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션트스핑크스몬 (r3판)

편집일시 :

1. 개요
2. 종족 특성
3. 작중 행적
4. 기타


1. 개요[편집]






エンシェントスフィンクモン ANCIENTSPHINKMON

파일:external/fdac17a274df9b96ddde06cf3ddc1c8401904a0d28044cebbd27f974f6e9d58a.jpg

디지몬 시리즈에 등장하는 10투사의 일원.

1. 개요
2. 종족 특성
3. 작중 행적
4. 기타



2. 종족 특성[편집]


  • 세대: 궁극체
  • 타입: 고대환수형
  • 속성: 바이러스
  • 필살기
    • 다크 블래스트: 사납게 울부짖으며 발사하는 파괴광선
    • 네크로 이클립스: 적을 죽음의 어둠에 감싸 버리는 궁극의 소멸 기술

"어둠"의 속성을 가진, 고대 디지털 월드를 구한 전설의 10투사 중 하나인 디지몬. 아득히 고대에 존재한 첫 궁극체이며, 어둠에서 태어난 존재로서 에인션트가루몬과는 양극에 위치한다. 형태가 있는 것이나 생명이 있는 것의 파괴와 소멸을 맡아, 죽음을 부르는 어둠의 짐승으로서 두려움을 받았다. 에인션트스핑크스몬의 능력은, 그 후 환수형 디지몬이나 마수형 디지몬등에 계승되었다.


3. 작중 행적[편집]



3.1. 고스트 게임: 디지몬[편집]


58화에 등장. 성우는 키노시타 히로유키. 첫 영상화.

사람을 잡고 질문을 하는데 대답을 못하면 돌로 만들고 피라미드를 쌓는다. 하준과 청솔도 이에 당했다. 앙고라몬의 언급에 의하면 고대부터 존재한 전설의 디지몬이라 한다. 이후 사람들을 습격한 목적이 밝혀지는데 바로 초고대문명을 지배한 파라오몬을 부활시키기 위한 것.[1]
당연히 이를 막으려는 루리와 앙고라몬을 비롯한 나머지 일행과 싸우는데 궁극체답게 라모르몬을 몸싸움만으로 압도하는 건 기본에 미이라몬의 오벨리스크는 대공사격을 피하듯 활강하며 피하고 에스피몬의 모트 봄은 하울링 한방에 터트리는 등 10투사다운 강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유리와 계속 함께하고 싶었던 라모르몬이 디루비트몬으로 궁극진화하여 전세가 역전된다. 마지막에는 네크로 이클립스로 디루비트몬을 어둠속에 넣으려 했으나 디루비트몬이 에이션트스핑크스몬의 공격을 흘려 역으로 자기가 네크로 이클립스로 들어가게 된다.[2]



4. 기타[편집]


에인션트그레이몬/가루루몬과 동일하게 휴먼 스피릿과 비스트 스피릿의 파츠를 조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머리부분은 원래 레베몬이 쓰던 방패였다.[3] 그리고 이 디지몬의 꼬리는 레베몬이 가진 창이다.

사실상 팬덤에서는 십투사 최강의 디지몬으로 확정됐는데, 그의 휴먼스피릿을 이어받은 레베몬이 아르다몬과 필적하다는 설정이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체의 디지몬들은 모두 더블스피릿진화체가 돼서야 본체의 십투사디지몬을 뛰어넘었다는 설정이므로 사실상 괴물같은 십투사 집단에서도 최강자인 셈이며, 그의 휴먼 스피릿만 이어받은 레베몬만 해도 기존의 십투사들과 동등할 가능성도 있다.[4]

[1] 미이라몬이 '파라오몬이 부활하면 우리도, 인간도 파라오몬의 지배를 피할 수 없다.'고 경악한 걸 보면 초고대문명의 지배자답게 강력한 힘을 가진 것으로 추측된다.[2] 다만 디루비트몬이 에이션트스핑크스몬을 부르며 그에게 손은 뻗은 것을 보면 자기도 이렇게 할 생각은 없었던 모양이다.[3] 사실 머리만이 아니라 날개도 합쳐진 형태다.[4] 흔히들 에이션트그레이몬, 에이션트가루몬이 끝까지 남아서 봉인했기 때문에 이들보다 약하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루체몬을 끝장낸게 아니라 봉인을 하고 본인들도 죽었다는 점, 루체몬 뿐만 아니라 해방군들도 있었다는 점을 들어보면, 오히려 가장 위험해보이는 에이션트스핑크스몬을 먼저 죽였을 가능성이 더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10투사 문서의 r1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10투사 문서의 r12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