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항공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우간다 국장.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우간다 관련 문서
Jamhuri ya Uganda
Republic of Uganda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일:우간다 항공 로고.svg
우간다 항공
Uganda Airlines
부호콜사인 (CRESTED)
IATA (UR) ICAO (UGD)
항공권 식별 번호109
설립 연도2018년 1월 30일
허브 공항엔테베 국제공항
보유 항공기 수6
취항지 수12
항공 동맹미가입
링크파일:우간다 항공 로고.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취항지
4. 보유 기종
5. 사건 사고



1. 개요[편집]


1976년에 설립되었다 2001년 문을 닫은 후 2018년 다시 부활한 우간다의 항공사.

2. 역사[편집]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의 공동 항공사였던 동아프리카 항공이 1976년 문을 닫자 우간다 개발 협회 산하로 우간다 항공이 설립되었다. 1977년 브리티시 유니언 항공의 자회사 우간다 에비에이션 서비스를 인수하며 운항을 시작했다. 1970년대 후반 보잉 707을 도입해 브뤼셀, 런던, 로마에 취항했다. 1981년 두번째 보잉 707을 도입해 쾰른, 카이로, 두바이, 다르에스살람, 킬리만자로, 나이로비에 취항했다. 90년대 우간다 항공은 보잉 707 1기, 포커 27 2기, L-100 1기, DHC-6 1기 ,브리튼-노먼 트라이슬랜더 1기, 보잉 737 2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부룬디, 르완다, 남아공, 이스라엘에 취항했다. 1990년대 후반 막대한 부채로 우간다 정부는 우간다 항공의 민영화를 시도했고 남아프리카 항공, 에어 모리셔스, 영국항공, 인터 에어, 케냐항공, 사베나 항공이 관심을 보였으나 결국 실패해 2001년 청산되었다.

17년 뒤인 2018년, 우간다 정부에 의해 우간다 항공이 부활했으며 3억 3천만 달러를 대출해 2기의 A330-800과 4기의 CRJ900을 주문했다. 2019년 CRJ900이 인도되며 다시 운항을 시작했으며 2020년 말부터 A330-800이 인도되기 시작했다.

3. 취항지[편집]


국가도시공항비고
부룬디부줌부라부줌부라 국제공항
콩고민주공화국킨샤사은질리 국제공항
케냐몸바사모이 국제공항
나이로비조모 케냐타 국제공항
소말리아모가디슈모가디슈 국제공항
남아프리카 공화국요하네스버그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
남수단주바주바 국제공항
탄자니아다르에스살람줄리어스 니에레레 국제공항
킬리만자로킬리만자로 국제공항
잔지바르잔지바르 국제공항
우간다엔테베엔테베 국제공항허브
아랍에미리트두바이두바이 국제공항

4. 보유 기종[편집]


제작사기종보유 대수비고
에어버스A330-8002
봉바르디에CRJ-9004

5. 사건 사고[편집]


  •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중이던 1979년 4월 1일, 탄자니아군이 캄팔라를 점령한 후 엔테베 국제공항에 주기되어있던 보잉 707을 파괴했다.

  • 1988년 10월 17일, 런던에서 로마를 거쳐 엔테베로 가던 보잉 707의 775편이 로마에 착륙하던 도중 조종사의 과실로 공항 근처 주거지에 추락했다. 탑승했던 52명중 33명이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3:38:52에 나무위키 우간다 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