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구 (r1판)

편집일시 :


성명정용구(鄭龍九)
본관하동 정씨
생몰1901년 1월 6일 ~ 1967년 3월 17일
출생지평안북도 철산군 부서면 인평동[1]
(현 평안북도 철산군 학산리)
사망지강원도 철원군
매장지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추서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정용구는 1901년 1월 6일 평안북도 철산군 부서면 인평동(현 철산군 학산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하자 철산군 여한면에서 만세시위에 참가했다. 이후 1920년 7월에는 광복군사령부 제6영장 김창곤(金昌坤)과 협의하여 광복군 사령부 철산지부를 조직하고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해 철산군 백량면 주재소 습격에 가담한 혐의로 체포된 뒤 1921년 6월 1일 소위 제령 제7호 위반죄로 징역 1년 2월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조용히 지내다 8.15 광복 후 철원으로 이주했고, 1967년 3월 17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정용구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그리고 2011년 그의 유해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했다.
[1] 인근의 성암동·신곶동·이복동과 함께 하동 정씨 집성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