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브롤스타즈) (r1판)

편집일시 :


>
[ 펼치기 · 접기 ]
기본 브롤러(STARTING)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94d7f4, #94d7f4);" 파일:쉘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쉘리


희귀(RARE)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2edd1c, #2edd1c);" 파일:니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니타


파일:콜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콜트


파일: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브록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브록


파일:엘 프리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엘 프리모


파일:발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발리


파일:포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포코


파일:로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로사


초희귀(SUPER RARE)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0087fa, #0087fa);" 파일:제시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제시


파일:다이너마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다이너마이크


파일:틱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8비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8비트


파일:리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리코


파일:대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대릴


파일:페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페니


파일: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재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재키


파일: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거스


영웅(EPIC)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b116ed, #b116ed);" 파일: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엠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엠즈


파일:스튜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스튜


파일:파이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이퍼


파일: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프랭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프랭크


파일:비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비비


파일: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나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나니


파일:에드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에드거


파일:그리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그리프


파일:그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그롬


파일:보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보니


파일:게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게일


파일:콜레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콜레트


파일: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애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애쉬


파일:롤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롤라


파일:샘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맨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맨디


파일:메이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메이지


파일:행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행크


파일: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래리 & 로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래리 & 로리

신화(MYTHIC)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ff0000, #ff0000);" 파일:모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모티스


파일:타라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타라


파일: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맥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맥스


파일:미스터P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미스터 P


파일:스프라우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스프라우트


파일:바이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바이런


파일:스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스퀴크


파일: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러프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러프스


파일:버즈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버즈


파일:팽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이브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이브


파일:자넷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자넷


파일:오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오티스


파일:버스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버스터


파일:그레이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그레이


파일:R-T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R-T


파일:윌로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윌로우


파일:더그_크기조정.webp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더그


파일:척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파일:찰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찰리


파일:미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미코


전설(LEGENDARY)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 #ffd700, #ffd700);" 파일:스파이크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스파이크


파일:크로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크로우


파일:레온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레온


파일:샌디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샌디


파일:앰버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앰버


파일:메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메그


파일:서지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서지


파일:체스터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체스터


파일:코델리우스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코델리우스


파일:키트_크기조정.png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5px" 키트


하위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칭호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
이 브롤러는 출시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앞으로의 업데이트에 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일부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며, 성능, 모드별 평가, 상성 등은 출시 이후에 서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찰리
CHARLIE


등급
크로마틱
역할군
코드 네임
출시일
2023년 11월 6일
성우
플레이어 칭호

1. 개요
2. 대사 목록
3. 핀
4. 스프레이
5. 스탯
6. 스킬
6.1. 특성
6.2. 일반 공격 - 요요(YO-YO)
6.3. 특수 공격 - 고치(COCOON)
6.4. 가젯
6.4.1. 거미(SPIDERS)
6.4.2. 프라이버시(PERSONAL SPACE)
6.5. 스타 파워
6.5.1. 소화(DIGESTIVE)
6.5.2. 끈끈이(SLIMY)
6.6. 하이퍼차지 - 거미 지옥(PESTILENCE)
7. 성능
7.1. 장단점
7.2. 변천사
7.3. 모드별 평가
8. 상성
9. 추천 조합
10. 스킨
10.1. 기본 스킨
10.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0.2.1. 스파이더 찰리(SKIN NAME)
11. 업데이트 내역
12. 기타




1. 개요[편집]


파일:Brawler.png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Itsy bitsy Charlie

Put on a crazy show

She let down her hair

And made off with all your dough

In came the crowd

It filled up the circus tent

So Charlie weaved away while

Taking every cent![1]

찰리가 줄을 타고 올라갑니다! 긴 머리카락을 주욱 늘어뜨려 돈을 몽땅 싹쓸이했답니다. 관객들이 들어와 서커스 텐트가 북적댈 때 한 푼도 남김없이 챙겨 요리조리 빠져나갔죠!


21번째 크로마틱 브롤러로, 거미줄을 무기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마치 스파이더맨을 연상케한다.
거리에서 자라며 멋진 기술을 많이 배우고 근처에 있는 기괴한 서커스의 단원으로 초대되었다고 한다.

2. 대사 목록[편집]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리스폰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피격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적 처치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사망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일반 공격 사용 시 대사


영어 대사

한국어 대사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핀[편집]




4. 스프레이[편집]


스프레이
파일:Brawler_Spray.png


5. 스탯[편집]


파워
레벨
파일:Icon_health.png HP이동 속도
13300(매우) ??
(??0 = x타일/초)
[펼치기 • 접기]
23630
33960
44290
54620
64950
75280
85610
95940
106270
116600
[1] 동요 'Itsy Bitsy Spider'를 패러디했다.



6. 스킬[편집]



6.1. 특성[편집]


파일:Icon_Ability.png영어 설명

설명


6.2. 일반 공격 - 요요(YO-YO)[편집]


파일:skill-attack_new.png영어 설명

요요를 앞으로 던집니다. 요요는 적중하는 첫 번째 적에게 피해를 입힌 후 다시 되돌아옵니다.
피해량
800
사정거리
?거리(?.??타일)
재장전 속도
(매우) ??(?.?초)
설명4
수치4

[레벨 별 스탯]
파워 레벨피해량
1800
[펼치기 • 접기]
2880
3960
41040
51120
61200
71280
81360
91440
101520
111600

자신의 머리카락 끝에 달린 요요를 발사한다. 적이나 벽에 요요가 맞으면 처럼 다시 자신 쪽으로 돌아온다.

의 일반공격과 비슷한 일반공격. 칼처럼 탄창도 1개이고 다시 돌아온다는 특성이 있다. 대신 적을 맞춰도 돌아오는 특성으로 인해 칼처럼 데미지를 2번 주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그만큼 근접에서는 높은 지속 딜링을 보여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관통 옵션이 없지만 돌아오는 탄환은 적과 벽을 관통하여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돌아올 때를 노려서 맞추기가 훨씬 어려운 만큼 노리고 쓰기 어렵다.

6.3. 특수 공격 - 고치(COCOON)[편집]


파일:Super_image1.png영어 설명

털뭉치를 던져 적중한 적을 감싸 고치에 가둡니다. 털북숭이 고치에 갇힌 적은 고치가 파괴될 때까지 무력화됩니다.
피해량
?
사정거리
?거리(?.??타일)
설명3
수치3
설명4
수치4

기타
[레벨 별 스탯]
파워 레벨피해량
1[스탯]
[펼치기 • 접기]
2[스탯]
3
4
5
6
7
8
9
10
11[스탯]
[스탯] A B
투사체를 발사해 적을 고치 안에 가둔다. 갇힌 적은 그 어떤 행동도 할 수 없으며, 고치는 아군의 소환물이여서 아군도 때릴 수 없다. 고치에는 체력이 있으며 초당 최대 체력의 10%씩 감소하고, 만약 체력이 다 닳으면 적이 고치에서 풀려난다. 고로 적군의 간섭이 없는 한 10초간 적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고치를 씌우기만 하면 바로 1명을 잠깐이나마 무력화할 수 있으며, 적에게는 공격 대상으로 설정되기에 엄폐물로도 활용할 수 있다.

6.4. 가젯[편집]



6.4.1. 거미(SPIDERS)[편집]


파일:icon_item.pngCharlie releases 3 spiders that seek and attack the nearest enemies.

가장 가까운 적을 찾아 공격하는 거미 3마리를 방출합니다.

자기 주변으로 3마리의 거미를 소환한다. 거미는 일정량의 체력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 서서히 체력이 줄어들어 사라진다.

거미는 적을 추적하며 적에게 접근 시 약간의 선딜레이 후 모티스와 똑같은 돌진 공격을 시전한다.

타라의 그림자 소환과 거의 동일한 가젯. 차이점은 거미의 스탯이 좀 더 높으나 공격하는 방식이 달라서 공격하는 텀이 좀 더 길다.

6.4.2. 프라이버시(PERSONAL SPACE)[편집]


파일:icon_item.pngCharlie cocoons herself, healing 50% of her total health.

고치로 자신의 몸을 감싸 총 HP의 50%만큼 회복합니다.

스스로 고치에 들어가며 최대 체력의 50%를 회복한다. 해당 고치는 초당 최대 체력의 20%를 깎아서 아무 간섭이 없다면 최대 5초간 고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샌디의 수면 유도제와 루의 얼음 방패와 비슷한 구조의 가젯이지만, 파훼법이 있는 두 가젯과 달리 일단 위급한 상황에서 확정적으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졌다. 일단 공격하면 고치가 풀리긴해도 탄창은 낭비했으니 손해는 보고, 공격 안하자니 5초나 뻐기고 있으니 시간 낭비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넉백이나 끌려당기기에도 완전 면역인 점도 장점.

6.5. 스타 파워[편집]



6.5.1. 소화(DIGESTIVE)[편집]


파일:icon_star_power.pngCocooned enemies lose 50% of their health while cocooned.

적이 고치에 갇혀있는 동안 50%의 HP를 잃습니다.

적군이 고치에서 벗어날 시 현재 체력의 50%가 깎인다.

6.5.2. 끈끈이(SLIMY)[편집]


파일:icon_star_power.pngCocoon leaves a slimy trail behind it for 5 seconds that slows down enemies walking over it.

고치가 5초 동안 끈적한 흔적을 남기며, 그 위를 지나는 적의 이동 속도가 감소합니다.

특수기를 발사한 경로에 적의 이동속도를 늦추는 장판이 5초간 배치된다.

6.6. 하이퍼차지 - 거미 지옥(PESTILENCE)[편집]


파일:Shelly-Hypercharge.pngCocoon spawns 3 spiders that seek and attack the nearest enemies.

고치에서 가장 가까운 적을 찾아 공격하는 거미 3마리를 방출합니다.
파일:brawler_speed_icon.png
속도
+30%
파일:skill-attack_new.png
피해량
+30%
파일:brawler_shield_icon.png
보호막
+10%

특수기 발동 시 1가젯과 동일한 거미를 3마리 소환한다. 굳이 특수기를 명중하지 않아도 거미가 소환되지만, 거미는 최대 3마리만 소환 가능하기에 가젯을 발동해서 여럿을 몰고가는 전략은 불가능하다.


7. 성능[편집]


적을 맞추는 이상 탄창에 제한이 없는 공격으로 지속적인 압박이 가능하면서도, 적을 고치 안에 가둬서 홀딩이 가능한 컨트롤러 포지션의 브롤러.

적을 맞춰도 되돌아오는 특성 덕분에 칼에 비하면 공격 간에 시간차가 크게 벌어지지 않아서 압박 능력이 더 수월하고, 근접 대응력에 있어 더욱 훌륭하다는 장점을 지녔다. 물론 칼에 비하면 빠른 편이기에 명중을 잘하냐에 따라서 공격 간의 텀이 갈리며, 관통 옵션이 제한적이기에 다중의 브롤러를 압박하기는 무리가 있다.

고치는 상대를 아군의 엄폐물로 만든다는 점으로 인해서 라인전이나 기습전에서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다. 물론 '아군의' 엄폐물이기에 특수기로 상대를 잡는 게 불가능하다는 흠이 있지만, 반대로 적을 장기간 무력화시키거나 라인전 중에서 탄창을 소비시킬 목적으로 활용하기에는 적절하며, 1스파까지 장착하면 적에게 확정적인 손해를 강요시킬 수 있다. 마침 찰리의 가젯도 탄창을 날려먹기에 딱 좋은 세팅 위주로 이루어졌다.

칼과 찰리 간의 차이점은 역할에 있는데, 칼은 이동기를 2개나 갖춘 덕분에 관통 능력을 역량껏 활용하면서 전장을 휩쓰는 올라운더 포지션이라면, 찰리는 이동기가 없는 대신 엄폐물이나 소환물을 생성하여 적의 동선이나 탄창을 최대한 낭비시켜서 방해하는 서포터의 포지션에 가깝다. 다른 의미에선 본인이 순간적인 활약상을 펼칠 순 없지만, 그런 활약을 하는 브롤러들을 차단시키는 역카운터 포지션의 브롤러인 셈. 하지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할 수 있는 일반 공격 덕분에 공격적인 방향으로 승기를 잡을 수 있다.

7.1. 장단점[편집]


장점
*

단점
*


7.2. 변천사[편집]


시즌21 브롤토크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펄과 동일하게 출시와 동시에 하이퍼차지가 공개되었다.


7.3. 모드별 평가[편집]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2][3]으로 분류하였다.
관통이 안되는데다 돌아오기만하면 곧바로 난사가 가능한 일반기 덕분에 상자깡이 장난아니게 좋으며, 돌아오는 공격은 관통 옵션이 달렸는데 판정도 널널하여 다수의 상자를 까기도 좋다. 그 외에는 일반적으로 얼마나 명중을 잘하냐에 따라서 성능이 좌지우지된다. 특수기는 명중하는 순간 자신이 때릴 수 없게 되지만, 아무 개입이 없으면 10초간 적을 무력화시키기에 그냥 방치하고 떠나도 독구름으로 죽여버릴 수 있어 이쪽도 공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쓰기 나름으로 전반적으로는 준수하게 활약해준다. 대신 고치를 풀어줄 아군이 있기 때문에 고치의 무력화 능력이 다소 떨어진다. 그래도 잠시 무력화시키는 것도 준수하며, 또 다른 팀이 난입하는 난전에서는 찰리의 특수기가 더욱 위협적이게 된다.
상대를 고치로 만들어 버리면 상대는 모든 젬을 떨군다![4] 고로 접근해서 상대를 무력화시킨 뒤 본인은 젬을 털어가면 그만. 때문에 특수기 하나만으로 타이머를 쉽게 리셋시킬 수 있다. 대신 적들이 당연히 이를 두고 볼 수 없기에 아군과의 합이 잘 이뤄줘야 한다.
일단 골대로 밀고 들어오는 적을 훌륭히 진압시킬 수 있으며, 혼자 밀고 들어온 상황이면 아무 간섭 없이 10초간 홀딩시킬 수 있기에 더더욱 좋다. 또한 근접전에서도 강력하고 칼, 비와 함께 슛에 탄창을 따로 소비하지 않는 점도 장점.
당연하지만 금고도 비관통 대상에 포함되기에 금고에 접근하는 순간 지형에 달라붙은 칼 마냥 일반기를 미친듯이 난사가 가능하다. 심지어 1가젯으로 거미를 떼거지로 소환해서 더욱 악랄하게 피해를 입히는 것도 가능. 수비도 고치 능력 덕분에 나름 적절하게 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심지어 금고 수비를 맡은 대상은 고치에 가두고 본인은 프리딜을 하는 이상적인 상황도 만들어낼 수 있다.
사거리도 1타일 모자라는데 최대 사거리로 보면 공격 텀이 너무 긴데다, 무엇보다 이동기가 없어서 더 뼈아픈 브롤러. 칼과는 정반대의 입지를 지니고 있다.
상대를 고치에 가두면 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질 않는 반면, 본인은 2가젯으로 최대한 존에서 버티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독구름 속에다 적을 고치화시키는게 아니면 딱히 특화된 점은 없어 그냥 본인대로 하기만 하면 된다.
1스파가 아닌 이상 고치로 무력화시켜봐야 본인이 피를 채우는 것 외에 큰 변화는 없기에 사거리차에 따라서 상성이 갈린다.


10초간 빅 브롤러를 건드리지 않게 한다는 능력으로 인해 오히려 트롤링이 될 수 있다. 그나마 1스파가 빅 브롤러에게도 적용이 되기를 바래야 한다.

1스파의 능력이 보스에게 적용이 되냐 마는나의 여부가 중요하다.

8. 상성[편집]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 찰리가 상대하기 힘든 브롤러

  • 찰리가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

  • 편차가 심한 브롤러


9. 추천 조합[편집]


주요 조합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차선 조합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추천 기어
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

  • 가젯 명칭 - 스타 파워 명칭
각 스타 파워 및 가젯과의 궁합이 좋은 조합 등을 서술합니다.[5]


  • 기타 내용 서술(ex. 기어, 잘 사용되는 스타 파워/가젯 등)


10. 스킨[편집]



10.1. 기본 스킨[편집]


파일:Brawler_Pin-Neutral.png브롤러 이름
기본 스킨


10.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편집]




10.2.1. 스파이더 찰리(SKIN NAME)[편집]


스파이더 찰리

파일:Skin_Icon.png스파이더 찰리
(스킨 종류) 스킨

파일:BrawlerSkin.png
[6]
비용파일:brawlgemicon.png


11. 업데이트 내역[편집]


  • 2023년 11월 6일
파일:Arrows-switch-big.png 크로마틱 브롤러로 신규 출시
  • 20xx년 x월 x일
파일:Arrow-up-big.png 버프 내용
파일:Arrow-down-big.png 너프 내용
파일:Arrows-switch-big.png 기타 내용

12. 기타[편집]


  • 출시 초 유저들의 반응은 별로 좋지 않았다. 다른 브롤러들의 스킬셋을 적절히 짜집기해 만든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고, 인게임 모델링도 자넷이나 맨디,메이지와 유사하여 사용해 레딧에서는 자넷 2탄이라는 비판을 듣기도 하였다. 그나마 개성적으로 뽑힌 대사는 호평을 받았다.
  • 모든 여성 브롤러 중 유일하게 가슴골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은 찰리가 처음이기 때문에 주목받기도 했다.

[2]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3]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4] 아무래도 고치가 아군의 엄폐물로 판정이 되기에 적의 간섭이 없다면 10초간 건드리지도 못하는 점을 악용하는 유저들을 방지한 것으로 보인다.[5] 조합이 2개 이상일 경우 추가로 서술합니다.[6] 상점에서 스킨 구매창에 포함되는 것들에 대해 서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