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므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여로보암 왕조바아사 왕조시므리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여로보암 1세나답바아사엘라지므리
비정통오므리 왕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디브니오므리아합아하시야여호람
예후 왕조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
예후여호아하즈여호아스여로보암 2세즈가리야
살룸 왕조므나헴 왕조베가 왕조호세아 왕조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살룸므나헴브가히야베가호세아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남유다 · 바빌론 예후드 · 예후드 메디나타
하스몬 왕조 · 헤로데 왕조 · 유다이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Weltchronik_Fulda_Aa88_326v_detail.jpg
이름지므리 Zimri[1]
출생미상
미상
사망기원전 885년경
디르사
소속미상
재위년도기원전 885년
약 7일
국적북이스라엘 왕국
이전 국왕엘라
다음 국왕오므리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유다 왕 아사 제이십칠년에 지므리는 디르사에서 이스라엘의 왕위에 올랐는데 그의 통치는 칠 일 만에 끝났다 (중략) 그가 이러한 최후를 마친 것은 그가 야훼의 눈에 거슬리는 일을 하고 여로보암이 걸었던 길을 따라 같은 죄를 지었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이스라엘 백성을 죄에 빠뜨렸기 때문이었다.

열왕기 상권 16장 15절.19절 (공동번역)


북이스라엘 왕국의 5대 국왕이자 지므리 왕조의 시조이자 마지막 왕.


2. 생애[편집]


북이스라엘에서 병거대의 절반을 지휘하는 장군이었으나 반란을 일으켜 왕위에 올라 바아사 왕실을 몰살시켰다. 당시 강력한 라이벌 오므리블레셋과 국경 요충지인 기브돈에서 전투 중이었으므로 시므리의 군대는 손쉽게 북이스라엘을 장악할 수 있었고, 왕위를 찬탈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왕위를 찬탈한 데다가 그 과정에서 잔악한 행동을 해 민심을 얻지 못했다.[2] 시므리의 찬탈 소식을 접한 오므리는 기브돈 현지에서 군의 지지를 얻었고 회군해 수도 디르사에서 시므리군과 내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오므리의 군대가 승기를 잡았으며 대세가 기운 것을 알게 된 시므리는 왕위에 오른지 겨우 7일 만에 궁성에 불을 질러 자살한다.

훗날 예후가 반란에 성공하여 입궁할 때, 이제벨은 죽기 직전에 예후를 시므리라고 빗대어 비꼬았다.[3] 이는 “니가 오래 가겠냐?”라는 의미지만 정작 예후는 자기 포함 5대까지 왕조가 이어지며 오므리 왕조보다도 장수했다.

여담으로 성경 기록이 사실이면 시므리 왕조는 1대 1주일이라는 역사상 최단명 왕조가 된다.
[1] 지므리는 공동번역 및 가톨릭 새번역 표기로, 개역 성경이선 시므리라고 표기 한다.[2] 왕위에 꼴랑 7일밖에 있지 않았음에도 악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은 이 때문으로 보인다. 상식적으로 잔악한 왕을 야훼를 잘 섬겼다는 이유만으로 선하다 평가할 순 없을테니까... 다만 시므리의 악행으로 기록된 것은 두 가지 뿐으로 하나는 여로보암의 길을 걸은 것(금송아지 숭배)이고 다른 하나는 바아사 왕실을 몰살할 때 친족 뿐 아니라 친구들까지 몰살시켰다는 것 뿐이다.[3] 열왕기하 9장 31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0:03:43에 나무위키 지므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