쥘 페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장조제프 데솔엘리 드카스
(제2대)제5대제6대제7대
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조제프 드 빌리에장바티스트 실베르 게 드 마르티냐크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루이빅투르니앙 드 로슈슈아르 드 모르트마르
[[7월 왕정|

7월 왕정
]]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자크 라피트카지미르 페리에니콜라 장드듀 술트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제14대제7대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에두아르 모르티에빅토르 드 브로이아돌프 티에르
제17대(제11대)(제16대)(제11대)
마티외 몰레니콜라 장드듀 술트아돌프 티에르니콜라 장드듀 술트
제18대(제17대)
프랑수아 기조마티외 몰레
[[프랑스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프랑수아 아라고루이외젠 카베냐크오딜롱 바로
제23대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레옹 포셰
[[프랑스 제2제국|

제2제국
]]
제25대제26대
에밀 올리비에샤를 쿠쟁몽토방
[[프랑스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루이 쥘 트로쉬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 시셰
제31대(제28대)제32대(제29대)
루이 뷔페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
제33대(제28대)제34대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36대제37대(제35대)제38대
쥘 페리레옹 강베타샤를 드 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
제39대(제36대)제40대(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르네 고블레모리스 르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
(제43대)(제35대)제45대제46대
피에르 티라르샤를 드 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제48대(제47대)(제46대)
샤를 뒤피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제50대(제40대)(제47대)
레옹 부르주아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
제51대제52대(제42대)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
제58대(제55대)제59대제60대
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제61대(제55대)(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제54대)제63대제64대
폴 팽르베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
(제55대)(제58대)제65대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제55대)(제66대)(제58대)
폴 팽르베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
(제55대)제67대제68대(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제70대(제67대)(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제72대제73대(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
(제72대)(제60대)제74대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
(제70대)(제73대)제76대(제68대)
피에르 라발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
(제76대)(제72대)제77대제78대
레옹 블룸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비시 프랑스|

비시 정권
]]
(제70대)(제74대)제79대(제70대)
피에르 라발피에르에티엔 플랑댕프랑수아 다를랑피에르 라발
[[프랑스 임시정부|

임시정부
]]
제80대제81대제82대(제76대)
샤를 드골펠릭스 구앵조르주 비도레옹 블룸
[[프랑스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제83대제84대제85대(제84대)
폴 라마디에로베르 슈만앙드레 마리로베르 슈만
제86대제87대(제86대)제88대
앙리 쾨유조르주 비도앙리 쾨유르네 플레뱅
(제86대)(제88대)제89대제90대
앙리 쾨유르네 플레뱅에드가르 포르앙투안 피네
제91대제92대제93대(제89대)
르네 마예르조제프 라니엘피에르 망데스 프랑스에드가르 포르
제94대제95대제96대제97대
기 몰레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펠릭스 가야르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
제98대제99대제100대제101대
미셸 드브레조르주 퐁피두모리스 쿠브 드뮈르빌자크 샤방델마스
제102대제103대제104대제105대
피에르 메스메르자크 시라크레몽 바르피에르 모루아
제106대(제103대)제107대제108대
로랑 파비위스자크 시라크미셸 로카르에디트 크레송
제109대제110대제111대제112대
피에르 베레고부아에두아르 발라뒤르알랭 쥐페리오넬 조스팽
제113대제114대제115대제116대
장피에르 라파랭도미니크 드빌팽프랑수아 피용장마르크 에로
제117대제118대제119대제120대
마뉘엘 발스베르나르 카즈뇌브에두아르 필리프장 카스텍스
제121대
엘리자베트 보른



프랑스 제17대 총리
쥘 프랑수아 카미유 페리
Jules François Camille Ferry
파일:Julesferry.jpg
출생1832년 4월 5일
프랑스 왕국 보주 생디에데보주
사망1893년 3월 17일(향년 60세)
프랑스 파리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svg

재임기간제17대 총리
1880년 9월 23일 ~ 1881년 11월 14일 1기
1883년 2월 21일 ~ 1885년 4월 6일 2기
정당기회주의적 공화주의자 (1871년 ~ 1888년)
국민 공화국 동맹(1888년 ~ 1893년)
가족배우자 외제니 리슬레[1]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쥘 페리는 프랑스 제3공화국의 정치인이다. 교육부 장관 시절 도입한 무상 의무 교육과 국무회의 의장으로써 추진한 베트남의 식민화로 유명하다. 생전에는 레옹 강베타같은 거물에 비해 떨어지는 토론 실력과 카리스마로 인기가 없었고, 공화정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재평가를 받은 것은 20세기 이후부터다.


2. 생애[편집]


생 디에라는 프랑스 동부의 작은 마을의 부르주아 집안에서 태어났다. 생 디에와 스트라스부르크에서 중등교육을 받은 이후 파리에서 법학을 전공한다. 변호사가 된 페리를 나폴레옹 3세프랑스 제2제국을 비판하는 민주주의자들에 큰 영감을 얻고 오스만 센 지구 시장 [2]을 비판하는 신문 기사를 낸다.

1870년에 국방부에서 일하고, 같은 해 말에는 파리 시장으로 임명된다. 보불전쟁으로 파리가 포위됐을 때는 물자공급을 맡았는데, 식량을 인색하게 배급한 탓에 "기아 페리"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파리 코뮌을 강력하게 진압하는 것을 주장했지만, 그의 신변을 걱정한 아돌프 티에르는 그를 고향으로 돌려보낸다.

레옹 강베타쥘 그레비와 함께 파트리스 드마크마옹의 왕당파 정권에 저항하는 공화파를 이끈다. 1877년 5월 16일 헌정위기 때 마크마옹이 공화주의자 쥘 시몽을 해임하자, 의회 과반을 차지한 공화파와 함께 정부를 인정하기를 거부하고 의회를 해산당한다. 결국 1879년 왕당파를 상대로 완전한 승리를 거두고 쥘 페리는 대통령 쥘 그레비에 의해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된다.

장관이 된 즉시부터 천주교를 상대로 전쟁을 시작한다. 19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소교구의 사제가 교육을 담당하는게 흔한 편이었는데, 페리는 허가받지 않은 종교 교육을 금지하려 하지만, 보수파의 완강한 저항을 우려한 쥘 그레비가 불인가한다. 1879년에는 세브르 여자고등사범학교[3]를 설립하고, 1880년에 여성 교육법을 통과시키고, 1881년에는 집회와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법안을 통과시킨다. 1882년에 긴 법적 사투 끝에 무상, 의무적, 세속적 교육을 보장하는 법안을 인가한다. 반교권주의의 교육 정책을 실시해 가톨릭 교회의 세력 약화에 혁혁한 공을 세울 수 있었다.

쥘 페리는 프랑스 식민주의의 얼굴마담이기도 했다. 1885년 7월 28일 페리의 연설이 그의 식민주의에 대한 사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는 "우월한 인종"이 "열등한 인종에 대한 권리"가 있다고 믿었다. 식민주의에 격렬하게 반대했고, 유교, 힌두교 등의 유구함을 언급하며 유럽의 우월성을 의문시했던 조르주 클레망소와 대조된다. 페리가 이끄는 식민파들은 1881년에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삼는 바르도 조약을 맺었고, 청불전쟁을 통해 베트남을 식민화하기 위한 초석을 놓는다.

1885년에 암살자가 쏜 총알을 비껴맞지만, 그 후유증으로 불구가 되었고, 1893년에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0:01:03에 나무위키 쥘 페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Eugénie Risler, 1875년 ~ 1920년[2] 파리 개조 사업을 주도해서 오늘날 파리의 모습을 만든 그 오스만이다[3] 오늘까지도 울므 가 고등사범학교 다음가는 엘리트 교육기관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