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

덤프버전 :

1. 개요
2. 예선
2.1. 아마선발전
2.2. 통합예선
3. 본선
3.1. 16강
3.2. 8강
3.3. 4강(준결승전)
3.4. 3/4위전, 결승 3번기
4. 특별대국


1. 개요[편집]


2020년 개최하는 여자기성전. 후원사는 한국제지. 이 대회는 대국 규정이 종전 각자 30분에 30초 추가 피셔 방식에서 각자 1시간, 40초 초읽기 3회로 달라졌다.

2. 예선[편집]



2.1. 아마선발전[편집]


8월 15일~16일 진행됐다. 선발인원은 4명이며 토너먼트로 치러지는데 연구생 1,2위와 아마 1,2위는 분산배치하였다.
여자연구생 12명(대부분 자동참가[1])과, 아마랭킹과 유단자가 이에 해당된다.
8월 16일에 아마선발전 결승이 중계되었다.
참가구분순위(6명씩 나열)
연구생고미소 / 김민서 / 김효영 / 이슬주 / 고윤서 / 이우주
이서영 / 정하음 / 김희수 / 이정은 / 장진아 / 김지수
아마랭커박예원 / 이루비 / 김수영 / 정지우 / 류승희 / 조은진
차은혜 / 권가양 / 박한솔 / 송예슬 / 김민주 / 이선아
김현아 / 김승주 / 채현지 / 한유정 / 김희수 / 한지원
김이슬 / 김지수 / 김규리 / 조경진 / 조시연 / 홍준리
유단자-(참가신청 받는 만큼)
8월 15일 1회전과 32강, 16강 이후, 16일에 최종선발전인 8강이 진행되었다.
  • 그 결과 예선결승 대진은 조경진(아마)-이서영(연구생) / 권가양(아마)-이슬주(연구생) / 김효영(연구생)-김민주(아마) / 고미소(연구생)-김희수(아마)가 되었다.
  • 10월 13~14일에 치르는 예선의 아마선발 명단에는 김효영(연구생), 조경진/권가양/김희수(아마)가 되었다.


2.2. 통합예선[편집]


1조2조
조별 예선준결Diana
初단
김희수
아마랭커
김다영
三단
김신영
二단
김효영
연구생
허서현
二단
이민진
八단
김경은
二단
조별 예선결승김희수김다영김효영이민진
진출자김다영 三단이민진 八단
3조4조
조별 예선준결김은선
五단
이단비
初단
정유진
初단
김민희
四단
오정아
四단
차주혜
初단
조경진
아마랭커
권효진
六단
조별 예선결승김은선정유진오정아권효진
진출자김은선 五단오정아 四단
5조6조
조별 예선준결강다정
二단
Mariya
初단
이유진
二단
김제나
初단
김상인
初단
권가양
아마랭커
조승아
三단
박지영
初단
조별 예선결승강다정김제나김상인조승아
진출자강다정 二단조승아 三단
7조
조별 예선준결박소율
初단
김노경
初단
김민정
初단
김혜민
九단
조별 예선결승박소율김혜민
진출자김혜민 九단

이 표는 부전승이 존재하는 조들이다.
8조9조10조
조별 예선준결유주현
初단
이도현
初단
김은지
初단
김수진
五단
이영주
三단
조혜연
九단
이다혜
五단
장혜령
初단
박태희
二단
조별 예선결승이도현이영주장혜령
진출자김은지 初단조혜연 九단박태희 二단
11조12조
조별 예선준결김미리
四단
김혜림
三단
정연우
初단
도은교
初단
조연우
二단
강지수
初단
조별 예선결승김미리조연우
진출자김미리 四단강지수 初단
  • 김은지의 경우는 오로에서의 인공대리 논란이 붙은 뒤, 여자기성전 대국을 하게 됐다.


3. 본선[편집]


  • 전기 시드 배정자 : 최정, 김채영, 권주리
  • 후원사 시드 배정자 : 오유진
  • 본선진출자(단별 나열) : 예선에서 통과한 六단 선수는 없다.[2]
    • 初단 : 김은지 / 강지수
    • 二단 : 강다정 / 박태희
    • 三단 : 김다영 / 조승아
    • 四단 : 오정아 / 김미리
    • 五단 : 김은선
    • 八단 : 이민진
    • 九단 : 김혜민 / 조혜연



3.1. 16강[편집]


대국번호대국일자대진결과해설진
1국
개막전
10월 26일(월)
19:00
조혜연오유진258수
흑 반집승
류승희-송태곤
2국10월 27일(화)
19:00
김미리조승아235수
흑 불계승
한해원-이현욱
3국11월 2일(월)
19:00
권주리김은지218수
백 6집반승
한해원-송태곤
4국11월 3일(화)
19:00
오정아최정218수
백 불계승
류승희-이현욱
5국11월 9일(월)
19:00
김다영강다정239수
흑 불계승
한해원-이현욱
6국11월 10일(화)
19:00
김혜민박태희200수
백 불계승
류승희-송태곤
7국[3]11월 16일(월)
19:00
김은선김채영184수
백 불계승
한해원-송태곤
8국11월 17일(화)
19:00
이민진강지수286수
흑 14집반승
류승희-이현욱
※ 유튜브의 경우 다시보기 댓글에 승리선수 삼행시를 선정하는 이벤트가 진행된다.
상품은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3.2. 8강[편집]


대국번호대국일자대진결과해설진
1국11월 23일(월)
19:00
최 정이민진259수
흑 불계승
한해원-이현욱
2국11월 24일(화)
19:00
김미리김채영175수
흑 불계승
한해원-송태곤
3국11월 30일(월)
19:00
조혜연김혜민266수
백 불계승
류승희-이현욱

  • 김은지 치팅 논란에 대한 결과물이 심히 좋지 않았던 까닭에 4국 당일 반응은, 그야말로 대혼돈의 전장이 될 예정다시 한번 유튜브 관리자에게 애도를.. 그런데.. 11월 23일 방송 중 한해원 캐스터가 "오늘 1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는 선수는 이제 김다영 선수를 만나게 됩니다."라 언급했고, 대진표에 김은지가 회색처리 된 것으로 보아 몰수처리 되고 김다영 3단이 부전으로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애꿎은 권주리 2단은 무슨 죄...)


3.3. 4강(준결승전)[편집]


대국번호대국일자대진결과해설진
1국12월 01일(화)
19:00
최 정김다영162수
백 불계승
한해원-송태곤
2국12월 07일(월)
19:00
김채영조혜연293수
흑 반집승
류승희-송태곤


3.4. 3/4위전, 결승 3번기[편집]


대국번호대국일자대진결과해설진
3,4위전12월 08일(화)
19:00
김다영조혜연321수
흑 반집승
한해원-이현욱
결승 1차전12월 14일(월)
19:00
김채영최정173수
흑 불계승
류승희-이현욱
결승 2차전12월 15일(화)
19:00
168수
백 불계승
한해원-송태곤


4. 특별대국[편집]


제한시간 각자 1시간, 40초 초읽기 3회의 2:2 페어바둑(착수 위반시 벌점 3집 공제, 3회 위반시 반칙패)으로 진행된다.
매 대국 승리 조는 상금 200만원이 주어졌지만 패배 조는 스폰서사의 복사지 20박스가 지급됐다(...)

  • 1경기 : 김채영, 김다영의 '金자매' vs 오정아, 오유진의 '吳자매' 팀(특별해설 : 기전 우승자 최정 九단) 결과는 흑을 잡은 '金자매' 팀이 251수 만에 불계승을 거뒀다.

  • 2경기 : 박지은, 조혜연의 입신(入神) 팀 vs 이민진, 김혜민의 맘(Mom) 팀("신축년 특별대국". 특별해설 : 1경기 승리페어 일원인 김채영) 결과는 맘 팀이 백 2집반승으로 승리했다.

  • 최종국 : 1경기 승자였던 김채영, 김다영 조가 '친자매' 팀으로, 2경기를 이겼던 이민진, 김혜민 조가 '의자매' 팀으로 진행했다.(특별해설 : 박지은 九단) 결과는 흑 2집반승으로 친자매팀이 승리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제3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제3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4:27:36에 나무위키 제4회 한국제지배 여자기성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불참인원이 발생하여 하위순위 선수가 참가한 적도 있다.[2] 조별 결승에서 오정아에게 발목이 잡혔다.[3] 이 시기는... 논란의 1차조사 입장문 여파 때문에 팬들이 이 바둑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그리고 이는 금요일까지 쭉 이어질 예정이라...한주를 통째로 크게 고통받을 바둑TV 유튜브 담당자에게 애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