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SK 나이츠/2023-24 시즌

덤프버전 :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서울 SK 나이츠
역대 시즌
(청주 시절 포함)
}}} ||
[ 펼치기 · 접기 ]
97-9898-9999-0000-0101-02
10위8위2위
[[1999-2000 KBL 챔피언결정전|

]]
3위2위
02-0303-0404-0505-0606-07
10위7위8위9위7위
07-0808-0909-1010-1111-12
5위8위7위7위9위
12-1313-1414-1515-1616-17
1위3위3위9위7위
17-1818-1919-2020-2121-22
2위
[[2017-18 KBL 챔피언결정전|

]]
9위1위8위1위
[[2021-22 KBL 챔피언결정전|

]]
22-2323-2424-2525-2626-27
3위
: 우승: 플레이오프 진출
* 02-03 시즌 제외 15-16 시즌 문서 이후부터 문서 존재


서울 SK 나이츠 시즌
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

파일:서울 SK 나이츠 2023-24 시즌 슬로건.svg
Play for US! change For Earth!
순위경기수승률
5/1014870.33
2023-24 시즌 서울 SK 나이츠 홈경기 누적 관중수
(관중 수 확인은 다음을 클릭.)
구장경기수전체 관중평균 관중총 관중 순위
잠실학생체육관417,4134,3535


1. 비시즌
1.1. 선수단 변화
1.1.1. 프런트 · 코칭 스태프
1.1.2. FA
1.1.2.1. FA 잔류 선수
1.1.2.2. FA 영입 선수
1.1.2.3. FA 이적 선수
1.1.2.4. 트레이드 이적 선수
1.1.3. 신인 드래프트
1.1.4. 외국선수
1.1.5. 아시안 쿼터 계약 선수
1.2. 연습 경기
2. 2023-24 시즌 로스터
3. 호텔 플로라 컵
3.1. 1차전 9월 9일
3.2. 2차전 9월 10일
4. KBL컵
4.1. 예선
4.1.1. 1차전 10.08 vs 삼성
4.1.2. 2차전 10.12 vs 소노
4.1.3. 4강전 10.14 vs 현대모비스
5. 정규 시즌
5.5. 올스타전
5.7. 동아시아 슈퍼리그/EASL
5.7.1. 10월 18일 수요일 19:00 vs 류큐 골든킹스 :
5.7.2. 11월 1일 수요일 19:00 vs 류큐 골든킹스 :
5.7.3. 11월 8일 수요일 19:00 vs 신베이 킹스:
5.7.4. 12월 27일 수요일 19:00 vs 멜라코 볼츠 :
5.7.5. 1월 31일 수요일 19:00 vs 신베이 킹스 :
5.7.6. 2월 7일 수요일 19:00 vs 멜라코 볼츠 :
6. 상대전적
7. 수상
8. 총평
9. 둘러보기 틀



1. 비시즌[편집]



1.1. 선수단 변화[편집]



1.1.1. 프런트 · 코칭 스태프[편집]


2023 서울 SK 나이츠 프런트 · 코치진 보직변경 목록
이름기존 직업신임된 보직
최태원SK 회장구단주
문형준전력분석원코치
2023 서울 SK 나이츠 프런트 · 코치진 영입 목록
이름기존 직업신임된 보직
김재환체육 교사코치
네이트 힉맨NBA 선수코치
변기훈창원 LG 세이커스 선수전력분석원
2023 서울 SK 나이츠 프런트 · 코치진 퇴단 목록
이름기존 보직변경된 보직
박정호구단주SK 부회장
한상민코치원주 DB 프로미 수석코치
이현준코치

5월 15일, 한상민 코치가 원주 DB 프로미 수석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이현준 코치가 건강상의 이유로 2022-23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고, 공석이 된 자리에 김재환 선수를 새롭게 선임했다.

문형준 전력분석원이 코치로 승격되었고, 변기훈 선수를 전력분석원으로 새롭게 선임했다.

네이트 힉맨 선수를 영입했다. 외국인 선수 관리 및 기술 코치를 담당한다.

1.1.2. FA[편집]


2023 FA 대상자
선수명포지션2022 연봉등급신청 여부비고
김건우포워드7,200만 원기타미신청[은퇴]
양우섭가드7,000만 원기타신청-
장문호포워드4,500만 원기타미신청[은퇴]
전형준가드-기타미신청[은퇴]
최원혁가드1억 3,500만 원C신청-
최준용포워드5억 5,000만 원A신청-
최성원가드3,895천 800만 원기타신청

김건우는 시즌 중 일찌감치 은퇴를 선언하였고, 이후 모교인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의 코치로 부임하였다.

장문호 또한 KBL에서의 은퇴를 선언하고 일본 B3리그로의 진출을 알렸다.

22-23 시즌 이와테 빅 불스로 임대 이적했던 전형준은 FA 자격을 얻어 협상에 참여하였으나 영입 제안을 받지 못해 은퇴하게 되었다.


1.1.2.1. FA 잔류 선수[편집]

2023 FA 잔류 선수
계약 날짜선수명원소속팀계약 세부사항
05.18최원혁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3년, 보수 총액 2억원
연봉 1억 6,000만 원, 인센티브 4,000만 원
계약 날짜선수명원소속팀계약 세부사항
05.22양우섭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1년, 보수 총액 6,000만 원
연봉 6,000만 원

5월 18일, 최원혁과 계약기간 3년, 보수 총액 2억 원에 재계약을 완료했다.

5월 22일, 양우섭과 계약기간 1년, 보수 총액 6,000만 원에 재계약을 완료했다.


1.1.2.2. FA 영입 선수[편집]

2023 FA 영입 선수
계약 날짜선수명원소속팀계약 세부사항
05.18오세근파일:안양 KGC인삼공사 엠블럼.svg3년, 보수 총액 7억 5,000만 원
연봉 5억 5,000만 원, 인센티브 2억 원

5월 18일, 직전 시즌 챔프전 MVP를 수상하며 2023년 FA 최대어라고 평가받았던 오세근의 영입에 성공했다. 계약기간은 3년, 보수 총액은 7억 5,000만 원.

1.1.2.3. FA 이적 선수[편집]

2023 FA 이적 선수
계약 날짜선수명이적팀계약 세부사항보상선수
05.17최성원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3년, 보수 총액 4억 원-
연봉 3억 원, 인센티브 1억 원
계약 날짜선수명이적팀계약 세부사항보상선수
05.21최준용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5년, 보수 총액 6억 원[현금보상]
연봉 4억 2,000만 원, 인센티브 1억 8,000만 원

5월 17일, 최성원이 계약기간 3년, 보수 총액 4억 원의 조건으로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로 이적했다.

5월 21일, 최준용이 계약기간 5년, 보수 총액 6억원의 조건으로 부산 KCC 이지스로의 이적을 선택했다. 이번 이적으로 서울 SK 나이츠는 총 11억 원을 지급 받게 되었다.



1.1.2.4. 트레이드 이적 선수[편집]

2023 트레이드 이적 선수
트레이드 날짜선수명이적팀상대선수
09.26백지웅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전성환

9월 26일,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와의 맞트레이드로 백지웅을 내주는 조건으로 전성환을 받게 되었다.





1.1.3. 신인 드래프트[편집]


2023 KBL 신인 드래프트 서울 SK 나이츠
라운드순위 선수 포지션 출신학교
1라운드 9순위이경도가드단국대
2라운드 2순위김건우센터연세대

1.1.4. 외국선수[편집]


2023 서울 SK 나이츠 외국인 선수
계약 날짜선수명원소속팀포지션계약 세부사항비고
05.31자밀 워니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센터재계약
05.31리온 윌리엄스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센터재계약

5월 31일, 1옵션 외국선수 자밀 워니와 재계약했다. 이로써 2019-20 시즌부터 2023-24 시즌까지 5시즌 연속 함께하게 되었다.

2옵션 외국선수 리온 윌리엄스와도 3시즌 연속 재계약 사실을 발표했다.


1.1.5. 아시안 쿼터 계약 선수[편집]


2023 서울 SK 나이츠 아시안 쿼터 계약
계약 날짜선수명원소속팀포지션계약 세부사항
06.20고메즈 딜 리아노파일:BC 울브즈 엠블럼.png가드-

6월 20일, 아시안 쿼터제 시행 이후 SK 나이츠 구단 최초로 아시안 쿼터 선수인 고메즈 딜 리아노를 영입했다.


1.2. 연습 경기[편집]




2. 2023-24 시즌 로스터[편집]


2023-24 시즌 서울 SK 나이츠 선수 및 코칭스태프 명단
감독 전희철
코치 김기만, 김재환, 문형준, 네이트 힉맨
가드 0.양우섭 1.김수환 2.이경도 3.최원혁 5.김선형 6.전성환 7.홍경기 9. 고메즈 딜 리아노 22.오재현 37.문가온
포워드 6.장문호 11.허일영 12.송창용 14.최부경 23.김형빈
센터 4.윌리엄스 20.김건우 21.선상혁 34.자밀 워니 41.오세근


3. 호텔 플로라 컵[편집]


파트너십을 맺은 일본 B.리그 치바 제츠 후나바시[1] 초대로 일본의 호텔 플로라 컵에 참가하게 되었다. SK와 치바는 같은 리그팀 중에 한 팀을 각각 초청하여 4팀의 컵대회를 만들기로 했고, 한국팀 중에는 SK 나이츠와 함께 안양 KGC인삼공사[2]가 출전하며, 일본측에서는 치바 제츠와 사가 벌루너스[3]가 출전하여 4팀이 참가한다.

3.1. 1차전 9월 9일[편집]


치바 후나바시 아레나 16:00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서울 SK1724142479
치바 제츠1128131870

자밀 워니가 경기 내내 대활약하면서 팀을 이끌었다. 치바측에서는 일본 농구 국가대표팀의 월드컵 진출을 성공시킨 에이스 토가시 유타가 나섰으나 피로가 쌓여서인지 생각보다 많은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제츠 측의 외국인 선수 3명도 다 함께 코트를 밟았지만 무니맨 외에는 크게 득점을 돕지는 못했다. 경기 막판까지 SK가 3점에서 6점까지 리드하는 양상으로 흘러갔는데, 리온 윌리엄스가 4쿼터 종료 직전 2개의 3점슛을 성공시키면서 경기를 SK의 것으로 가져왔다. 치바 제츠는 겨우 추격하고서 어이없게 패배할 위기에 올리자 멘탈이 무너져 어이없는 파울을 하고 말았고 그대로 경기가 SK의 승리로 끝났다. 경기의 MVP는 흔들림 없이 득점을 올린 자밀 워니.

국가대표에 차출되어 일본에 함께 가지 않은 김선형 대신 리딩을 맡았던 오재현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고, 슈팅 또한 크게 개선되지 않았음이 드러나며 SK 나이츠 입장에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생겼다. SK 소속으로 실전을 치른 고메즈 딜 리아노는 아직 적응이 되지 않은 모습이었으나 날카로운 패스와, 경기를 풀어주는 드리블로 한국무대에 적응을 마치면 상당한 활약을 해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SK 나이츠와 치바 제츠는 2020년부터 제휴관계를 맺어왔는데 이 경기는 두 팀의 첫 대결이었다.

13:00에 먼저 치러진 경기에서는 사가 벌루너스가 안양 KGC인삼공사에게 승리했다.

3.2. 2차전 9월 10일[편집]


치바 후나바시 아레나 16:00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서울 SK2118171266
사가 벌루너스1621222889

9일 1차전에서 승리한 서울 SK 나이츠와 사가 벌루너스가 2차전을 펼친다.

3쿼터부터 털리면서 23점 차로 대패했다. 바로 전 경기에서 KGC가 30점 차로 패배한 흐름 그대로 SK도 당하고 말았다.

사가가 외국인 선수를 4명을 내보내면서 높이를 장악당했고, 3쿼터를 5분 남긴 시점에 리온 윌리엄스가 4파울을 당하면서 리바운드도 제압당했다. 사가가 외괵슛도 좋아 속절없이 점수차가 벌어졌다.

결국 4쿼터부터는 워니에게도 휴식을 주면서 전희철 감독은 패배를 인정했다.

플로라컵에서 1승 1패를 거두었다. 작은 초청 대회였지만 사가 벌루너스는 우승으로 기록되었고, SK는 또 준우승을 하면서 최근 농구 관련 대회 3연속 준우승을 하고 말았다.[4]

오재현의 리딩과 슛은 이 날 경기도 정말 끔찍했으며, 고메즈는 패스는 번뜩였지만 슛이 좋지 않다는 평가를 들어온 선수답게 슛이 안 좋았다. 슛이 없는 오재현 - 최원혁 - 고메즈가 코트에 서 있으니 가드 부분에서 풀어줄 선수가 아무도 없었고 팀은 후반부터 빠르게 무너졌다.[5] 슛이 좋은 가드 선수를 찾지도 찾아도 지키지도 못하니[6], 김선형에게 부담을 가중시키기만 하는 팀운영이다. 최부경과 김형빈은 매치한 사가의 외국인이 키도 몸무게도 우위라 활약이 없었다.

비시즌 초청 대회였지만 전희철 감독의 쓰는 선수만 주구장창 쓰는 이른바 '쓸놈쓸' 전술에 불안감을 드러내는 팬들이 많아졌다. SK 선수진이 이제는 나이가 많은 편이라 이렇게 쓰는 선수만 쓰는 전술로는 정상을 차지하기 어렵기 때문. 감독으로 부임하고 빠르게 자밀 워니라는 좋은 선수를 만나면서 워니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높기도 하다. 문경은 전 SK 감독이 문애런이라는 별명으로 불린 것처럼 전희철 감독은 전워니라고 불리기 시작했다.

이후 이어진 경기에서 KGC가 치바에게 패배하면서 호텔 플로라 컵은 종료되었다.

2023 호텔 플로라컵
우승사가 벌루너스2승
준우승서울 SK 나이츠1승 1패
3위치바 제츠 후나바시1승 1패
4위안양 KGC 인삼공사2패

4. KBL컵[편집]



4.1. 예선[편집]


C조에 서울 삼성, 고양 소노와 함께 편성되었다.

4.1.1. 1차전 10.08 vs 삼성[편집]


군산월명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삼성2216232687
SK2126192591

워니가 33득점, 허일영이 23득점을 올리면서 승리를 이끌었다. 김형빈은 8득점 7리바운드로 괜찮은 활약을 했다. 오세근은 3점슛 한개를 넣으면서 SK 데뷔전을 치뤘다.

삼성의 조준희가 SK에게 절실한 '슛 있는 가드' 유망주라 그런지 아깝다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4.1.2. 2차전 10.12 vs 소노[편집]


군산월명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SK1828202288
소노1029172480


4.1.3. 4강전 10.14 vs 현대모비스[편집]


군산월명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SK2219212688
현대모비스1824232489

자밀 워니가 25점 10리바운드로 맹활약했지만 게이지 프림에 26득점을 허용한 채 패했다.

5. 정규 시즌[편집]


출정식이 10월 22일 개막전 종료 후에 열린다.

5.1. 1라운드 : 4승 4패[편집]




5.2. 2라운드 : 4승 3패[편집]




5.3. 3라운드 : [편집]




5.4. 4라운드 : [편집]




5.5. 올스타전[편집]




5.6. 5라운드 :[편집]




5.7. 동아시아 슈퍼리그/EASL[편집]




5.7.1. 10월 18일 수요일 19:00 vs 류큐 골든킹스 : [편집]



오키나와 아레나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류큐2712221980
SK2020182179


자밀 워니의 39득점 활약에도 불구 패했다.

5.7.2. 11월 1일 수요일 19:00 vs 류큐 골든킹스 : [편집]


고양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SK2418261482
류큐1717191669

체육관 대관 사정상 고양체육관에서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자밀 워니가 부상으로 경기장에 오지도 않고 아시아쿼터 고메즈 딜리아노 역시 출전하지 않았지만 오세근 12점 리온 윌리엄스가 더블 더블을 기록한데 힘입어 류큐 골든 킹스를 물리치고 EASL 원정 패배를 설욕했다.

5.7.3. 11월 8일 수요일 19:00 vs 신베이 킹스: [편집]


자린주앙 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신베이 킹스2122262190
SK2914151472


워니가 42득점으로 활약했지만 나머지 선수들이 받쳐주지 않아 대패했다.

5.7.4. 12월 27일 수요일 19:00 vs 멜라코 볼츠 :[편집]


미정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멜라코 볼츠
SK


5.7.5. 1월 31일 수요일 19:00 vs 신베이 킹스 : [편집]


잠실학생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SK
신베이 킹스


5.7.6. 2월 7일 수요일 19:00 vs 멜라코 볼츠 : [편집]


잠실학생체육관, 명
1쿼터2쿼터3쿼터4쿼터종합
SK
멜라코 볼츠



5.8. 6라운드 :[편집]




6. 상대전적[편집]


서울 SK 나이츠 2023-24 시즌 팀별 상대 전적
상대 팀승패승률승패마진우열비고잔여경기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1승1.000+1우세5
창원 LG 세이커스1패.000-1열세5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1패.000-1열세5
부산 KCC 이지스
원주 DB 프로미1승 1패.5000백중세4
수원 kt 소닉붐2승1.000+2우세4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1승 1패.5000동률4
서울 삼성 썬더스2승1.000+1우세4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1승 1패.5000백중세45
총합8승 5패.615순위: 3승차: 4.541

  • 남색은 압도(승패마진 +5 이상)을 뜻한다.
  • 청색은 절대우세(승패마진 +3 이상)를 뜻한다.
  • 하늘색은 우세(승패마진 +1 이상)를 뜻한다.
  • 녹색은 동률(승패마진 0)를 뜻한다.
  • 주황색은 열세(승패마진 -1 이하)를 뜻한다.
  • 적색은 절대열세(승패마진 -3 이하)를 뜻한다.
  • 갈색은 압살(승패마진 -5 이하)을 뜻한다.

7. 수상[편집]





8. 총평[편집]




9. 둘러보기 틀[편집]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04:07에 나무위키 서울 SK 나이츠/2023-24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은퇴] A B C [현금보상] 구단 측에서 전년도 보수 200% 선택[1] 치바현을 연고지로 삼고 있는 팀으로 훌륭한 마케팅과 최근의 호성적으로 B.리그의 대표적인 인기팀이다.[2] KGC는 23-24시즌 팀명을 정관장 레드부스터스로 바꾸었으나 이미 대회간행, 홍보물이 출간되었고 대회에 혼선을 줄 수 있어 이번 대회까지만 KGC의 이름으로 참가한다고 한다. 즉, 이 플로라 컵은 KGC 인삼공사라는 이름으로 치르는 마지막 경기들이 된다.[3] 사가현을 연고지로 삼고 있는 팀으로, 벌룬(풍선)이라는 팀명은 매년 가을 사가현에서 열리는 국제 열기구 행사인 사가인터내셔널벌룬페스타에서 유래하였다.[4] 2022 EASL, 2022-23 KBL, 2023 호텔 플로라컵[5] SK 가드 선수들이 슛이 없는 것을 파악하자 사가는 3명의 선수를 워니가 공을 잡자마자 붙이기 시작했고, 아무리 워니여도 높이까지 좋은 선수 3명이 달려드는데 후반까지 버틸 수가 없었다.[6] SK팬들이 지금도 아까워하고 지난 시즌 챔피언결정전에서 일격을 당한 배병준이 대표적이다.