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야 말리닌 (r1판)

편집일시 :

일리야 말리닌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1회1976 므제브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코커렐26회2001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조니 위어
2회1977 므제브파일:캐나다 국기.svg 다니엘 버랜드27회2002 하마르파일:일본 국기.svg 다카하시 다이스케
3회1978 므제브파일:캐나다 국기.svg 데니스 코이28회2003 오스트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더 슈빈
4회1979 아우크스부르크파일:소련 국기.svg 비탈리 이고로프29회2004 헤이그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그랴제프
5회1980 므제브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30회2005 키치너파일:일본 국기.svg 오다 노부나리
6회1981 런던파일:미국 국기.svg 폴 와일리31회2006 류블랴나파일:일본 국기.svg 코즈카 타카히코
7회1982 오버스트도르프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윌리엄스32회2007 오버스트도르프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케리어
8회1983 사라예보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보먼33회2008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9회1984 삿포로파일:소련 국기.svg 빅토르 페트렌코34회2009 소피아파일:미국 국기.svg 아담 리폰
10회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에릭 러슨35회2010 헤이그파일:일본 국기.svg 하뉴 유즈루
11회1986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페트렌코36회2011 강릉파일:캐나다 국기.svg 안드레이 로고자인
12회1987 키치너파일:미국 국기.svg 러디 갈린도37회2012 민스크파일:중국 국기.svg 옌한
13회1988 브리즈번파일:미국 국기.svg 토드 엘드레지38회2013 밀라노파일:미국 국기.svg 조슈아 패리스
14회1989 사라예보파일:소련 국기.svg 비아체슬라브 자고로드뉵39회2014 소피아파일:캐나다 국기.svg 남 응우옌
15회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이고르 파슈케비치40회2015 탈린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쇼마
16회1991 부다페스트파일:소련 국기.svg 바실리 에레멘코41회2016 데브레첸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다니엘 사모힌
17회1992 헐파일:소련 국기.svg 드미트리 페트렌코42회2017 타이페이파일:미국 국기.svg 빈센트 저우
18회1993 서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예브게니 플리우타43회2018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에로코프
19회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바이스44회2019 자그레브파일:미국 국기.svg 토모키 히와타시
20회1995 부다페스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쿨릭45회2020 탈린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잘료프
21회1996 브리즈번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야구딘46회2021 하얼빈취소COVID-19
22회1997 서울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 플루셴코47회2022 소피아파일:국기.svg ?
23회1998 세인트 존파일:미국 국기.svg 데릭 델모어48회2023 캘거리파일:국기.svg ?
24회1999 자그레브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야 클림킨49회?파일:국기.svg ?
25회2000 오버스트도르프파일:독일 국기.svg 스테판 린더만50회?파일:국기.svg ?



>
전미선수권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14 뉴헤이븐노먼 M. 스콧2회1915취소WWI
3회1916취소WWI4회1917취소WWI
5회1918 뉴욕시너새니얼 나일스6회1919미개최
7회1920 뉴욕시셔윈 배저8회1921 필라델피아셔윈 배저
9회1922 보스턴셔윈 배저10회1923 뉴헤이븐셔윈 배저
11회1924 필라델피아셔윈 배저12회1925 뉴욕시너새니얼 나일스
13회1926 보스턴크리스 크리스턴슨14회1927 뉴욕시너새니얼 나일스
15회1928 뉴헤이븐로저 터너16회1929 뉴욕시로저 터너
17회1930 프로비던스로저 터너18회1931 보스턴로저 터너
19회1932 뉴욕시로저 터너20회1933 뉴헤이븐로저 터너
21회1934 필라델피아로져 터너22회1935 뉴헤이븐로빈 리
23회1936 뉴욕시로빈 리24회1937 시카고로빈 리
25회1938 필라델피아로빈 리26회1939 세인트 폴로빈 리
27회1940 클리블랜드유진 터너28회1941 보스턴유진 터너
29회1942 시카고바비 스펙트30회1943 뉴욕시아서 본 주니어
31회1944취소WWII32회1945취소WWII
33회1946 시카고딕 버튼34회1947 버클리딕 버튼
35회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딕 버튼36회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딕 버튼
37회1950 워싱턴 D.C.딕 버튼38회1951 시애틀딕 버튼
39회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딕 버튼40회1953 허시헤이스 엘런 젠킨스
41회1954 로스앤젤레스헤이스 엘런 젠킨스42회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헤이스 엘런 젠킨스
43회1956 필라델피아헤이스 엘런 젠킨스44회1957 버클리데이비드 젠킨스
45회1958 미니애폴리스데이비드 젠킨스46회1959 로체스터데이비드 젠킨스
47회1960 시애틀데이비드 젠킨스48회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브래들리 로드
49회1962 보스턴몬티 호이트50회1963 롱비치토머스 리츠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64 클리블랜드스캇 앨런52회1965 레이크플래시드게리 비스콘티
53회1966 버클리스캇 앨런54회1967 오마하게리 비스콘티
55회1968 필라델피아티모시 우드56회1969 시애틀티모시 우드
57회1970 털사티모시 우드58회1971 버팔로존 미샤 펫케비치
59회1972 롱비치케네스 셸리60회1973 미니애폴리스고든 매켈런 주니어
61회1974 프로비던스고든 매켈런 주니어62회1975 오클랜드고든 매켈런 주니어
63회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테리 커비카64회1977 하트퍼트찰스 티크너
65회1978 포틀랜드찰스 티크너66회1979 신시내티찰스 티크너
67회1980 애틀랜타찰스 티크너68회1981 샌디에이고스캇 해밀턴
69회1982 인디애나폴리스스캇 해밀턴70회1983 피츠버그스캇 해밀턴
71회1984 솔트레이크시티스캇 해밀턴72회1985 캔자스시티브라이언 보이타노
73회1986 유니언데일브라이언 보이타노74회1987 타코마브라이언 보이타노
75회1988 덴버브라이언 보이타노76회1989 볼티모어크리스토퍼 보먼
77회1990 솔트레이크시티토드 엘드레지78회1991 미니애폴리스토드 엘드레지
79회1992 올랜도크리스토퍼 보먼80회1993 피닉스스콧 데이비스
81회1994 디트로이트스콧 데이비스82회1995 프로비던스토드 엘드레지
83회1996 산호세루디 갈린도84회1997 내슈빌토드 엘드레지
85회1998 필라델피아토드 엘드레지86회1999 솔트레이크시티마이클 와이스
87회2000 클리블랜드마이클 와이스88회2001 보스턴티모시 괴벨
89회2002 로스앤젤레스토드 엘드레지90회2003 댈러스마이클 와이스
91회2004 애틀랜타조니 위어92회2005 포틀랜드조니 위어
93회2006 세인트루이스조니 위어94회2007 스포캔에반 라이사첵
95회2008 세인트 폴에반 라이사첵96회2009 클리블랜드제레미 애봇
97회2010 스포캔제레미 애봇98회2011 그린스보로라이언 브래들리
99회2012 산호세제레미 애봇100회2013 오마하맥스 에런
101회(2014년)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3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일리야 말리닌[1]
Ilia Malinin
파일:일리야 말리닌2.jpg
출생2004년 12월 2일 (19세)
버지니아 주 패어팩스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신체174cm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라파엘 아르투니안, 로만 스코르냐코프,
타티야나 말리니나
랭킹세계 1위[2]
가족아버지 로만 스코르냐코프(48세)
어머니 타티야나 말리니나(51세)
여동생 리자 말리니나(9~10세)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노비스 시절
2.2. 2019-20 시즌
2.3. 2020-21 시즌
2.4. 2021-22 시즌
2.5. 2022-23 시즌
2.6. 2023-24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4.1. 세계신기록
4.2. 득점 이외의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프로그램
7. 커리어
7.1. 대회 별 상세 점수
8. 논란 및 사건 사고
9. 여담



1. 개요[편집]


미국의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쿼드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세계 최초이자 유일한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노비스 시절[편집]


2018 아시안 오픈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고, 골든 베어 오브 자그레브 노비스 부문에서 2위를 기록했다. 2019 전미 노비스선수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2. 2019-20 시즌[편집]


2019 JGP 미국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2019 JGP 이탈리아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20 전미 주니어선수권은 기권했지만, 2020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고 16위를 기록했다.


2.3. 2020-21 시즌[편집]


코로나로 인해 대부분의 국제대회가 취소되어, 자국 선수 위주로 초청한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배정받아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3] 이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으며, 라스베이거스 인비테이셔널에서는 개인 6위, 팀 1위를 기록했다.


2.4. 2021-22 시즌[편집]


이번 시즌에는 다시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하였다. 2021 JGP 프랑스 I2021 JGP 오스트리아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며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으나, 코로나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 이후 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에 출전하여 3위를 차지했다.

2022 전미선수권에서는 쇼트와 프리 도합 6개의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함과 동시에 발전된 경기력으로 깜짝 은메달을 획득했다. 그러나 연맹에 결정의 따라 올림픽은 선수권 4위인 제이슨 브라운이 출전[4]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본인은 2022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이후 시니어 세계선수권 최소기술점을 획득하러 출전한 챌린지 컵에서 우승했다.

2022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클린하며 100.16점을 받아 시니어 세계선수권 데뷔전에서 100점을 돌파했다. 프리 경기에서는 쿼드러플 살코에서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아 넘어지고, 후반부 단독 쿼드러플 토룹에서도 넘어져 REP 판정을 받았다. 마지막 트리플 러츠에서는 스텝 아웃을 하여 감점 1점을 포함해 163.63점을 받았다. 총점 263.79점으로 9위를 차지했다.

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모든 부문에서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우승을 차지했다.[5]

2.5. 2022-23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Lz+3T, 4T / 3A
프리4A, 4T, 4Lz[6], 4S / 4Lz+1Eu+3S[7], 3F+3T, 3Lz+3A+SEQ[8]

시즌 첫 대회로 2022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 출전하여, 쇼트에선 71.84점을, 프리에선 사상 최초로 쿼드러플 악셀 점프를 성공시키며 185.44점을 받아 합계 257.28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그랑프리 첫 대회인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여, 쇼트에선 단독 4T에서 넘어지고, 4Lz+3T 컴비네이션 점프 중 4Lz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86.0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A을 포함한 전반부 4개의 4회전 점프를 모두 성공했으며, 후반 3연속 컴비네이션 점프인 4Lz+1Eu+3S 점프에서 4Lz에 언더, 3S에서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져, 감점 1점을 포함한 194.29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총점 280.37점으로 역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였고,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 출전하여, 쇼트에선 4T+3T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모두 쿼터 판정을 받고, 3A에서는 랜딩 실수를 하며 85.57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전반부 4A과 4S에서 쿼터 판정, 후반부 3F+3T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3T에 쿼터 판정을 받으며 192.82점을 받았다. 총점 278.39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왼발 부상으로 인해 4Lz 2번과 3Lz 1번을 빼고 각각 4F[9], 4T, 3F으로 바꿔서 수행했다.

2022-23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4T+3T와 3A에서 스텝 아웃, 4S에서 쿼터 판정을 받으며 80.10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후반부 4T+1Eu+3S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3S에 쿼터 판정을 받고, 세 개의 스핀에서 레벨 3를 받은 것 외에는 클린하여 191.84점을 받았다. 총점 271.94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23 전미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부상 이후 뛰지 않던 4Lz를 포함하여 모든 점프를 클린하고, 모든 비점프 요소에서 레벨 4를 받으며 110.36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전반부 4A에서 넘어지고, 후반부 4Lz+1Eu+3S 컴비네이션 점프를 단독 2Lz로, 4T+3T 컴비네이션 점프를 2T+1T으로 처리하는 실수를 범하였으나, 3Lz+3A+SEQ 컴비네이션 점프에 3T를 붙여 실수를 조금 만회하였다. 시간 위반을 비롯한 감점 2점을 포함하여 프리 점수 177.38점을 받았다. 총점 287.74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하였다.

2023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였다. 쇼트에서는 모든 점프를 클린하여 합계 100.38점을 받았고 중간 순위 2위를 기록했으나, 프리에서는 6개의 쿼드러플 점프를 배치하는 과감한 시도를 했음에도 순위가 내려갔다. 4F에서 스텝아웃, 4Lz에서 불안정한 착지를 보였고 구성점 역시 80점대 밖에 받지 못했다. 선수 본인도 결과 발표 후 실망한 기색이 역력했다. 이 대회에서는 총점 288.44점으로 동메달을 따냈다. 말리닌 개인에게는 다소 아쉬운 마무리가 되었겠지만, 시니어 첫 시즌부터 바로 세계선수권 포디움에 오른 것 자체가 굉장한 성과임은 부정할 수 없다.

2023 월드 팀 트로피미국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쇼트에서 클린하며 105.90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선 쿼드러플 악셀과 러츠에서 넘어지는 실수가 나와 5위를 기록했다. 개인 2위, 팀 미국은 우승을 차지했다.

2.6. 2023-24 시즌[편집]


점프 구성
쇼트4T[10], 4Lz+3T / 3A
프리3A, 4Lz, 3Lo, 4S / 4Lz+1Eu+3S, 4T+3T, 3Lz+3A+SEQ

2023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 출전하여 쇼트에서는 스텝에서 레벨3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 클린하여 100.87점을 받으며 1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난이도를 많이 낮췄으나 쿼드 룹 점프를 더블링하고, 후반 3연속 점프의 살코에서 q를 받으며 180.81점을 받아 프리 1위, 총점 281.68점으로 최종 우승을 차지하였다.

2023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였다. 쇼트, 프리 모두 클린하며 쇼트 104.06점, 프리 206.41점, 총점 310.47점으로 퍼스널 베스트를 경신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에 출전하여 역사상 최초로 4A를 쇼트 프로그램에서 성공시키며 106.90점을 받아 1위에 올랐다.

3. 기술 및 평가[편집]


4A[11][12]4Lz+3Ttano(rippon)[13][14]
쿼드러플 점프 6종 중 러츠, 살코, 토룹, 플립, 악셀 점프를 구사하고 있으며 쿼드러플 룹 점프 역시 연마 중이다. 쿼드러플 악셀과 쿼드러플 플립을 랜딩하는 영상을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자주 업로드하고 있는데, 마침내 4A를 국제대회에서 첫 시도 만에 성공해내며 사상 최초로 쿼드러플 악셀을 성공한 선수가 되었다.

현재 남자 싱글을 이끌어 갈 선수로 촉망받고 있으며, 러츠플립의 엣지가 바르고 퀄리티가 매우 좋은 점프를 구사한다. 대개 점프 능력과 유연성은 반비례하는 경우가 많으나, 유연성 또한 뛰어나 많은 선수들이 어려워하는 레이백 이나 바우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비점프 요소와 구성점(PCS) 요소에서는 약하다고 평가된다. 이 때문에 점프 실수가 나오면 점수에서 손해를 크게 보는 편이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23 세계선수권으로, 프리에서 쿼드러플 악셀을 포함한 6개의 4회전 점프를 시도하여 두 번의 점프 실수 외에는 준수한 경기를 펼쳤으나 가장 기초점이 낮은 4회전 점프 2종[15]을 수행한 차준환에게 구성점 차이로 밀려 동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연결 토룹의 선회전이 180도(1/2)로 심한 편이다.

2022-23 시즌 후반부터는 점프 난이도를 낮추고 비점프 요소와 컨시 안정화에 보다 집중하고 있다. 자국 선배인 네이든 첸처럼 높은 기술 기초점을 바탕으로 비점프 요소, 구성점 요소를 다음 2026년 올림픽까지 개선할 수 있으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4. 기록[편집]



4.1. 세계신기록[편집]


  • 2018-19 시즌 새로운 GOE 채점제가 실시된 이후 3개의 주니어 세계신기록을 세웠다.
주니어 남자 싱글 총점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22.04.16276.11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현재 세계신기록.
260, 270점을 돌파한 최초의 주니어 선수.
이전 기록은 사토 슌의 255.11점.
주니어 남자 싱글 쇼트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22.04.1488.99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현재 세계신기록.
이전 기록은 다닐 삼소노프의 87.33점.
주니어 남자 싱글 프리 기록
날짜점수대회비고
2022.04.16187.12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현재 세계신기록.
180점을 돌파한 최초의 주니어 선수.
이전 기록은 사토 슌의 177.86점.


4.2. 득점 이외의 기록[편집]


  • 쿼드러플 악셀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유일한 선수
  • 한 프로그램에서 4종 4쿼드 성공(4A, 4Lz, 4S, 4T / 4A, 4F, 4S, 4T)
  • 네이선 첸에 이어 5종류의 쿼드러플 점프를 성공한 두 번째 선수(4A, 4Lz, 4F, 4S, 4T)
  •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우승한 가장 어린 남자 선수(17세 10개월 20일)
  • 신채점제에서 단독 점프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16] [17]
  • 신채점제에서 컴비네이션 점프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선수[18] [19]
  • 3Lz+3A+SEQ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선수[20]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106.90(2023-24 그랑프리 파이널)
프리206.41(2023 스케이트 아메리카)
총점310.47(2023 스케이트 아메리카)


6.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Malaguena
by Roni Benise
석세션 OST
by 니콜라스 브리텔
Tout l'Univers
by Gjon's Tears
2022-2023I Put A Spell On You
by Garou
유포리아 OST
• The Lake
• I’m Tired
• Mount Everest
by Labrinth
All You Ever Wanted
by Rag'n'Bone Man
2021-2022• Billie Jean
by David Cook
• Nobody Knows
by Autograf
• The Golden Age
by 우드키드
Make it rain
by 에드 시런
2020-2021-
2019-2020Make it rain
by 에드 시런
Writing's on the Wall
by 샘 스미스
-


7. 커리어[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동메달2023 사이타마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2022-23 토리노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2022 탈린남자 싱글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 팀 트로피
금메달2023 도쿄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세계선수권9th3rd
GP 파이널3rd
GP 그랑프리 드 프랑스2nd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1st
GP 스케이트 아메리카5th1st1st
CS 어텀 클래식1st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1st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3rd
챌린지 컵1st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16th1st
JGP 파이널C
JGP 오스트리아1st
JGP 프랑스 I1st
JGP 이탈리아7th
JGP 미국4th
필라델피아1st J
골든 베어2nd N
아시안 오픈 트로피1st N
국내대회
전미선수권9th V1st V1st I3rd NWD2nd1st
동부 지역예선4th V2nd V1st I5th N1st N2nd J
사우스 아틀란틱2nd V2nd V1st I2nd N2nd N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1st T
2nd P
재팬 오픈2nd T
2nd P
2nd T
1st P
라스베이거스 인비테이셔널1st T
6th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V=쥬브나일,
I=인터메디에이트, N=노비스, J=주니어, C=취소


7.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2023–2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3.11.03-052023 그랑프리 드 프랑스1
101.58
2
203.10
2
306.78
2023.10.20-222023 스케이트 아메리카1
104.06
1
206.41
1
310.47
2023.09.14-162023 CS 어텀 클래식 인터내셔널1
100.87
1
180.81
1
281.68
2022–23 시즌
2023.04.13-162023 월드 팀 트로피1
105.90
5
173.64
2P/1T
279.54
2023.03.20-262023 세계선수권2
100.38
3
188.06
3
288.44
2023.01.23-292023 전미선수권1
110.36
2
177.38
1
287.74
2022.12.08-112022-23 그랑프리 파이널5
80.10
2
191.84
3
271.94
2022.11.25-27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2
85.57
1
192.82
1
278.39
2022.10.21-23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4
86.08
1
194.29
1
280.37
2022.10.082022 재팬 오픈2
193.42
2P/2T
2022.09.12-162022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6
71.84
1
185.44
1
257.28
2021–2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2.03.21-272022 세계선수권4
100.16
11
163.63
9
263.79
2022.02.24-272022 챌린지 컵2
84.55
1
176.14
1
260.69
2022.01.03-092022 전미선수권3
103.46
2
199.01
2
302.48
2021.11.11-14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13
67.58
2
154.97
3
222.55
2020–21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10.23-24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7
76.75
5
143.56
5
220.31

  • 주니어
2021–22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2.04.13-17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1
88.99JWR
1
187.12JWR
1
276.11JWR
2021.10.06-092021 JGP 오스트리아1
81.31
1
164.04
1
245.35
2021.08.18-212021 JGP 프랑스 I1
80.07
1
134.57
1
214.64
2019–20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0.03.02-082020 주니어 세계선수권13
74.02
18
121.95
16
195.97
2019.11.12-162020 동부 지역선수권 싱글 파이널3
68.09
1
134.08
2
202.17
2019.10.02-052019 JGP 이탈리아4
72.19
7
131.28
7
203.47
2019.08.28-312019 JGP 미국3
71.34
3
130.38
4
201.72
2019.07.29-08.032019 필라델피아 서머 인터내셔널1
71.50
1
130.34
1
201.84


8. 논란 및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22일, 자신의 친구들과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하고 있던 중 한 팬의 질문에 대답하다 자신이 이성애자라서 PCS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것이며[21] PCS를 많이 받으려면 더 이상 이성애자가 아니어야 한다고 발언했다. 해당 라이브 이후 '말리닌이 자국 선배인 제이슨 브라운을 공개적으로 저격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빗발치며 논란이 불거졌다. 물론 제이슨 브라운이 낮은 점프 구성에 비해 높은 PCS를 받아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한 선수의 사례만으로 성소수자들이 PCS 평가에 유리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불과하며, 당장 자국의 선배이자 커밍아웃한 게이인 조니 위어 역시 수행에 비해 PCS 평가가 박하다는 주장이 자주 제기되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0년 벤쿠버 올림픽 남자 싱글 프리 경기이다. 당시 위어는 마지막 그룹에서 연기했다. 같은 그룹의 에반 라이사첵, 예브게니 플루셴코, 스테판 랑비엘 등의 선수들의 PCS가 모두 82 - 83 대에서 형성된 반면, 위어의 PCS만 77점대로 유독 낮았다.[22] 당시 현장에 있던 관객들은 예상보다 훨씬 낮은 점수를 보고 심판진에 큰 야유를 보냈고 이를 지켜보던 NBC의 해설위원 역시 위어의 점수가 과소평가 되었다는 코멘트를 남겼다. 오히려 애써 웃는 표정을 유지하며, 다음 차례에 연기하는 플루셴코가 차분한 분위기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관객들을 진정시키는 조니 위어의 배려가 네티즌들의 호평을 받았다. 또한 말리닌의 국적인 미국성소수자 문제에 민감한 편이기에 경솔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더욱 거셌다. 결국 본인의 트위터인스타그램에 사과문을 게시했으나, 진정성이 느껴지지 못한다는 반응이 많다. 정리
이후 또다른 자국 선배인 애슐리 와그너는 트위터를 통해 “(말리닌의 발언에 따르면)피겨 스케이팅은 게이 스포츠인데, 커밍아웃한 선수가 몇 없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냐”며 해당 발언을 강하게 비판했다.


9. 여담[편집]


  • 어머니는 러시아계 우즈베키스탄인 前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 타티야나 말리니나다.
  • 인스타그램을 자주 하는데 주로 팬들이 태그한 스토리를 많이 읽고 공유를 한다. 또한 연결 쿼드러플 점프(싱글 악셀+쿼드러플 토룹 점프부터 쿼드러플 토룹+쿼드러플 토룹[23], 쿼드러플 토룹+쿼드러플 룹 점프 등)를 랜딩한 것들도 자주 올린다.
  • 존경하는 선수는 네이선 첸하뉴 유즈루다.
  • 제일 좋아하는 영화는 드래곤 길들이기[24].
  • 국제빙상경기연맹 공인 대회인 2022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사상 최초로 쿼드러플 악셀을 성공한 기록이 기네스북등재되었다.
  • 인스타그램 아이디 @ilia_quadg0d_malinin에서도 알 수 있듯 ‘쿼드갓’이라는 별명이 트레이드 마크이다. 도쿄에서 열린 2023 월드 팀 트로피에서는 ‘QUAD GOD’이 쓰인 슬로건 [25]과 ‘4回転の神(4회전의 신)’ 자수가 있는 볼캡 [26]을 들고 왔다. 장내 아나운서도 소개할 때 이 별명을 불러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1] 어머니의 성을 따랐는데, 아버지의 성인 스코르냐코프보다 말리닌이 발음하기 더 쉬워서라고 한다.[2] 2023년 10월 22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3/2024 Men[3] 2020년 7월 1일 기준 만 15세이므로 시니어 그랑프리 출전 연령이 충족된다.[4] 그러나 쇼트와 프리를 통틀어 쿼드러플 점프가 하나도 없는데다가 지나친 구성점을 받아 논란이 되었다.[5] 2위인 미하일 샤이도로프와는 무려 41.8점 차인데, 이는 신채점제를 시행한 이후 주니어 세계선수권 역사상 가장 큰 점수 차로 우승한 사례였다. 이후 1년 후 미우라 카오가 2위인 나오키 로시와는 44.06점 차로 우승하면서 기록을 경신했다.[6]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는 4F으로 수행[7]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는 4T+1Eu+3S로 수행[8]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는 3F+3A+SEQ로 수행[9] 이로써 4회전 점프 중 4Lo 점프만 성공한다면 6종 4회전 점프를 성공한 최초의 선수가 된다.[10] 2023-24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4A로 수행[11]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당시 가산점(GOE) 4.11[12] 당시 기술점(TES) 16.61[13] 2023 월드 팀 트로피 당시 가산점(GOE) 4.11[14] 당시 기술점(TES) 19.81[15] 토룹, 살코[16]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달성, 16.61점[17] 4A, BV 12.50 + GOE 4.11[18] 2023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달성, 21.54점[19] 4Lz+1Eu+3S x, BV 17.93 + GOE 3.61[20] 시퀀스 룰 개정 전 하뉴 유즈루가 4T+3A+SEQ 점프를 성공한 적이 있다.[21] 위에 서술했듯이, 2023 세계선수권에서 PCS를 넉넉히 받지 못해서 점수 손실을 크게 입어 최종 3위로 밀려났다.[22] 보통 같은 그룹에 속하는 선수들 간 PCS가 5점이 넘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드문 현상이다. 위어는 쿼드는 없었지만 겉클린 연기를 펼쳤고, 랑비엘은 쿼드를 포함한 점프들에서 스텝아웃 실수가 여러번 나왔음에도 두 선수간 PCS 차이가 6점이 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라 보기 어렵다. [23] 경기에 구성할 수는 있지만 현재로써는 사람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재미로 연습한다고 한다. 쇼트 컴비네이션으로 4+4가 허용되지 않는한 실익이 없기 때문.[24] 경기가 끝나고 인형을 던질거면 투슬리스를 던져달라고.[25] 공식 굿즈 [26] 일본의 후지 테레비가 선물했다. https://twitter.com/online_on_ice/status/1636314420992446465?s=46&t=278gCqZepyavMRbZlHnf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