠오오유미/황천진대궁, 黃泉津(よもつ大弓(おおゆみ): 순경 모션 후 전방으로 까마귀를 날린다. 중단 기술. 대미지는 20, 30. 사용시 남아있는 회복가능 피해 중 꽤 많은 체력이 회복된다.
    • 히트 중 겐지츠 RP+LK (요모츠미하시라/황천진어주, 黃泉津(よもつ御柱(みはしら): 겐지츠 자세에서 나가는 두번째 히트 스매시. 하단-중단 2타 기술. 유리광섞기 모션 후 공중에 뜬 상대를 향해 까마귀를 날려올린다. 단독 히트시 대미지는 14, 28[3]이지만, 그나마도 회복가능 피해가 19나 돼서 황천진대궁에 비해 대미지가 많이 약하다.


3.2. 특수 기술[편집]


  • 레이지 아트
    • 3AP (아마츠이자나미[4]): 중단. AP(순경)과 같은 동작이라 판정이 괜찮다. 하얀 새를 부른 뒤 쌍장을 날리고, 하얀 빛을 뒤로 하며 상대방의 가슴에 손을 대 빛을 폭발시킨다. 카즈야와 진 등 인연이 있는 캐릭에게는 여타 캐릭과 다른 대사를 날린다.

  • 파워 크러시
    • 4AK (오모이카네/사겸명)
    • 이즈모 AP (미하카리오로시/수광풍)
    • 환일 RP (카자마류활심경)


3.3. 딜레이 캐치[편집]


선 자세
  • 10프레임
    • LP RP (창련무): 13대미지. 흔한 원투 딜캐. 히트시 +4F. 딜캐 후 좌우 횡 이행이 가능함.
    • 9LP (칸야라이-아메/신축-천) ★★★: 36대미지. 카자마의 힘 계열이라 준의 체력도 대폭 까인다. 벽꽝 가능.

  • 12프레임
    • RP LP RK (백련무): 28대미지.

  • 13프레임
    • 4RK RP (시라뵤우시/백박자): 31대미지. 히트시 +4F 이득이 있다.
    • AP (순경): 26대미지. 히트시 히트 상태로 이행된다. 벽꽝 가능.
    • 히트 중 RP+LK (요모츠오오유미/황천진대궁): 50대미지. 히트 스매시이므로 히트가 켜진 상태에서만 1회 사용 가능.

  • 15프레임
    • 1LP LP AP (봉래원무) ★★: 45대미지. 카자마의 힘 계열이라 준의 체력도 소폭 까인다. 벽꽝 가능.

  • 16프레임
    • 3RP (미즈호): 14대미지. 16F 이라는 걸 빼면 평범한 오른 어퍼. 콤보 이행 가능.
    • 9RK LK (봉선화·씻김) ★★: 32대미지. 카자마의 힘 계열이라 준의 체력도 소폭 까인다. 미아레 자세로 자동 이행되며 공콤 이행 가능.

  • 17프레임
    • 6RP (오니고로시/귀살): 20대미지. 콤보 이행 가능.

앉은 자세
  • 10프레임
    • 앉아 3LP (칸야라이-츠치/신축-지) ★★★: 36대미지. 카자마의 힘 계열이라 준의 체력도 대폭 까인다. 벽꽝 가능.

  • 11프레임
    • 기상 RK (일학): 21대미지. 상대가 낙법을 치지 않으면 4RP로 건질 수 있다.

  • 12프레임
    • 기상 LP RK (토모에): 30대미지. 3타 입력으로 RP(파앵) 상단과, AP(파등) 중단 이지가 가능하지만 둘 다 뜰 수 있음.
    • 기상 LP LP (천관채화): 21대미지. 4를 입력해 미아레 자세로, 6을 입력해 환일 자세로 이행 가능함.

  • 13프레임
    • 기상 RP LP (백화왕): 32대미지. 벽꽝 가능.

  • 14프레임
    • 기상 LK (기오우/기왕): 16대미지. 콤보 이행 가능.

  • 18프레임
    • 기상 중 AK (유향월): 23대미지. 콤보 이행 가능.


3.4. 선 자세 기술[편집]


  • LP (취경/翠剄(すいけい)
상. 5대미지. 10F/+1F/+8F(+8F)
가드시 +1F인 일반적인 10F 잽이다. 전작과 비교해 연계기가 대폭 변경되었다.

  • LP LP (취경~이즈모폐수/翠剄(すいけい出雲(いずも閉手(へいしゅ)
상 중. 5/15대미지, 10F/-9F/0F(+5F, 이즈모 시 +13)
2타는 이즈모폐수(6LP)와 동일하다. 이후 이즈모 자세로 이행된다.
  • LP RP (창련무/槍連舞(そうれんぶ)
상 상. 5/8대미지. 10F/-3F/+6F(+4F)
입력 후 2나 8 입력으로 횡이동 이행이 가능.

  • LP RP RP (창련무~이즈모개수/槍連舞(そうれんぶ出雲(いずも開手(かいしゅ)
상 상 상. 5/8/17대미지. 10F/-3F/+11F(+20F)
3타는 이즈모개수(8RP)와 동일하므로 이즈모 자세로 이행된다. 카운터시 16F 이득이어서 LK 연계가 가능하다.
  • LP RP RK (창련선퇴/槍連旋腿(そうれんせんたい)
상 상 중. 5/8/16대미지. 10F/-12F/+5(다운)
막히면 -12F. 적중시 거리가 매우 멀어진다.
  • LP LK (취련체각/翠連薙脚(すいれんなぎあし)
상 하. 5/12대미지. 10F/-12F/+2(+6)
카자마류 원짠. 1타가 적중해도 2타가 확정이 아니다.

  • RP LP (백련무)
상 중. 5/12대미지. 12F/-6F/+7F
12F 투잽 파생기. 1타 히트시 3타(RK)까지 확정이다.

  • RP LP RK LP (백련돌발/白連突抜(びゃくれんつきぬき)[5]
상 중 중 중. 7/9/12/30대미지. 12F/-9F/넘어짐
4타 발동이 빨라졌고 카자마의 힘이 추가되어서 사용시 체력이 약간 깎인다. 4타가 발동이 매우 느려(30F) 원잽에 끊긴다.
  • RP LP RK LK (백련탄렴/白連弾簾(びゃくれんたますだれ)[6]
상 중 중 상. 7/9/12/21대미지. 12F/-9F/넘어짐
  • RP LP AP (백련씻김/白連(びゃくれん(みそぎ)
상 중 상. 7/9/21대미지. 12F/+2F/넘어짐
3타 히트시 벽을 부술 수 있다. 막히면 -2F. 전작부터 있던 기술이라 기술명에 ~씻김(禊ぎ)가 붙어있지만 체력감소도 없고 카자마의 힘 기술로 분류되지 않는다.

  • LK (시온/紫苑(しおん)[7]
중. 20대미지. 14F/-13F/넘어짐
서서 멀리 걷어찬다. 14F 벽 부수기 기술.

  • RK (하이킥)
상.
기술표에 표시되지 않는 평범한 12프레임 하이킥. 카운터 히트시 AK(유운추)가 확정이다.

  • AP (순경/瞬剄(しゅんけい)
중. 26대미지. 13F/-12F/+17. 히트인게이저
13F 중단기로 히트시 상대방을 멀리 날리며 히트 상태로 진입한다. 막히면 -12F. 작품마다 모션은 같으면서 성능이 판이하게 바뀌는 묘한 기술. 이번 작에서는 카운터시 스턴이 되는 성능은 사라졌다. 벽을 부수는 것은 가능하다.

  • AK (유운추·씻김/流雲墜(りゅううんつい(みそぎ) ★
중 중 특중. 6/18/14대미지. 23F/-6F/넘어짐
2타가 가드되면 3타가 나가지 않는다. 3타에 카자마의 힘을 사용하기 때문에 2타 가드시에는 준의 체력이 깎이지 않는다. 구작의 유운추(AK)를 계승하는 신기술로 비슷하게 누운 상대를 밟는 용도로 쓸수 있다. 하이킥 카운터 시 추가타 용도로도 사용한다.

  • LP+RK (백로/白鷺(はくろ)
특하 상. 5/8대미지. 14F/-3F/0F
전작과 달리 자세나 횡이동 파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어지간하면 다 퍼올리는 성능은 여전하다.

  • LP+RK RP RK (백로유무/白鷺(はくろ遊舞(ゆうぶ)
하 상 상 중. 막타로 벽을 부술 수 있다.
  • LP+RK RP 2RK (백로하단각/白鷺(はくろ下段脚(げだんきゃく)
하 상 상 하 판정. 콤보로 이어지진 않지만 추가타는 먹일 수 있다.
  • LP+RK LK LP (백로일상수/白鷺(はくろ日祥手(にっしょうしゅ)
하 상 중 중.
3AK LP(무천일상수)와 동일.

  • LP+RK LK RK (백로월상각/白鷺(はくろ月祥脚(げっしょうきゃく)
하 상 중 하.
3AK RK(무천일상각)와 같은 모션이지만 LK의 발동이 2프레임 더 빠르다. 나머지 성능은 동일.

  • 6RP (귀살/(おに(ごろし)
중. 20대미지. 17F/-18F/띄움
아스카와 동일한 모션의 귀살. 중거리 헛친 딜캐용으로 제격이다. 전진 중에 2를 입력하면 기술이 취소되고 앉은 상태가 된다. 막히면 -18F 이지만 AP를 눌러 천우우참검으로 파생하면 -9F 로 후딜이 감소한다.

  • 6RP AP (아메노하바키리츠루기/천우우참검/天羽々斬剣(あまのはばきりのつるぎ)[8] ★★
중 중. 16/20대미지. 17F/-9F/+17. 히트인게이저
카자마의 힘을 이용해 귀살의 후딜을 줄이고 빛을 쏘아올린다. 적중 시 히트 상태로 돌입한다.

  • 6LK (칸바시라/신주/神柱(かんばしら)
중. 13대미지. 16F/-9F/+7F. 횡 이행 가능
유연(4RP)보다 판정은 좁지만 넓어서 대미지가 높아 콤보에 주력으로 사용된다. 2나 8을 입력해 횡이동이 가능하다.

  • 6LK RP (칸바시라~이즈모카이슈/신주~이즈모개수/神柱(かんばしら出雲(いずも開手(かいしゅ)
중 상. 13/17대미지. 16F/+6F/+11(+16). 호밍, 이즈모 이행
콤보용으로 이즈모를 연계할 때 많이 쓰인다.
  • 6LK RK (이연칸바시라/이연신주/二連(にれん神柱(かんばしら)
중 중. 13/22대미지. 16F/-13F/넘어짐. 공중 히트시 토네이도
1타가 맞으면 2타 확정.

  • 6RK (월환각/月環脚(げつかんきゃく)
상. 21대미지. 19F/+3/+13. 호밍
히트시 상대가 왼쪽으로 고개를 숙인다. 가드시 +3F 이득에 히트시 13F 기술이 확정이다. 4RK RP(시라뵤우시)나 AP(순경) 또는 히트 스매시를 먹일 수 있다.

  • 6AP (감념상벽/感念祥壁(かんねんしょうへき) ★
중. 0대미지. 12F/+2/+26(+23). 히트시 미아레 자세로 이행
전방에 방어막을 펼치고 히트시 미아레 자세로 이행한다. 히트 상태에서는 발동시 히트 게이지를 소모하며 방어막을 순간적으로 펼쳐 상대 기술을 밀쳐낸다. 히트시 미아레 RP가 확정으로 들어간다.

  • 6RP+LK (후축퇴/後蹴腿(こうしょうたい)
상. 21대미지. 28F/0F/콤보이행
상대의 상중단 펀치를 반격할 수 있다. 원래는 RP+LK 였지만 히트 버스트 공통 커맨드와 겹치게 되어 커맨드가 변경됐다. 6LK 등으로 콤보 이행이 가능하지만 상대가 60도쯤 틀어져서 넘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콤보 루트를 사용하기 어렵다.

  • 3LP (왼어퍼)
중. 10대미지. 13F/-3F/+8F
평범한 13프레임 왼어퍼.

  • 3LP LP (하보탄/우목단/羽牡丹(はぼたん)[9]
중 중. 10/17대미지. 13F/-10F/+2F(+13F)
1타 히트시 2타 확정. 전작과 달리 막히면 -10F 이므로 딜캐를 당한다. 2타 카운터시 상대가 한 바퀴 돌며 멀어지므로 +13프레임 이득이지만 추가타를 넣지는 못한다. 하지만 벽 앞이면 벽꽝이 가능.

  • 3LP RP (아야토오시/綾通し(あやとおし)
중 상. 10/12대미지. 13F/-4F/+6F(+11F)
1타 히트시 2타 확정. 2타 카운터시 상대가 뒤로 살짝 물러서며 +11F 이득이므로 9LP(신축-천) 같은 10프레임 기술로 추가타를 먹일 수 있다.

  • 3RP (미즈호/瑞穂(みずほ)[10]
중. 14대미지. 16F/-12/띄움
16F 어퍼. 1F 느린 것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오른 어퍼와 동일하다. 막히면 -12F 답게 앉아있는 상대도 띄운다.

  • 3RP AP (아메노무라쿠모노츠루기/천총운검/天叢雲剣(あめのむらくものつるぎ)[11]
중 중. 8/14대미지. 16F/-9F/날림. 히트인게이저
3RP가 헛쳤을 땐 사용할 수 없다. 공중으로 띄우기는 하지만 그냥은 콤보가 되지 않고 히트 대시를 해야만 콤보를 이어갈 수 있다.

  • 3LK (카자키리/風切(かざきり)[12]
중. 22대미지. 17F/-8F/날림. 호밍
맞은 상대는 날아가며 벽 부수기가 가능하다. 17F 발동의 호밍 중단기지만 -8F 이라 딜캐가 없다. 6RK(월환각)을 앉아서 피하는 상대라면 섞어써주자.

  • 3RK (카타바미/片喰(かたばみ)[13]
중. 22대미지. 15F/-14F/넘어짐(콤보이행). 공중 히트시 토네이도
속칭 뻥발. 카운터시 배를 잡고 쓰러지며 콤보로 이행할 수 있으며 공중 히트시 토네이도가 유발된다. 15F으로 빠르게 발동하며 한 발 앞으로 나가며 지르기 때문에 리치도 길지만 후딜이 -14F 이므로 남발은 무리.

  • 3AK LP (무천일상수/舞天(ぶてん日祥手(にっしょうしゅ)
중 중. 17/20대미지. 24F/-13F/날림
모션이 미아레 LP와 비슷하지만 카자마의 힘 기술이 아니어서 빛이 나가지 않는다. 1타 발동이 24F 으로 엄청나게 느린데 상대가 1타 가드 후 하이킥을 쓰면 카운터가 날 정도로 2타도 느리다.

  • 3AK RK (무천일상각/舞天(ぶてん日祥脚(にっしょうきゃく)
중 하. 17/17대미지. 24F/-13F/+4(넘어짐)
판정. 히트시 상대를 앉게하고 카운터시 넘어진다. 막히면 -13F.

  • 2RP (나루미/鳴海(なるみ)[14]
중. 18대미지. 20F/-4F/+9F(콤보이행)
히트나 가드시 상대를 앉히고 -4F. 카운터시 공중 콤보로 이어갈 수 있다.

  • 2RK RK (스미나가시/墨流(すみながし)[15]
하 상. 10/20대미지. 15F/-9F/날림
카운터시 2타가 확정이긴 하지만 2타가 상단 뿐이라 남발은 금물.

  • 2AP (카무도노츠루기/신탁검/神度剣(かむどのつるぎ)[16] ★★
중. 28대미지. 26F/-9F/토네이도
태그2 언노운의 것과 비슷해 보이지만 모션이 약간 더 크다. 지상 히트시에도 바로 토네이도가 유발된다. 횡에 쉽게 피해지기 때문에 단발 기술로 사용하기 쉽지 않다. 대신 토네이도를 유발하는 가장 강한 단발 기술이어서 콤보에 많이 이용된다.

  • 2AK (자운이단차기/紫雲二段(しうんにだん(り)
하 상. 5/20대미지. 14F/-6F/콤보이행
아스카와 같은 기술이다. 1타 카운터시 2타 확정.

  • 1LP LP AP (봉래원무/蓬莱(ほうらい円舞(えんぶ)[17]
중 중 중×3. 7/8/5/5/20대미지. 15F/-15F/넘어짐
어퍼가 16F 인 준이 15F 중단 딜캐로 사용하는 기술. 1타 히트시 전타 확정이며 히트 확인 후 3타 입력이 가능한 주력기술. 2타 가드시 -11F 이지만 3타 가드시 -15F로 뜰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 벽 부수기가 가능하다.

  • 1RP (아야메/菖蒲(あやめ)[18]
하. 15대미지. 23F/-12F/+2F(+14F)
사용하면 앉은 자세가 된다. 카운터시 가드가능한 +14F 프레임으로 추가로 대미지를 넣을 순 없다.

  • 1LK (나기아시/체각/薙脚(なぎあし)
하. 14대미지. 18F/-12F/+2F(+6F)
살짝 앞으로 가서 때리기 때문에 보기보다 리치가 길다. 카운터시 상대를 앉힌다.

  • 1RK RK RK (카리아시/예각/刈脚(かりあし)
하. 14/15/16대미지. 22F/-11F/0(+3)
3타까지 연속해서 쓸 수 있고 대미지도 14, 15, 16으로 조금씩 늘어난다. 히트가 되도 카운터가 아니면 2타가 흘려지기 때문에 남발은 절대 금물. 기술 사용 후 2를 유지하면 앉은 자세로 이행된다. 2타부터는 막혀도 -7F로 딜캐는 없다.

  • 예각 중 LP+RK (예각백로/刈脚(かりあし白鷺(はくろ)
예각 중에 백로로 이행할 수 있다. 이후 루트는 백로와 동일. 예각 2타와 마찬가지로 1RK(예각)이 카운터가 아니면 LP+RK(백로) 하단이 흘려지므로 주의.

  • 4LP (스미레/(すみれ)[19]
하. 19대미지. 29F/-10F/+6(잡기)
카운터시 히트 잡기인 스미레오쿠리(菫送(すみれおくり[20])가 나가고 상대와 자리가 바뀐다.

  • 4RP (유연/流燕(りゅうえん)
중단. 14F 발동. 어지간한 상태를 다 건질 수 있을 만큼 판정이 낮다. 다만 대미지가 약해서 유연으로 시작하는 콤보는 대미지가 낮다. 전작과 연계기가 많이 바뀌어서

  • 4RP LP (유연채화/流燕(りゅうえん彩華(さいか)
중 상 판정. 6을 입력하면 환일, 4를 입력하면 미아레 자세로 이행된다. 횡이동 이행은 삭제됐다.

  • 4RP LP LP (유연채화자경/流燕(りゅうえん彩華(さいか紫勁(しけい)
중 상 중 판정. 히트시 상대가 날라간다. 막히면 -13F.
  • 4RP LP RP (유연채화연검/流燕(りゅうえん彩華(さいか連剣(れんけん) ★★
중 상 중 판정. 연속 기술에 포함된 카자마의 힘 기술이 그렇듯 딜캐는 없지만 사용시 피가 닳는다. 막타가 토네이도를 유발하므로 공중콤보에 사용되기도 한다.
  • 4RP LP RK (유연채화연축/流燕(りゅうえん彩華(さいか連蹴(れんしゅう)
중 상 상 판정. 가드백이 상당한 기술. 벽 부수기가 가능하다.

  • 4RP RP (유연빗/流燕(りゅうえん真櫛(まぐし)[21]
중 중 판정. 대미지는 20으로 약한 대신 막혀도 -9F 로 딜캐가 없다.

  • 4LK (용차차기/竜車(りゅうしゃ(り)
중단. 발동 중에 하단 회피 성능이 있어 유명한 낚시 기술.

  • 4LK RP (용차연검/竜車(りゅうしゃ連剣(れんけん) ★★
중 중 판정. 예전과 달리 카자마의 힘을 이용해 빛기둥을 쏘아올린다. 1타에 토네이도가 유발된다. 가드시 -9F.
  • 4LK RK (용차차기예각/竜車(りゅうしゃ(刈脚(かりあし)
중 하 판정. 예각 루트(1RK)로 이어간다. 이후는 예각과 동일.

  • 4RK RP (시라뵤우시/백박자/白拍子(しらびょうし)[22]
중 중 판정. 2타를 딜레이 줘서 입력할 수 있고 2타 카운터시 공중콤보로 이어갈 수 있다. 대미지가 높고 전진성이 괜찮기 때문에 콤보에도 자주 쓰인다. 13프레임 발동에 막히면 1타는 -6F, 2타는 -13F.

  • 4AK (오모이카네/사겸명/思兼命(おもいかね)[23]
중단 파워 크러시. 상대의 공격을 받아내면 대미지가 강해지고 후딜이 짧아진다. 막히면 -12F.

  • 4RP+LK (신기/神氣(しんき)
중단 가불기. 벽을 부술 수 있다. 대미지는 50.

  • 8RK (치쿠라/천좌/千座(ちくら)
중단. 상대를 날리는 점프 발차기. 막히면 -3F.

  • 9LP (칸야라이-아메/신축-천/神逐(かんやらい(あめ) ★★★
상단. 10F 딜캐기. 10F 딜캐면서 대미지가 무려 36이나 되지만 가드시에도 준의 체력에서 18이 줄어든다. 리치가 그다지 길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막히면 -14F.

  • 9RP (토츠카노츠루기/십속검/十束剣(とつかのつるぎ) ★★
중단. 빠르게 빛기둥을 쏘아 올린다. 막히면 -9F.

  • 9LK (이와토/암호/岩戸(いわと)[24]
중단. 모션은 약간 다르지만 아스카의 그것. 아스카와 마찬가지로 카운터시 신탁검(2AP)이나 카타바미(3RK)로 콤보로 이어갈 수 있다. 막히면 -6F.

  • 9RK LK (봉선화·씻김/鳳仙華(ほうせんか(みそぎ) ★★
중 중 판정. 16F 발동에 2타가 막히면 -13F 인 컷킥. 히트 시 바로 미아레 자세로 이행되기 때문에 콤보를 이어나가려면 6을 입력해 환일로 자세를 변경하거나 2나 8을 입력해 횡이동을 해야만 한다.

  • 9AK (채운추/彩雲墜(さいうんつい)
중 중 판정. 7AK나 8AK로도 입력 가능하다. 전형적인 바닥 붕괴 가능 기술.

  • 9nRK
철2 이전 여캐들이 가지는 괴상한 공용 소점프 돌려차기. 소점프 컷킥도 철8에서 일괄적으로 너프되어 쓰임새가 줄었는데 이건 더더욱 쓸모가 없다.

  • 66RP (수영/水榮(すいえい)
중단. 대시 기술로 콤보 막타에 많이 쓰인다. 6F을 입력해 환일로, 4를 입력해 미아레 자세로 이행가능하다.

  • 66RP RP (수영뒷채화/水榮(すいえい裏彩華(うらさいか)
중 중 판정. 막히면 -17F. 벽을 부술 수 있다.

  • 66RP LK (수영향월/水榮(すいえい香月(かげつ)
중 상 판정. 멀리 날리는 용도로 사용한다.

  • 66LK AK (유키구루마/설견차/雪見車(ゆきみぐるま)[25]
중 중 중 판정. 1타에 호밍기 판정이 있다. 히트시 상대가 엎어지므로 귀살(6RP) 등의 후속타를 욱여넣을 수 있다.

  • 66AP (돌경·씻김/突剄(とっけい(みそぎ) ★
중단. 벽을 부술 수 있다. 막히고 -4F.

중단. 통칭 공참각. 백 덤블링(74LK)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가드시키면 +2F 이득이다. 벽을 부술 수 있다.

  • AP+AK (기합 모으기/気合(きあい(おとめ)
기모으기, 태그1 이래로 기술표에 안올라왔는데 철8에서 오랜만에 기술표에 들어왔다.



  • 횡 RP (카사네가스미/겹안개/(かさ(がすみ)
중. 27대미지. 16F/-9F/넘어짐. 공중 히트시 토네이도
왼쪽 팔꿈치로 가드하는 척 하며 오른손으로 밀친다. 카운터시 추가타를 먹일 수 있다.

  • 횡 RK (카구라/신악/神楽(かぐら)
중. 20대미지. 18F/+6F/+17F. 히트인게이저
적중 시 상대를 앉히며 히트 상태로 들어간다. 가드시키면 +6F 이득.

  • 횡 AP (삼광조/三光鳥(さんこうちょう)[26]
상 상 중. 7/9/18대미지. 16F/-4F/+7F. 호밍
1타가 호밍기며 1타 히트시 전타 확정. 히트시 상대를 앉힌다.


  • 4AL 또는 4AR (미카가미/수경/水鏡(みかがみ)
반격기. 중상단 손발 기술을 반격할 수 있다.

  • 기상 LP LP LP+RK RP LP AP RK RK LK (10단 콤보)
상 상 하 상 상 중 상 하 중 중.
3, 8타째가 하단. 8타를 맞으면 이후 9-10타가 확정이다.



3.5. 앉은 자세 기술[편집]



  • 기상 LP LP (천관채화/天冠彩華(てんかんさいか)
상 상 판정. 이후 파생은 유연~채화(4RP LP)와 동일하며 6을 입력해 향월 자세로 4를 입력해 미아레 자세로 이행할 수 있다.

  • 기상 LP LP LP (천관채화자경/天冠彩華(てんかんさいか紫勁(しけい)
상 상 중 판정. 막타로 벽을 부술 수 있다.
  • 기상 LP LP RP (천관채화연검/天冠彩華(てんかんさいか連剣(れんけん) ★★
상 상 중 판정. 연검이 붙은 카자마의 힘 기술. 빛을 쏘아올려 토네이도를 유발한다.
  • 기상 LP LP RK (천관채화연축/天冠彩華(てんかんさいか連蹴(れんしゅう)
상 상 상 판정. 가드백이 상당한 기술. 벽 부수기가 가능하다.

  • 기상 LP RK (토모에/(ともえ)[27]
파생되는 기술 3타가 타이밍이 비슷한데 중하로 판정이 나뉘어져 있어 리스크는 있지만 이지를 걸 수는 있다. 모두 막히면 하늘 구경을 하는 건 주의.

  • 기상 LP RK RP (토모에자쿠라/巴桜(ともえざくら)[28]
상 중 하 판정. 막히면 -16F.
  • 기상 LP RK AP (토모에후지/巴藤(ともえふじ)[29]
상 중 중 판정. 막히면 -20F.

  • 기상 RP LP (백화왕/百花王(ひゃっかおう)[30]
중 상 판정. 13 발동. 상대를 날린다. 1타만 사용했을 때 카운터가 나면 콤보로 이행할 수 있지만 엎드린 상태이므로 주의. 1타 가드시 -8F. 2타 가드시 -12F.

  • 기상 LK (기오우/기왕/祇王(ぎおう)[31]
중단. 14프레임 기상 띄우기. 자연스럽게 공중 콤보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막히면 -13F.

  • 기상 RK (일학/一鶴(いちかく)
중단. 흔한 기상 킥. 상대를 넘어뜨리는데 낙법을 안 한다면 백로(LP+RK)나 유연(4RP)으로 퍼올릴 수 있다. 막히면 -12.

  • 기상 AP (스다레나가시/(すだれ(ながし)[32]
중단. 귀살보다도 긴 중단기. 2로 캔슬 가능하다. 카운터 히트시 풀기 가능 스턴에 걸리며 귀살(6RP)이 확정인 로또 기술. 막히면 -2F.

  • 기상 AK (유향월/(なが香月(かげつ)
중단. 높게 띄우면서 후딜이 적어 월환각(6RK)을 사용해 높은 대미지의 콤보를 이어나갈 수 있는 기술이다. 막히면 -20. 상대가 공중에서 맞으면 토네이도가 유발된다.

  • 앉아 AK LK (유운이단차기/流雲二段蹴り(りゅううんにだんげり)
중 중 중 중 판정. 2추가 입력으로 앉은 자세가 됨. 1타는 막히면 -6F, 2타는 막히면 0F에 상대를 앉힌다.

  • 앉아 3LP (칸야라이·츠치/신축·지/神逐(かんやらい(つち) ★★★
중단. 10프레임 앉은 상태 및 기상 딜캐기. 벽꽝도 가능하다. 신축·천과는 달리 가드 당하면 뜬다. 막히면 -20F.

  • 앉아 3RP (미야비/(みやび)[33]
하단. 카운터 히트시 +15F로 기왕(기상 LK)를 이용해 공콤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막히면 -11F.

  • 앉아 3LK (카나메가에시/부채뒤집기/(かなめ(かえし)
하단. 클린 히트시 상대가 엎어지며 추가타를 넣을 수 있다. 노멀 히트시에도 상대를 앉힌다. 막히면 -20F.


3.6. 이즈모 자세[편집]


  • 6LP (이즈모헤이슈/출운폐수/出雲(いずも閉手(へいしゅ)
중단. 전작의 파생기는 다 사라지고, 이즈모 자세로 자동 이행된다. 발동이 느린 중단 답게 딜캐는 없다.

  • 8RP (이즈모카이슈/출운개수/出雲(いずも開手(かいしゅ)
상단 호밍기. 이즈모 자세로 자동 이행된다. 살짝 뛰는 듯한 모션이지만 땅에 발이 닿은 상태라 하단에 끊긴다. 전작과 달리 가드 시에도 이득이진 않다. 카운터 히트시 상대는 앉은 상태가 되며 이즈모 중 LK(서운련각), 이즈모 중 AP(나라비나데시코)가 확정으로 들어간다.

  • 그 밖에 LP LP 가 출운폐수로 LP RP RP, 6LK RP, 미아레 자세중 AP 가 출운개수로 연계되는 기술이다.



  • 이즈모 LP LP (하라에데칸나기/불수신화/祓手(はらえで神和(かんなぎ) ★
상 상 판정. 벽 부수기 및 토네이도 발동기. 리치와 대미지가 준수해 토네이도 유발 콤보용으로 사용하기 좋다. 지상에서 2타 히트시 멀리 튕겨나간다. 대미지는 7, 26. 막혀도 -4F 정도다.

  • 이즈모 LP RP (하라에데무스비/불수매듭/祓手(はらえで結び(むすび)
상 중 판정. 2타 히트시 상대는 엎어진다. 2타 카운터시 2RKRK 같은 연계 콤보를 넣을 수 있다. 대미지는 7, 20. 막히면 -13F.

  • 이즈모 RP (세츠렌부·미소기/설륜무·씻김/雪輪舞(せつりんぶ(みそぎ) ★★
중단. 토네이도 발동기. 몸을 낮게 움츠렸다 일어나면서 상단 회피 후 빛 기둥을 쏘아올린다. 발동은 23F 으로 느리지만 상단회피는 그보다 빨리 적용되므로 상대가 이즈모를 보고 빠른 상단 기술로 끊으려고할 때 사용할 수 있다. 히트시 귀살처럼 높이 뜬다. 막히면 -13F.

  • 이즈모 LK (서운연각/瑞雲連脚(ずいうんれんきゃく)[34]
중단. 히트시 히트 상태로 돌입한다. 벽을 부술 수 있다. 모션이 크지만 막혀도 -6F 밖에 안 된다.

  • 이즈모 RK LP (와케이카즈치·미소기/별뢰·씻김/別雷(わけいかづち(みそぎ) ★★★
하 중 판정. RK만 사용한 경우엔 노말 히트시 넘어지지 않고 앉히기만 하지만 카운터시 콤보로 이어진다. LP까지 써서 막히면 -14F.

  • 이즈모 AP (미히카리오로시/수광풍/水光颪(みひかりおろし)[35]
중단. 파워크러시 기술이고 히트시 상대를 앉힌다. 대미지는 24. 카운터시 귀살(6RP) 등을 추가타로 넣을 수 있다. 막히면 -12F.

  • 이즈모 6AP (나라비나데시코/쌍무자/(なら撫子(なでしこ)[36]
중단. 호밍기. 카운터 히트시 13F 기술까지 확정.

  • 이즈모 LP+RK 또는 RP+LK (츠쿠요미/월독/月読(つくよみ)[37]
잡기 기술. 입력과 상관없이 모두 양손 잡기 판정이다.


3.7. 겐지츠(환일) 자세[편집]




  • 6AK (겐지츠/환일/幻日(げんじつ) [38]
특수 자세. 자세 중 하단, 특수중단, 잡기가 들어오면 자동으로 반격한다. 2를 입력해 취소하고 앉은 자세로 이행할 수 있다.

  • 4RP LP 6, 66RP 6, 기상 RPRP 6, 미아레 자세에서 6 입력으로도 이행된다.


  • 환일 LP (유리광섞기/瑠璃光(るりこう(い)
하단. 히트시 상대를 앉힌다. 대미지는 22.
  • 환일 RP (카자마류활심경/風間流(かざまりゅう活心勁(かっしんけい) ★★★
중단 파워크러시. 히트 잡기 기술이며 대미지 중시의 콤보 마무리로 사용하기 좋다. 대미지는 16 32.
  • 환일 LK RP (월훈연검/月暈(げつうん連剣(れんけん)[39] ★★
중단. 기술명에 연검이 붙은 걸 보면 알 수 있듯 2타가 생겼다. 1타 히트시 상대를 앉히는 성능은 그대로다.
  • 환일 RK (일훈/日暈(にちうん)[40]
상단 호밍기. 벽 부수기 유발. 1타 토네이도 기술 후 콤보용으로 사용한다.

  • 상대가 하단 공격을 할 때 반격 (아마테라스/天照(あまてらす)[41]
자세에서 자동으로 나가는 하단 반격기. 예전과 달리 빛의 힘으로 반격한다. 상대가 엎어져 쓰러지고 콤보로 이어지지 않게 바뀌었다. 대미지는 20.
  • 상대가 잡기를 쓸 때 반격 (오토메나게/御留(おとめ(げ)
자세에서 자동으로 나가는 잡기 반격기. 대미지 45로 아프지만 노린다는 것 자체가 어렵다.



3.8. 미아레 자세[편집]




  • 4AP (미아레/御阿礼(みあれ)[42]
특수 자세. 자세를 유지하는 동안 가드 대미지로 입은 피해가 회복되며 2나 8로 횡이동이 가능하고, 1을 입력해 자세를 풀 수 있다. 6을 입력하면 환일로 이행되며 AP를 누르면 출운개수(이즈모 자세 이행)가 나간다.
  • 4AP, 4RPLP 4, 66RPRP 4, 66RPLK 4, 기상LPLP 4 입력으로 이행할 수 있다.
  • 9RKLK, 6AP 적중시에는 자동 이행된다.


  • 미아레 LP (아메노사카호코/천역모/天逆鉾(あめのさかほこ)[43] ★★
중단. 30대미지. 귀살보다 긴 거리를 전진하며 빛 기둥을 쏘아올린다. 공콤으로 이행가능하지만 1타에 토네이도가 소모된다. 막혀도 -9F 밖에 안되지만 횡신에 매우 취약하다.

  • 미아레 RP (아메노누보코/천소모/天沼矛(あめのぬぼこ)[44]
특수중단. 35대미지. 15F 발동에 리치도 어마어마하게 길지만 그 만큼 후딜도 -19F으로 길다. 적중 시 히트 상태로 이행된다.


3.9. 잡기[편집]



  • AL (시호우나게/四方(しほう(げ)
기본 왼손 잡기

  • AR (카타누키/(かた(き)
기본 오른손 잡기

  • 상대의 왼쪽에서 잡기 (쿠모가라미/蜘蛛(くも(がらみ)

  • 상대의 오른쪽에서 잡기 (카자구루마/風車(かざぐるま)

  • 상대의 뒤쪽에서 잡기 (쥬우지세오토시/十字(じゅうじ背落(せおとし)

  • 3RP+LK (백산/白山(はくざん)
커맨드 오른손 잡기.

  • 9AP (이합/理合(りあい)[45]
커맨드 양손 잡기. 원래는 3AP였지만 레이지 아트의 공통 커맨드에 자리를 넘겨주고 커맨드가 바뀌었다.

  • 앉아 1AP (사카사린도우/역용담/(さか竜胆(りんどう)[46]
커맨드 양손 잡기. 8에서는 커맨드 간소화에 따라 323AP에서 1AP로 바뀌어서 실수로 레이지 아트가 나가는 경우가 없어졌다.

  • 이즈모 LP+RK 혹은 RP+LK (츠쿠요미/月読(つくよみ)[47]
커맨드 양손 잡기.



4. 철권 7 이전 기술 정보[편집]


[ 펼치기 · 접기 ]
  • 취경 翠勁 (LP)
상단. 일반적인 10프레임 잽이다. 문제는 아스카처럼 카자마류 고무술 특징인지 연계기가 모두 나사 빠졌다는 것.

  • 취련경 翠連剄 (LP LP)
상 중 판정. 2타 취련경은 하장권(6LP)과 동일한 취급으로 이후 하장권 연계를 쓸수 있다.
  • 창련경 槍連剄 (LP RP)
상 상 판정. 대미지도 별로인 원투 주제에막히고 -7이나 된다. 4AP로 환일, 6AP로 이즈모, 2 or 8로 횡이동 이행.
  • 창련선퇴 槍連旋腿 (LP RP RK)
상 상 중 판정. 상대는 날라간다. 막히면 -12.
  • 취련 하단차기 翠連下蹴り (LP LK)
상 하 판정. 카자마류 원짠. 막히면 -12.
  • 취련예각 翠連刈脚 (LP RK)
상 하 판정. 2타부터 예각 이행. 막히면 -11.

  • 백련돌발 白蓮突抜 (RP LP RK LP) / 백련탄렴 白蓮弾簾 (RP LP RK LK)
상 중 중 중 / 상 중 중 상 판정. 준의 투는 12F 발동이다. 2-3타 사이 연계가 무척 빠르다. 막타가 막히면 각각 -12, -10.

  • 백련씻기 白蓮禊ぎ (RP LP AP)
상 중 상 판정. 3타째는 아스카 6AP 같이 보면 된다. 막히면 -2.

  • 순경 瞬剄 (AP)
중단. 아스카 압경(AP)과 달리 발동 12의 빠른중단인데 막히면 -11로 딜캐가 있다.

  • 채운추 彩雲墜 (AK)
중 중 판정. 구작의 유운추(AK)를 계승하는 신기술로 비슷하게 누운 상대를 밟는 용도로 쓸수 있다. 전개가 빨라서 쌩으로 쓸때 맞추기는 유운추보다 낫다. 철권 5 DR부터 등장하는 리리 로슈포르가 사용하는 그것과 동일하다. 막히고 -8.

  • 백로(추정 기술명) 白鷺 (LP+RK)
하 상 판정. 14f 발동. 4AP로 환일, 6AP로 이즈모, 2 or 8로 횡이동 이행

  • 태산백로 泰山白鷺 (LP+RK RP LP)
하 상 상 상 판정. 막타는 잽과 동일한 판정으로, 취경 파생기로 이어나간다.
  • 백로유무 白鷺遊舞 (LP+RK RP RK) / 백로하단각 白鷺下段脚 (LP+RK RP 2RK)
하 상 상 중 / 하 상 상 하 판정.
  • 백로귀수 白鷺鬼首 (LP+RK LK)
하 상 중 판정. 막타 홀드 가능하며 홀드중 4로 캔슬도 가능. 막히면 -2, 2바퀴는 +6, 3바퀴는 상단 가불.

  • 후축퇴 後蹴腿 (RP+LK)
상단. 펀치기술 받아내는 판정이 있다. 가드시 ±0.

  • 하장권 霞掌拳 (6LP)
#하장권 문단 참조.

중단. 통칭은 한자만 읽은 귀살. 2로 캔슬 가능.

중단. 4AP로 환일, 6AP로 이즈모, 2 or 8로 횡이동 이행. 히트시키고 횡을 쳤을때 +13이라 몇몇 기술이 확정이다. 막히면 -9.

  • 월환각 月環脚 (6RK) <호밍기>
상단. 상대는 넘어지는데 2RK RK 같은 추가타를 넣을 수 있다. 막혀도 +3으로 준이 이득.

상단. 창련경(LP RP) - 이즈모, 칸바시라(6LK) - 이즈모, 그냥 단독 이즈모 정도로 쓴다. 호밍기라서 횡 추적은 잘되어도 타점이 매우 높아서 횡돌며 잠깐 낮아지는 판정에 잘 피해진다. 신기하게도 후상황이 히트시 +8인데, 가드시에도 +7(!)이다.

  • 이즈모 - 불수 出雲~祓手 (이즈모 중 LP)
상 상 판정. 상단톡. 막히면 -7.
  • 이즈모 - 불수 매듭 出雲~祓手結び (이즈모 중 LP RP) <바운드>
상 상 중 판정. 막히면 -7에 상대를 앉힌다.
  • 이즈모 - 불수 예각 出雲~祓手刈脚 (이즈모 중 LP RK)
상 상 하 판정. 예각(1RK) 루트로 이어간다.
  • 이즈모 - 설륜무 出雲~雪輪舞 (이즈모 중 RP) <태그>
상 중 판정. 발동 중 자세가 매우 낮아지고 히트시 높이 띄우는 준의 밥상 or 귀신권. 막히면 -17.
  • 이즈모 - 용차차기 出雲~竜車蹴り (이즈모 중 LK) <태그>
상 중 판정. 용차차기로 잇는다. 이즈모를 가드시켰는데 상대가 잽을 내밀면 이게 프레임싸움에서 이긴다.
상 하 중 판정. 큰 하단으로 이즈모에서의 나락격. 막히면 다리가 부러져 뜨는데, 2타가 막히면 -14.
  • 이즈모 - 수광풍 出雲~水光颪 (이즈모 중 AP) <바운드>
상 중 판정. 좋은 대미지의 바운드기. 이즈모를 가드시키고 수광풍을 쓰면 상대의 14 기술과 같이 맞는다. 막히고 -6에 상대를 앉힌다.
  • 이즈모 - 자운 이단차기 出雲~紫雲二段蹴り (이즈모 중 AK) <태그>
상 하 상 판정.
커맨드 양잡 판정.

  • 깃 모란 羽牡丹(우목단) (3LP RP)
중 중 판정. 13발동 왼어퍼. 1타 카운터시 2타 확정. 1타 가드시 1-2타 강제가드에 막혀도 -9.

  • 십반사 十返沙 (3RP RP) <호밍기> <바운드>
중 중 판정. 막히면 -13.

중단. 막히면 -11.

  • 나루미 鳴海(명해) (2RP) <바운드>
중단. 막히면 상대를 앉히고 -4.

  • 스미나가시[1] 墨流(묵류) (2RK RK)
하 상 판정. 2타는 막히면 -9.

  • 자운 이단차기 紫雲二段蹴り (2AK) <태그>
하 상 판정. 아스카의 그것. 14발동, 2타를 막히면 -6.

  • 시즈쿠아카네 雫茜(하천) (1LP RP) / 시즈쿠츠키 雫月(하월) (1LP RK)
중 중 / 중 상 판정. 막히면 각각 -11 / -4.

하단. 막히면 -12.

  • 부채질 要返し (1LK)
하단. 막히면 -15.

  • 진공예각 真空刈脚 (1RK)
#예각 문단 참조.

하단 판정. 29 발동, 히트시 +4, 막히면 -12. 구작에서는 카운터시 자동으로 나갔으나 태그2 준은 노멀 히트시에도 추가 입력으로 후속기가 나간다. 제비꽃 깎기까지 나가면 상대와 자리를 바꾼다.

  • 유연 流燕 (4RP)
중단. 14발동. 구작의 연퇴(4RP)에 해당되는 기술로 이름과 모션, 파생기들이 조금씩 달라졌다.

  • 유연 - 채화 流燕~彩華 (4RP LP)
중 상 판정. 4AP로 환일, 6AP로 이즈모, 2 or 8로 횡이동 이행, 1타와 2타 모두 막히면 -9 정도.
  • 유연 - 채화자경 流燕~彩華紫勁 (4RP LP LP)
중 상 중 판정. 히트시 상대가 날라간다. 막히면 -13.
  • 유연 - 채화월환각 流燕~彩華月環脚 (4RP LP RK)
중 상 상 판정. 막히고 -4.
  • 유연 - 향월 流燕~香月 (4RP LK) / 유연 - 진공예각 流燕~真空刈脚 (4RP RK)
중 중 판정. 각각 향월(기상 LK) / 예각 루트(1RK)로 이어간다.

  • 용차차기 竜車蹴り (4LK) <태그>
중단. 유명한 낚시 기술.

  • 용차차기 귀신죽이기 竜車蹴り鬼殺し (4LK RP) <태그>
중 중 판정.
  • 용차차기 예각 竜車蹴り刈脚 (4LK RK)
중 하 판정. 예각 루트(1RK)로 이어간다.

  • 시라뵤시[2] 白拍子(백박자) (4RK RP)
중 중 판정. 2타 카운터시 뜬다. 막히면 1타는 -6, -13.

특수 자세. 단독 환일(4AP), 창련경 - 환일(LP RP 4AP)로 주로 쓴다. 자세 중 하단, 특중(짠손 등)이 들어오면 자동으로 흘린다.

  • 오토메 던지기 御留投げ (환일 중 상대가 잡기를 쓸 때)
자동으로 나가는 잡기 반격기. 대미지 45로 아프지만 노린다는 것 자체가 어렵다.
  • 유리광 섞기 瑠璃光交い (환일 중 LP)
하단. 왠지 펭의 허보 LP를 많이 닮았다... 히트시+3, 막히면 -13.
  • 접시꽃(다치아오이) 立ち葵 (환일 중 RP)
중단. 막혀도 -8.
  • 월훈 月暈 (환일 중 LK) <바운드>
중단. 막혀도 -4에 상대를 앉혀서 안전.
  • 일훈 日暈 (환일 중 RK) <호밍기>
상단. 막히면 +4로 준이 이득이다.

  • 신기 神氣 (4RP+LK)
가불기. 가불기치고 딜은 42로 낮다.


  • 치쿠라 千座(천좌) (8RK)
중단. 상대를 날리는 점프 발차기. 막히면 -3.

  • 암호 巖戸 (9LK)
중단. 모션은 약간 다르지만 아스카의 그것. 막히면 -6

중 중 판정. 컷킥인데 바운드까지 이어지는 알리사 컷킥과 비슷한 구성. 16 발동에, 2타 막히면 -13.


  • 수영이채화 水榮裏彩華 (66RP RP)
중 중 판정. 막히면 -17.

  • 수영향월 水榮香月 (66RP LK)
중 상 판정. 도모에자쿠라(기상 LP LK RP)와 더불어 태그 서브로 쓸만한 몇안되는 기술.

  • 얽은 가시나무 纏い柊(마토이히이라기) (66LK) <호밍기>
중단. 아스카의 그것. 막히고 -9로 안전한 대시 기술. 발동중 자세가 낮아 상단을 잘피한다.

  • 괭이밥(가타바미) 片喰(편식) (66RK)
중단. 아들 놈진의 뻥발(6RK) 비슷한 느낌의 발차기. 카운터시 스턴을 건다. 대신 막히면 -14로 좀 위험.

  • 돌경 突剄 (66AP)
중단. 막히고 -4.

  • 아메노우즈메 裏天鈿女命(이천전여명) (74LK)
  • 아메노우즈메 天鈿女命(천전여명) (666LK)
중단. 백 덤블링(74) 후 공참각과 그냥 공참각, 여캐 전통의 막혀도 ±0인 공참각. 아스카의 모션을 가져와서 그중에서도 가장 안좋은 666 기술로 평가된다.


  • 도모에자쿠라[3] 巴桜(파앵) (기상 LP RK RP)
  • 도모에후지 巴藤(파등) (기상 LP RK AP)
상 중 하 / 상 중 중 판정. 15 발동. 막타 타이밍이 비슷한데 중하로 판정이 나뉘어져 있어 리스크는 있지만 이지를 걸 수는 있다. 모두 막히면 하늘 구경을 하는 건 주의. 도모에자쿠라는 수월향월(66RP LK)과 더불어 태그 서브로 쓸만한 몇안되는 기술.

  • 백화왕[4] 百花王 (기상 RP LP)
중 상 판정. 14 발동. 상대를 날린다. 막히면 1-2타 모두 -6.

  • 향월 香月 (기상 LK) <태그>
중단. 아스카의 그것. 상대를 뒤집어 띄운다.

  • 주렴 흘리기(스다레나가시) 簾流し (기상 AP)
중단. 아스카의 그것. 2로 캔슬 가능. 카운터 히트시 풀기 가능 스턴에 걸리는데 귀신죽이기(6RP)가 확정인 로또 기술. 막히면 -2.

  • 유운 이단차기 流雲二段蹴り (앉아 AK LK)
중 중 중 중 판정. 2추가 입력으로 앉은 자세가 됨. 1타는 막히면 -6, 2타는 막히면 ±0에 상대를 앉힌다.

  • 미야비(우아함) 雅(아) (앉아 3RP)
하단. 아스카의 그것. 16 발동에 카운터 히트시 +18이라 거리가 가까우면 컷킥, 멀면 기상 RP LP가 가능하다.


  • 겹친 안개(카스미) 重ね霞 (횡이동 중 RP)
중단. 아스카 하장권(횡RP) 비슷한 이름인데 팔꿈치다. 막히면 -12.

  • 카구라 神楽 (횡이동 중 RK) <바운드>
중단. 카운터시 공콤이고, 가드시에도 +5로 이득인 준의 우종 격. 횡이동을 잘따라가 호밍기 쓰듯 쓸수 있다.


하장권 연계 霞掌拳連携

  • 하장권 霞掌拳 (6LP)
중단.

  • 취련충퇴 翠連衝腿 (6LP LK)
중 중 판정. 막히고 -5로 안전한 중단. 2타 카운터히트시 날려버린다.

  • 취련충퇴 - 취경 翠連衝腿~翠剄 (6LP LK LP)
중 중 상 판정. 원잽(LP, 취경)으로 이어간다.

  • 취련자운 翠連紫雲 (6LP RK)
중 하 상 판정. 자운 이단차기로 잇는다.

  • 취련 쓸기 翠連澄まし (6LP 2RK)
중 하 판정. 아스카의 그 수면 쓸기([LK RK])로 마무리한다. 막히면 -18.


예각 연계 刈脚連携

  • 진공예각 真空刈脚 (1RK)
하단. 예각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끝나고 선자세인데, 2 입력으로 기술후 앉은 자세로 돌아간다. 1타는 히트시 ±0, 막히면 -11.

  • 예각 刈脚 (1RK RK)
하단 긁기. 1-2-3타로 갈수록 딜이 아주 조금씩 늘어나고 2타부터는 막혀도 딜캐는 없지만(2로 앉으면 -11이 됨) 흘리는건 주의.

  • 예각유운추 刈脚流雲墜 (1RK LK / 1RK RK LK / 1RK RK RK LK)
유운추 부분은 중 중 판정. 강력한 중단 띄우기 예각중 LK를 가진 아스카와 달리 별볼일 없는 유운추를 쓴다. 대신 막히고 안전하다.

  • 취경예각 翠剄刈脚 (1RK RK RK)
하 하 하 판정. 3타까지 쓰는 것만 왠지 거창한 이름이 붙었는데 3타도 그냥 1-2타와 똑같은 예각이다.

  • 예각태산백로 刈脚泰山白鷺 (1RK LP+RK RP LP)
  • 예각백로유무 刈脚白鷺遊舞 (1RK LP+RK RP RK)
  • 예각백로하단각 刈脚白鷺下段脚 (1RK LP+RK RP 2RK)
예각에서 백로로 연계되는 루트.


  • 10단 콤보 (기상 LP LP LP+RK RP LP AP RK RK LK)
3,8타째가 하단. 8타를 맞으면 이후 9-10타가 확정.

  • 잡기
8 기술 문단의 잡기 부분 참조.

  • 아스카 4AP / 풍신류 (데빌 진, 헤이하치, 진파치, 카즈야) 66AP / 쿠마, 팬더 66LP+RK / 언노운 3AP
태그2에서 준과 태그 대응 잡기.

  • 우산 아이템 기술 (준이 서브일 때 태그 중 8) 영상
태그시 준이 우산을 타고 공중에서 내려온다. 상대가 밥상 같은 후딜 큰 기술로 태그를 노렸다면 택졸기가 될 수도 있다.
[1] 물위에 먹,물감을 흘려 그리는 그림[2] 헤이안(平安) 말기에 시작된 가무(歌舞); 또, 그 가무를 추는 유녀(遊女).[3]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토모에 문양에 사쿠라를 붙여놓은 합성어로 별 의미없는 말이다. '태극벚꽃' 쯤 되는 단어. 당연히 동명의 일본주와는 전혀 관계없다.[4] 모란의 이칭

[1] ★ 1개당 대략 체력 6이 소모됨[2] 전작에서는 상대방을 행동불능으로 만드는 기술인 감념장벽이었으나 성능과 함께 이름이 변경 되었다.[3] 2타 단독은 40이지만 콤보 대미지 감소로 70%만 적용[4] 天津(あまつ伊邪那美(いざなみ[5] 기술명의 돌발은 갑자기(突發)라는 의미가 아니라 관통(突き抜き)이라는 의미다.[6] 표기는 다르지만 타마스다레(タマスダレ)는 나도사프란(붓꽃과의 흰 꽃)이라는 의미도 있다.[7] 개미취(자주색 국화 모양의 꽃을 피움)[8] 스사노오이즈모지역에서 야마타노오로치를 물리칠 때 사용한 검. 야마타노오로치의 꼬리에서 아메노무라쿠모검이 나왔다고 한다.[9] 의미를 번역해 깃모란이라고도 한다.[10] 기후현에 있는 지명[11] 스사노오가 쓰러뜨린 야마타노오로치의 꼬리에서 나온 검.[12] 새의 날갯죽지를 이루는 빳빳하고 긴 깃. 칼깃이라고도 한다.[13] 괭이밥. 가문의 문양으로도 쓰임[14] 칸사이지방의 지명 중 하나[15] 물 위에 먹물을 흘려 그리는 그림[16] 아지시키타카히코네노카미가 죽은 사람으로 오해받은 것에 분노해 휘두른 검[17] 봉래(호우라이)는 칸사이지방의 지명 중 하나. 원무는 둥글게 돌며 추는 춤.[18] 창포 또는 붓꽃[19] 제비꽃[20] 제비꽃 보내기[21] 마구시는 빗이라는 의미.[22] 헤이안(平安) 말기에 시작된 가무(歌舞); 또, 그 가무를 추는 유녀(遊女).[23] 이와토에서 아마테라스를 꺼내기 위한 지혜를 알려준 신.[24] 신화에 나오는 동굴 입구[25] 하얀 꽃을 피우는 에도시대부터 전해진 동백나무 품종 중 하나[26] 긴꼬리딱새[27] 곡옥을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한 문양[28] 벚꽃 문양과 토모에 문양을 합친 문양[29] 등나무 문양과 토모에 문양을 합친 문양[30] '모란은 꽃 중의 꽃'이라 하여 부르는 이름. 가문의 문양으로도 사용된다[31] 헤이케모노가타리에 나오는 교토의 시라뵤시[32] 스다레는 문에 걸어두는 갈대나 대나무로 된 발.[33] 우아함[34] 서운 = 상서로운 구름[35] 재넘이, 산에서 내려오는 바람[36] 나란히 놓은 패랭이꽃[37] 달의 신[38] 태양 빛이 대기중의 얼음에 반사해 태양모양으로 빛나는 현상.[39] 달무리[40] 햇무리[41] 해의 여신[42] 신이나 귀인의 탄생·강림을 의미[43] 신이 휘둘러 혼돈을 휘젓고 그 파편으로 땅을 만든 창. 천소모의 다른 이름이지만 성질이 다르다.[44] 신이 휘둘러 혼돈을 휘젓고 그 파편으로 땅을 만든 창. 천역모의 다른 이름이지만 성질이 다르다.[45] 도리, 이치, 까닭[46] 용담은 자주색 빛의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풀. 미나모토(겐지)가문의 문양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47] 달의 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카자마 준 문서의 r9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카자마 준 문서의 r9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